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막실라리아가 항산화와 미백 효과가 있고 또 그 향기를 맡으면 몸과 마음이 안정되고 주의집중력도 높아진다고 밝혔다.
막실라리아는 난초과 식물로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잎이 동양란처럼 길고 가늘며 작은 풍선 모양의 벌브(Bulb)가 있다. 국내에선 막실라리아 테누이폴리아(Maxillaria tenuifolia)가 주로 재배되며 봄에서 초여름에 작은 꽃(1cm∼2cm 정도)에서 커피향 또는 코코넛향과 같은 특이한 향기가 난다.
농촌진흥청 화훼과에서 이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베타-카리오필렌(b-caryophyllene), 알파-코파인(a-copaene) 및 델타-데카락톤(d-decalactone) 등의 성분이 커피향 또는 코코넛향을 내는 것으로 밝혀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 막실라리아 꽃 추출물을 이용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검증한 결과 항산화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는 실험에서도 막실라리아 추출물이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등 항산화 활성 효과가 아주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연구결과 막실라리아는 앞으로 산화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소재로도 이용될 수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관련 연구 성과를 특허출원했으며 추가 실험을 통해 기술이전과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신수요성 향기 난류의 기능성 연구결과를 밝혀냄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또 침체된 화훼산업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농가에 보탬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화훼과 백윤수 박사는 “이번에 밝힌 막실라리아의 향기분석과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검정 성과를 바탕으로 꽃향기의 산업화는 물론 인간과 꽃향기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며, 꽃향기가 생활 속에 머물게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choiss@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86044
'암치유에 도움 > 허브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코럴베리` 추출물, 천식 치료 효과 높인다 (0) | 2017.09.22 |
---|---|
[스크랩] 자외선에 손상된 피부, `허니부쉬 발효추출물` 섭취하면 개선 효과 (0) | 2017.07.11 |
[스크랩] 최고의 아로마테라피는 내 코가 좋아하는 것 (0) | 2017.05.04 |
[스크랩] 천연 대마 성분 `카나비노이드` 불안증 발병 중요 역할 (0) | 2017.04.06 |
[스크랩] [카드뉴스] 위험한 향기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