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미 관련 그림](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15/2017021502187_0.jpg)
차를 타면 쉽게 멀미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매일 아침 출근길이 고되다. 멀미를 줄일 방법은 없을까?
◇전정기관 예민한 사람, 멀미 잘 생겨
우리 몸은 시각, 전정 감각(귓속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에서 느끼는 감각), 체성 감각(발바닥으로 느끼는 감각)에서 뇌로 보낸 신호를 체계화시켜 균형을 잡는다. 그런데 몸이 격하게 흔들리면 이 세 가지 감각이 뇌에서 제대로 체계화되지 않으면서 멀미가 생긴다. 예를 들어 차를 타면 평소보다 몸이 심하게 흔들린다. 이때 귀의 전정기관(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평형기관) 속 림프액도 빠르게 흔들리면서 뇌에 신호를 전달한다. 하지만 시각과 발바닥 감각은 귀보다 덜 민감한 상태여서 뇌로 보내는 신호와 귀가 보낸 신호가 일치하지 않아, 뇌에서 혼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전정기관이 예민한 사람일수록 멀미를 잘 겪는다. 전정기관이 예민한 사람은 ▲편두통이 잦거나 ▲놀이기구를 잘 못 타거나 ▲3D 영화를 봤을 때 어지럼증을 잘 느낀다는 특징이 있다.
◇버스 앞 좌석 타고 눈은 창밖 봐야
귓속 전정기관이 최대한 덜 흔들리도록 해야 멀미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나 자동차를 탈 때는 흔들림이 적은 앞 좌석을 이용하고, 시선은 창밖에 둔다. 밖을 보면서 가면 차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파악이 가능해 눈이 귀의 반응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각 자극 자체를 차단하기 위해 눈을 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몸의 부교감신경을 억제해 구토나 속 울렁거림을 완화하는 멀미약을 먹는 것도 방법이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15/2017021502304.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거북목, 두통 유발… 턱 당기는 자세로 통증 완화 (0) | 2017.02.16 |
---|---|
[스크랩] 우울증보다 위험한 조울증, 눈치 채기 어려워 더 주의해야 (0) | 2017.02.16 |
[스크랩] Q.삼킴 기능 높이려면? A.입으로 촛불 끄는 연습하거나 칫솔로 입안 자극 (0) | 2017.02.16 |
[스크랩] 당신의 자율신경은 안녕하십니까? ③ (0) | 2017.02.16 |
[스크랩] 당신의 자율신경은 안녕하십니까? ①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