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story] 65세 이상 영양 상태 부실
베이비붐 이전 세대 다소비 식품 20위권 내 돼지고기·소고기 없어
영양 부족하면 면역력 저하·질병 식습관 교육 등 공공의 노력 필요
50~64세 중년층에 비해 65세 이상 노년층의 영양 상태가 크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층이 속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와 노년층이 속하는 베이비붐 이전 세대(1954년 이전 출생)의 경제적 여건과 교육 수준의 차이가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초일 연구위원이 국민건강영양조사 5·6기 자료를 분석해 고령자 영양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섭취 에너지(㎉)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그룹이 50~64세 중년 그룹의 약 81%에 불과했다. 탄수화물을 제외한 다른 영양소는 노인 그룹이 중년의 60~80%만 섭취했다. 특히 부족한 영양소는 지방·단백질·칼슘·비타민A였다. 여성의 경우 영양 부족이 더 두드러졌다. 일례로 다소비 식품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식품인 육류 섭취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 여성 그룹은 돼지고기가 다소비 식품 19위인 반면, 베이비붐 이전 세대는 돼지고기·소고기는 20위권 내에 없었고, 단백질이 거의 없는 사골국물이 11위(1942~1954년생), 3위(1941년 이전 출생)로 나타났다.
김초일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에서 베이비붐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있고, 서양식 식단 등 다양한 식품을 접해볼 기회가 많아 육류 섭취 등 영양 상태가 훨씬 좋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부만 같이 사는 노인이 자녀 등과 함께 사는 노인보다 영양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김 연구위원은 "부부만 사는 노인이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베이비붐 이전 세대는 현재 노인 그룹으로, 노인은 영양 섭취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근육량 감소, 면역기능 저하가 나타날 뿐 아니라, 폐렴 등 각종 감염질환과 대사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한국의 질병 부담(DALYs)에 대한 위험 요인 1위가 식이요인인 상황에서 노인의 영양 상태 개선은 건강한 고령사회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2013년 대한예방의학회지). 김 연구위원은 "노인은 몸이 아프고 귀찮다는 이유로, 혹은 경제적인 이유로 식사를 충실히 챙겨 먹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노인복지관이나 경로당에서 제공하는 급식의 질 관리 같은 공공의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인은 대다수가 질병을 앓고 있지만, 식사 시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김초일 연구위원팀이 서울, 대구, 경기 성남, 전남 장성, 충북 청주 등 5개 지역 65세 이상 노인 총 3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등의 질환이 있지만 식사 시 이를 고려하지 않았고 약만 복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약 처방 시 식사 조절에 대한 내용을 의사에게 들은 적이 없다고 했으며, 식사 관리 교육이나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노인 역시 거의 없었다. 김초일 위원은 "노인과 가장 가깝게 만나는 건강 전문가인 동네의원 의사나 약사가 만성질환 개선을 위한 식습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줘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8/2017041801972.html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초일 연구위원이 국민건강영양조사 5·6기 자료를 분석해 고령자 영양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섭취 에너지(㎉)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그룹이 50~64세 중년 그룹의 약 81%에 불과했다. 탄수화물을 제외한 다른 영양소는 노인 그룹이 중년의 60~80%만 섭취했다. 특히 부족한 영양소는 지방·단백질·칼슘·비타민A였다. 여성의 경우 영양 부족이 더 두드러졌다. 일례로 다소비 식품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식품인 육류 섭취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 여성 그룹은 돼지고기가 다소비 식품 19위인 반면, 베이비붐 이전 세대는 돼지고기·소고기는 20위권 내에 없었고, 단백질이 거의 없는 사골국물이 11위(1942~1954년생), 3위(1941년 이전 출생)로 나타났다.
김초일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에서 베이비붐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있고, 서양식 식단 등 다양한 식품을 접해볼 기회가 많아 육류 섭취 등 영양 상태가 훨씬 좋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부만 같이 사는 노인이 자녀 등과 함께 사는 노인보다 영양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김 연구위원은 "부부만 사는 노인이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베이비붐 이전 세대는 현재 노인 그룹으로, 노인은 영양 섭취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근육량 감소, 면역기능 저하가 나타날 뿐 아니라, 폐렴 등 각종 감염질환과 대사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한국의 질병 부담(DALYs)에 대한 위험 요인 1위가 식이요인인 상황에서 노인의 영양 상태 개선은 건강한 고령사회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2013년 대한예방의학회지). 김 연구위원은 "노인은 몸이 아프고 귀찮다는 이유로, 혹은 경제적인 이유로 식사를 충실히 챙겨 먹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노인복지관이나 경로당에서 제공하는 급식의 질 관리 같은 공공의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인은 대다수가 질병을 앓고 있지만, 식사 시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김초일 연구위원팀이 서울, 대구, 경기 성남, 전남 장성, 충북 청주 등 5개 지역 65세 이상 노인 총 3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등의 질환이 있지만 식사 시 이를 고려하지 않았고 약만 복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약 처방 시 식사 조절에 대한 내용을 의사에게 들은 적이 없다고 했으며, 식사 관리 교육이나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노인 역시 거의 없었다. 김초일 위원은 "노인과 가장 가깝게 만나는 건강 전문가인 동네의원 의사나 약사가 만성질환 개선을 위한 식습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줘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8/2017041801972.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암치유에 도움 > 식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로운 금기궁합 음식과 상비약 (0) | 2017.04.26 |
---|---|
[스크랩] 미세먼지 많은 날엔 `이것` 먹어야, 유해성분 배출에 도움 (0) | 2017.04.23 |
[스크랩] 나이 들어 둔해진 미각(味覺), 되살리려면 `이 음식` 드세요 (0) | 2017.04.21 |
[스크랩] 건강한 지방은 몸을 지키는 파수꾼이다 (0) | 2017.04.13 |
[스크랩] 식사 규칙적으로 하고, 식이섬유 충분히 먹어야 배변 원활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