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스크랩] 지독한 입 냄새 없애려면 `5가지` 지켜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7. 6. 20.

입 막고 있는 여성 옆모습

입 냄새를 예방하려면 양치질을 할 때 혀에 낀 설태도 닦아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여름에는 '입 냄새' 관리를 잘해야 한다. 대화하는 상대방의 불쾌지수를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입 냄새는 자신보다 타인이 먼저 인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리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지속적인 입 냄새, 90%는 충치·잇몸질환 탓
입 냄새는 단순히 음식물을 깨끗이 씻어내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지만, 병적인 문제가 원인일 수도 있다. 일시적인 입 냄새는 입 속 점막이 건조해졌거나 입 속 세균이 순간적으로 급증하는 게 영향을 미친다. 아침에 자고 일어났거나 오랜 시간 말한 경우 일시적인 입 냄새가 난다. 지속적인 입 냄새는 대부분 병적인 문제가 원인이고, 그중 90% 이상이 충치나 잇몸질환이 원인이다. 일시적인 입 냄새는 칫솔질이나 가글, 껌, 사탕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입 냄새는 잇몸질환 등을 치료해야 없어진다. 뉴페이스치과병원 정명호 병원장은 "잇몸 속에 생긴 치석과 치아 뿌리에 있는 독소를 제거하는 치료를 해야 한다"며 "충치가 생겼으면 해당하는 부위를 긁어내고 인공충전물로 메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입 냄새 예방하는 5가지 방법
평소 입 냄새를 관리하려면 몇 가지만 주의하면 된다.

첫째, 식사 후에는 반드시 이를 닦는다. 식후 입안에 낀 음식 찌꺼기는 20분이 지나면 부패하기 시작한다. ‘3·3·3’법칙 즉, 하루 3번, 3분 이상, 식후 3분 이내에 닦는 것을 생활화해야 한다.

둘째, 양치질할 때 혀에 낀 설태도 닦아 낸다. 혓바닥 돌기 사이에는 음식물 찌꺼기가 끼기 쉬운데 이는 악취를 발생시키는 세균들이 넓게 기생해 입 냄새를 일으킬 수 있다. 칫솔사용과 함께 치질이나 치간 칫솔을 적절히 사용하면 더욱 좋다.

셋째, 음식은 잘 씹어 먹는다. 침의 분비가 활발해져 입안이 깨끗해지고 소화 작용을 도와 위장에서 가스가 발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넷째, 대화를 많이 한다. 혀 운동이 되면서 침 분비량이 늘어 구강 내 자정작용이 활발해진다.

다섯째, 스트레스를 다스린다. 긴장과 피로가 누적되면 침의 분비가 줄어들고 입 냄새가 난다.

그런데도 입 냄새가 너무 심해 생활하는 데 지장이 있다면 '스케일링'을 받아 치석을 제거하는 게 좋다. 스케일링은 6개월에 1회 정도 받는 것이 좋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20/2017062001181.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