탤런트 고 김영애씨가 투병했던 췌장암
다시 한 번 상기합시다.~~^^
췌 장
우리의 장기 중 가장 구석에 있고,
증세가 가장 늦게 발견되는 췌장,
췌장암으로 확인되었을 경우 수술할 수 없어
죽는 날만 기다려야 하는 병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소홀히 했던
식습관에 대하여 소개하오니
꼭 실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췌장을 살리는 기술.
1. 췌장, 너 누구니?
모든 암 중에서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 췌장암.
“췌장은 내 몸에서 병원 응급센터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① 췌장은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
내 몸의 정상혈당은 100이하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비상사태.
100이상이면 췌장은 곧바로 인슐린 호르몬을 내보내 높아진 혈당을 끌어내려요.
췌장에게 정상혈당 관리는 존재이유의 시작과 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②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기관.
췌장은 탄수화물 50%, 단백질 50%, 지방 90%를 소화할 수 있는 효소를 분비하는 기관이죠.
특히 탄수화물 소화의 최후의 보루와도 같은 곳입니다.
잘 씹지 않고 그대로 넘어온 탄수화물을 50% 정도 소화시키는 장기가 바로 췌장입니다.
2. 혹사당하고 있는 췌장 왜?
① 씹는 기능의 소홀.
탄수화물 소화를 ‘아밀라아제라는 분해효소가 있는데
아밀라아제는 위장에서는 한 방울도 나오지 않아요.
위장에서는 고기를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만 나오죠.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아밀라아제는 침 속에 있으므로
밥을 먹고 빵을 먹고 국수를 먹을 때는 반드시 꼭꼭 씹어서 삼켜야 합니다.
그래야 침 속에 들어있는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많이 분비되는데
탄수화물을 안 씹고 넘기면 전혀 소화되지 않은 채로 위장으로 내려가고,
위장에서는 그대로 죽처럼 만들어 내려 보내면
37도나 되는 장에서 썩어 내 몸을 병들게 해요.
우리 몸을 죽이는 짓이죠.
그래서 내 몸에는 응급장치처럼 최후의 보루가 마련돼 있는데
바로 췌장입니다.
입에서 씹지 않고 그대로 넘어온 탄수화물 50% 정도는 소화시킬 수 있는
아밀라아제를 분비합니다.
그런데 이는 췌장을 혹사시키는 지름길이죠.
② 단것을 너무 많이 먹는다.
췌장이 휴식할 틈도 주지 않고 자주, 그리고 많이 단것을 즐기면 췌장도 결국 손을 들어요.
인슐린 분비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혈당조절에 실패하는 당뇨병이 생겨요.
3. 날마다 혹사당하는 췌장을 살리는 방법.
① 무조건 씹어라.
‘그동안 대충대충 씹고 살아왔어도 지금껏 잘 살았는데 별일 있겠어?’
만약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더 이상은 안 돼요.
씹지 않고 삼키는 습관이 계속되어 왔다면
췌장의 도움으로 겨우겨우 살아가고 있다는 겁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음식을 먹을 때는 꼭꼭 씹어서 삼키는 것을 철칙으로 여겨보세요.
어금니 20개로 맷돌처럼 간다는 기분으로 충분히 씹어서 삼켜야 합니다.
미숫가루나 생식을 먹을 때도 마찬가지.
그냥 삼키면 100% 독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② 3·2·1 물 마시기 건강법을 실천하자.
첫째, 식사 30분 전에 물 한 잔 마시기.
둘째, 식사 2시간 후에 물 한 잔 마시기.
셋째, 아침 공복, 취침직전 전 물 한잔 마시기.
이렇게 하면 췌장을 살리는 기적의 비법이 될 수 있어요.
식사 후 2시간 뒤에 물을 200~ 300ml 정도 마시면 위산을 희석해주므로
췌장에서 중화물질이 적게 분비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③ 무조건 단것을 적게 먹자.
특히 흰쌀, 흰밀가루, 설탕 등 정제된 탄수화물은
췌장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주범들이므로
최대한 적게 먹을 것을 권합니다.
④ 식이섬유를 많이 먹자.
식이섬유는 숨겨진 진주라고 할 정도로 영양가치가 뛰어나요.
평소 식사에 식이섬유가 많이 든 채소와 과일 샐러드 한 접시를
20분간 천천히 씹어 먹고 난 뒤 주식을 먹을 것을 권합니다.
그렇게 하면 췌장의 기능을 살릴 뿐 아니라
다이어트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어요.
오늘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혹사당하고 있는 췌장!
만약 잘 씹지 않는 생활을 해왔다면,
단것에 너무 빠져 살았다면,
내 몸속의 췌장을 죽이는 길임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암, 당뇨 등 고질병은
병이 나타나기 10~15년 전부터 원인이 누적되어 발생하므로
미리부터 습관을 바르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 실천해봐요~~~^^*
'종류별 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망원인 췌장암...최근 급증 위험 (0) | 2017.05.22 |
---|---|
[스크랩] 췌장암에 고압 전기 쏴 생존기간 늘린다 (0) | 2017.04.30 |
[스크랩] 치명적인 `췌장암` 퇴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나오나 (0) | 2017.04.13 |
[스크랩] 췌장암은 왜 치료가 어려운가 (0) | 2017.04.13 |
[스크랩] 김영애 췌장암으로 별세, 초기 증상 황달·복통 그리고 `이것`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