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흡기계는 비강(코), 인두(목), 후두(성대) 및 기관으로 구성된 상부 기도와, 기관지, 세기관지 및 폐로 구성된 하부 기도로 구분된다. 기관지 이하 하부 기도에 생긴 감염을 하기도 감염이라 하는데 감염은 주로 외부 병원체가 호흡시 유입돼 발생한다.
호흡기 감염은 의료기관을 찾는 가장 흔한 감염병으로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발생률이 높다. 하지만 폐렴을 제외한 하기도 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를 권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급성 기관지염으로 진단받은 소아의 62.5%에서 항생제가 처방된 것으로 조사돼 항생제 사용에 대한 표준지침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기관지염과 세기관지염은 일부에서만 세균이 원인이다.
이번 지침은 소아청소년의 하기도 감염에 대해 항생제 사용방법을 제시한 지침이다. 대상 질병에는 급성 기관지염, 급성 세기관지염 및 지역사회획득 폐렴을 포함했으며 각 질병별 발생 역학, 진단 및 치료방법을 수록했다.
급성 기관지염 및 급성 세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2차 세균감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 지역사회획득 폐렴은 학동기 전 소아인 경우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므로 세균폐렴에 합당한 증상이나 징후가 없으면 항생제 투여없이 경과관찰을 하고 세균폐렴이 의심되면 항생제 치료한다. 합병증이 없는 경우 10일간 유지한다.
지난 해 8월 발표한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에 따라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표준 지침은 감염질환별로 지속 개발 중이다. 이와 함께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항생제의 표준지침에 따른 의료기관 현장에서의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 '항생제 처방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봄철 불청객 황사·미세먼지, 건강관리 위한 공기청정기는 어떻게 골라야 할까? (0) | 2017.04.10 |
---|---|
[스크랩] 미세먼지, 피부에는 어떤 영향 미칠까? (0) | 2017.04.10 |
[스크랩] 생리통약, 아픔 참다가 먹으면 오히려 효과 못 봐 (0) | 2017.04.06 |
[스크랩] 봄이 무서워요~ 만성알레르기비염 다스리기 (0) | 2017.04.06 |
[스크랩] 독성 강한 잇몸 세균, 혈관 타고 온몸 돌며 癌·성기능장애 유발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