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2/2017020202678_0.jpg)
탈모약 복용에 따른 성욕 감소 같은 부작용이 걱정됩니다
Q. 40대 후반 남성입니다. 동국제약에서 출시된 탈모치료제인 경구용 판시딜 캡슐 광고를 보고 문의사항이 생겼습니다. 저는 대머리는 아닌데 가끔 원형탈모(현재도 동전만 한 것이 뒤에 2개임)가 있고,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계절에는 전체적인 탈모와 모발의 굵기가 매우 얇아지는 듯합니다. 판시딜 경구약을 복용하면 탈모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요? 그리고 광고에서는 부작용이 거의 없다고 하는데 다른 의사선생님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탈모치료제는 남성의 성욕과 정력 감소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먹어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장기간 복용하는 약 같던데 위장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엄준철 편한약국 약사](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2/2017020202678_1.jpg)
A. 판시딜은 확산성탈모증에 효과가 있는 약물로, 독일 메르츠사에서 개발한 판토가와 같은 약입니다. 판토가는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판매되며 효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판토가와 같은 성분으로 동일하게 만든 국산 약이 판시딜과 미녹시딜S입니다. 판시딜은 모발 영양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핵심 성분들이 농축돼 있기 때문입니다. 모근에 비타민, 미네랄을 제공해주고 대사를 촉진하며 새로운 모근의 생성을 도와줍니다. 한 알씩 하루 세 번, 3~6개월은 드셔야 효과가 있습니다. 남성형 탈모는 아니라고 말씀하셨지만 만약 남성호르몬 계통인 DHT 수치가 원인일 경우 판시딜만으로는 효과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는 피나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 같은 성분의 처방약을 드셔야 합니다. 피나스테리드 같은 처방약과 일반약인 판시딜을 보조 요법으로 같이 드셔도 좋습니다.
성욕과 정력 감소에 대한 부작용을 걱정하시는데, 판시딜은 비타민에 가까운 약이므로 정력 감퇴 부작용이 없습니다. 탈모약의 정력 관련 부작용은 피나스테리드 같은 처방약에 해당됩니다. 약을 복용하는 동안 성적 욕망 감소, 발기 강직도 감소, 발기 지속력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100명이 복용할 경우 2명 정도에게서 이러한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다른 말로 하면 100명 중에서 98명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한 약을 복용하는 중에만 발생하고 약을 먹지 않으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따라서 정력에 대한 부작용 우려로 복용치 않는 것보다는, 일단 드시는 게 현명합니다. 만약 100명 중 2명에 해당돼 성욕 감소 등이 있으면 주치의와 상담하여 약을 중단하시면 됩니다. 판시딜을 장기간 복용 시 위장에 대한 부작용은 일반 비타민제와 유사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2/2017020202678_2.jpg)
이명 치료제, 어떻게 먹을까요?
Q. 저는 40대 후반 남성으로 이명을 앓고 있습니다. 이명 치료제에 대해 궁금합니다. 기넥신이 효과적인가요? 징코민이 효과적인가요? 지금 현재는 기넥신을 복용하고 있는데, 어느 약국에 가니 기넥신 말고 징코민을 먹어보라고 하네요. 기넥신과 징코민의 차이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임성실 가톨릭대 약대 교수](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2/2017020202678_3.jpg)
A. 현재 기넥신을 드시고 있다 하니, 기넥신을 계속 드셔도 되고 바꿔보고 싶으면 징코민으로 바꿔 드셔도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두 약 모두 이명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려졌습니다. 그런데 몇몇 환자에게서 효능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분께서 섭취하는 동안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계속 드셔도 해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별 도움이 안 된다고 느껴진다면 굳이 이명 치료 목적으로 드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해당 약들을 드시는 동안에 위장장애, 두통, 어지러움, 알레르기 반응, 변비 등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처방약과 약물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약물 사용시에는 해당 약에 대해 반드시 의사, 약사와 상의하시길 권유합니다. 특히 징코민과 기넥신의 주성분인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는 화학 구조적으로 비타민 B6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비타민B6의 활동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 과량 복용 후 ‘대발작 간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의사나 약사의 상의 없이 과량 복용하시면 안 됩니다.
기넥신과 징코민은 은행잎에서 추출한 징코톡신(ginkgotoxin) 또는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성분의 엑기스입니다. 이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기능과 혈행 증가 성향이 있으며, 실제의 주요 성분은 플라보노이드와 테르펜노이드입니다. 두 성분은 신경과 혈관, 심장근육을 산화물질에 의한 손상을 막거나 혈행 개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허가된 용법·용량은 ▲말초동맥 순환장애, 어지러움, 이명에 은행엽 엑기스로서 1회 40mg, 1일 3회 또는 1회 80mg, 1일 2회 경구 투여하고 ▲기질성 뇌기능 장애에는 은행엽 엑기스로서 1회 40~80mg, 1일 3회 또는 1회 120mg, 1일 2회 경구 투여가 권장되나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이 가능합니다.
질문하신 분께 다소 도움이 되고자 이명질환에 대해서 부연 설명을 드립니다. 이명은 귀에서 나는 ‘환상 같은 소리’로서, 사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소음으로 양쪽 또는 한쪽 귀에서 발생됩니다. 발생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때론 원인 불명인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 외이, 중이, 내이 등의 귀 기능의 문제이나, 간혹 귀를 구성하는 뼈나 혈관 문제에 따른 혈행 문제 때문에 발생되기도 합니다. 이밖에 노화, 과다귀밥, 스트레스, 우울증, 메니에르씨병, 치악관절 문제(TMJ disorder), 목이나 두상의 부상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과 함께 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2/2017020202779.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엄지발가락 휘는 무지외반증, 허리·무릎 통증까지 유발 (0) | 2017.02.12 |
---|---|
[스크랩] 집에 꼭 구비해놓아야 할 약(藥) `10가지` (0) | 2017.02.09 |
[스크랩] 알코올이 스트레스 줄여준다? 천만의 말씀… 오히려 악화 (0) | 2017.02.09 |
[스크랩]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0) | 2017.02.05 |
[스크랩] 소리 없이 찾아오는 안면마비, 3일 안에 잡아야 후유증 막는다 (0) | 2017.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