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미세먼지와 황사가 지속되는 날씨 탓에 외출은 물론 창문 열기마저 두려워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실내 공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바깥보다 실내에 있는 게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중앙대병원 호흡기내과 김재열 교수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비롯해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생기는 화학 오염물질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쌓인다"며 "실외에서보다 심각한 호흡기질환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바깥 공기 오염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일 년에 약 370만명인데 실내공기 오염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일 년에 약 420만명으로 더 많다. 더불어 WHO는 실내 오염 물질이 폐에 도달할 확률은 실외 오염 물질의 1000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미국환경보호청(EPA) 역시 실내 공기 오염이 가장 시급히 처리해야 하는 환경문제 중 하나라고 발표했다.
실제 국립환경과학원이 2010년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주택을 조사한 결과, 아토피·천식 유발 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과 공기 중 세균·곰팡이 농도가 안전 기준치를 초과했다.
포름알데히드는 건물의 단열재나 실내가구 접착제 등에 든 성분이다. 독성이 매우 강해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해지면 폐렴과 더불어 구토, 설사 등이 생기고 사망할 위험도 있다. 김재열 교수는 “미량의 포름알데히드만 흡입해도 기관지가 자극되면서 기관지염이 생길 수 있다"며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되면 폐암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집이 오래됐거나 습기가 잘 차면 곰팡이에 신경 써야 한다. 실내 습도가 60도 이상인 주택은 곰팡이가 생길 확률이 습도가 60도 미만인 주택의 2.7배에 달한다. 곰팡이는 공기 중 떠다니면서 천식을 유발할 수 있고, 곰팡이에 민감한 사람은 코 막힘, 눈 가려움증, 호흡곤란, 피부자극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호흡기 면역체계가 약한 영유나, 노약자, 임산부는 물론이고 건강한 사람도 실내공기 질을 관리해야 한다. 우선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야 한다. 미세먼지 수치가 낮은 날, 하루 3회 정도 맞바람이 불도록 5~20cm 폭으로 창문을 열고 자연 환기를 시키는 게 좋다. 요리할 때는 환풍기나 팬 후드를 반드시 작동시키고, 요리 후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바닥에 떨어진 미세먼지를 씻어내기 위해 물걸레질을 하는 게 안전하다. 에어컨, 가습기 및 전기·전자제품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실내 습도를 40~60% 이하로 유지하는 것도 좋다. 한편, 실내 인테리어를 새로 하거나 새로운 가구를 들이는 시기는 환기가 잘되는 여름을 택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2/2017041201301.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밖 옅은 불빛이 숙면 방해… 피로 증가 (0) | 2017.04.13 |
---|---|
[스크랩] 성인 4명 중 1명, 살면서 한 번 이상 `정신질환` 겪는다 (0) | 2017.04.13 |
[스크랩] Q. 심한 피로감과 수면장애 지속… A. 갑상선 기능항진증 의심 (0) | 2017.04.11 |
[스크랩] 봄철 불청객 황사·미세먼지, 건강관리 위한 공기청정기는 어떻게 골라야 할까? (0) | 2017.04.10 |
[스크랩] 미세먼지, 피부에는 어떤 영향 미칠까? (0) | 201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