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포커스] 척수 손상으로 인한 배뇨장애
올해부터 신경인성 방광 환자의 자가도뇨 재료비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됐다. 자가도뇨란 도뇨관을 이용해 스스로 소변을 빼내는 것을 말하는데, 그 전에는 선천성 신경인성 방광 환자에게만 보험이 적용됐던 게 후천성 척수 손상 장애인들에게도 그 혜택이 돌아가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척수 손상 장애인 환자 수는 8만명 정도이며, 매년 사고 등으로 인해 2000명씩 환자가 새로 생긴다. 말총증후군 환자, 다발성경화증 환자, 수막뇌염 환자, 신경인성 방광이 동반된 뇌병변 환자 등도 혜택을 받게 된다.
휠체어를 타고 진료실을 찾아오는 대부분의 척수 손상 장애인들은 스스로 소변을 해결하지 못한다. 소변을 빼내지 못하면 여러 문제가 생기는데, 가장 큰 문제는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배뇨 활동을 관리하는 방법이 발전하지 않아서, 척수 손상 장애인의 80%가 2년 이내에 콩팥 손상으로 사망했다. 그러다가 하루에 다섯 번씩 스스로 소변을 빼내는 방법이 개발되면서 콩팥이 손상되는 경우가 줄었고, 평균 수명도 늘어났다. 이들이 겪는 또하나의 문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크다는 것이다. 자가도뇨가 꼭 필요하고 안전한 배뇨 관리법인 게 분명한데도, 일회용 도뇨관을 하루에 다섯 개씩 사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된다.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한 고급형 도뇨관을 쓰려면 한 달에 20만원 이상이 들어가고, 저렴한 제품을 쓰더라도 10만원은 필요하다. 다른 사람들은 아무런 대가를 치르지 않는 소변보는 일이, 척수 손상 장애인들에게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일인 것이다. 따라서 이번 건강 보험 확대 소식은 후천적으로 배뇨장애를 겪게 된 사람들에게 희소식임에 틀림없다. '자가도뇨 소모성 재료 급여 대상자'로 등록되면 일회용 도뇨관 구입 비용의 90%를 환급받을 수 있다. 한 달에 27만원이 들었던 고급형 도뇨관 구입비가 2만7000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 많다.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들이 감당하기에, 신청 절차가 너무나도 까다롭다. 또, 금액이 줄긴 했지만 단돈 몇만원이라도 소변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해야만 한다는 게 안타깝다. 바라는 점이 있다면 더 다양한 형태의 도뇨관이 시장에 나와서 품질이 올라가고 가격은 더 내려가야 한다. 그래서 많은 척수 손상 장애인들이 안전한 자가도뇨를 시행해 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이 높아지기를 희망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4/2017012401620.html
휠체어를 타고 진료실을 찾아오는 대부분의 척수 손상 장애인들은 스스로 소변을 해결하지 못한다. 소변을 빼내지 못하면 여러 문제가 생기는데, 가장 큰 문제는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배뇨 활동을 관리하는 방법이 발전하지 않아서, 척수 손상 장애인의 80%가 2년 이내에 콩팥 손상으로 사망했다. 그러다가 하루에 다섯 번씩 스스로 소변을 빼내는 방법이 개발되면서 콩팥이 손상되는 경우가 줄었고, 평균 수명도 늘어났다. 이들이 겪는 또하나의 문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크다는 것이다. 자가도뇨가 꼭 필요하고 안전한 배뇨 관리법인 게 분명한데도, 일회용 도뇨관을 하루에 다섯 개씩 사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된다.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한 고급형 도뇨관을 쓰려면 한 달에 20만원 이상이 들어가고, 저렴한 제품을 쓰더라도 10만원은 필요하다. 다른 사람들은 아무런 대가를 치르지 않는 소변보는 일이, 척수 손상 장애인들에게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일인 것이다. 따라서 이번 건강 보험 확대 소식은 후천적으로 배뇨장애를 겪게 된 사람들에게 희소식임에 틀림없다. '자가도뇨 소모성 재료 급여 대상자'로 등록되면 일회용 도뇨관 구입 비용의 90%를 환급받을 수 있다. 한 달에 27만원이 들었던 고급형 도뇨관 구입비가 2만7000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 많다.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들이 감당하기에, 신청 절차가 너무나도 까다롭다. 또, 금액이 줄긴 했지만 단돈 몇만원이라도 소변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해야만 한다는 게 안타깝다. 바라는 점이 있다면 더 다양한 형태의 도뇨관이 시장에 나와서 품질이 올라가고 가격은 더 내려가야 한다. 그래서 많은 척수 손상 장애인들이 안전한 자가도뇨를 시행해 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이 높아지기를 희망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4/2017012401620.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인 사망원인 5위 폐렴…65세 이상 노인에게 특히 위험 (0) | 2017.01.31 |
---|---|
[스크랩] 면역력 떨어지면 발생하는 대상포진…젊은층도 발병할 수 있다? (0) | 2017.01.31 |
[스크랩] 초로기 치매, 5년새 20% 증가… 화 갑자기 늘면 의심 (0) | 2017.01.25 |
[스크랩] 재발률 28% 줄이는 심장재활, 年 8000명 보험 혜택 (0) | 2017.01.25 |
[스크랩] 치매치료제, 증상 완화 아닌 진행 막는 약 3~5년 내 나올 듯 (0) |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