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형원 기자]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치료를 받은 환자의 재발 위험을 위점막세포의 메틸화로 예측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일본국립암연구센터는 내시경치료를 받은 조기위암환자 95명을 대상으로 위암 원인으로 알려진 파일로리균을 제거한 후 매년 1회 평균 5년간 내시경검사를 실시. 새로운 위암에 걸린 133명의 분석 결과를 Gut에 발표했다.
DNA메틸화 이상이란 유전자암호가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전자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비정상적인 현상으로 돌연변이와 마찬가지로 암의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이러한 점에 착안해 정상인 위점막세포의 DNA에서 일어나는 메틸화 변화율을 조사했다.
대상자의 메틸화 비율을 높은 순으로 4개군으로 나누자 가장 높은 군의 발생률은 약 20%로 가장 낮은 군(약 7%)의 약 3배였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파일로리균 제거 후 인간의 메틸화 정도를 조사해 위암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연구팀은 "DNA메틸화 이상은 전암(前癌)단계에서도 검출되는 만큼 암 위험 진단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파일로리균을 제거한 건강한 사람의 위암 발생 위험과 다른 암 위험을 진단하는데 널리 활용되길 기대하고 있다.
메디칼트리뷴 김형원 기자 news@medical-tribune.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67518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그래픽 뉴스] 헬리코박터균 독성인자, 위세포 침투… 癌까지 진행 (0) | 2017.01.22 |
---|---|
[스크랩] 위궤양·위암 원인인 헬리코박터균, 일본처럼 무조건 제균 치료가 답일까? (0) | 2017.01.12 |
[스크랩] 위를 건강하게 하는 식품 11가지 (0) | 2016.12.14 |
[스크랩] 위 내시경 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 (0) | 2016.10.24 |
[스크랩]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술 로봇수술 효과적…출혈량 적다 (0) | 2016.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