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김송철 교수팀 15년간 수술환자 예후 분석결과
예후가 불량하여 ‘걸리면 죽는다.’는 인식이 비등한 췌장암의 수술 생존율이 최근 들어 큰 폭으로 높아져 치료에 높은 희망을 보이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간담도췌외과 김송철 교수팀은 췌장암 수술 생존율이 지난 2000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해 최근 수술 환자의 약 30%는 5년 이상 생존하며, 약 80%는 1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지난 200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췌장암 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1,656명을 대상으로 예후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 2000∼2004년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12.4%에 불과했지만 최근 5년(2010∼2014년)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26.8%로 크게 늘어나 15년 사이 생존율이 2배 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췌장암 수술환자를 5년 단위의 환자군으로 나눠 생존율 추이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 2000∼2004년 환자군 201명의 1년・2년・3년・5년 생존율은 각각 61.0%, 31.1%, 18.4%, 12.4%로 나타났으며, 2005∼2009년 환자군 545명의 생존율은 소폭 증가해 각각 69.4%, 39.3%, 27.7%, 17.2%로 파악됐다.
최근인 2010∼2014년 환자군 910명의 생존율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각각 80.2%, 51.6%, 36.9%, 26.8%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656명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74.0%, 45.0%, 31.3%, 21.1%로 나타났다.
이처럼 췌장암 수술환자 생존율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완치를 뜻하는 5년 생존율이 12.4%에서 26.8%로 뛰어, 2배가 넘는 큰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중앙암등록본부에 등록된 국내 모든 췌장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이 지난 20년 동안 7.6∼9.4%로 한 자리 수에 머물며 큰 변화가 없는 것과 다르게, 췌장암 수술 치료 성적은 크게 향상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한편 이번 임상 분석에는 암의 병기에 따른 수술 생존율도 포함됐는데 암이 주변으로 침범하지 않고 췌장에만 국한되어 있는 췌장암 1기의 경우 52.4%(암의 크기가 2cm 미만)와 47.5%(암 크기가 2cm 이상)로 나타나 전체 수술 환자 5년 생존율인 26.8%보다 훨씬 상회하는 수치를 보였다.
또 주변 장기로의 침범을 보이는 췌장암 2기의 경우 임파선 전이가 없을 때는 30.4%를 보였으나, 임파선 전이가 있을 경우 14.0%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주요 동맥 혈관을 침범해 국소적 진행이 된 췌장암 3기는 14.0%로 역시 낮았다.
결국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병기가 1기라도 다른 암들에 비해 생존율이 매우 낮았으나 3기에 비해서는 3.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선 전이나 주요 동맥 혈관의 침범이 없는 조기 발견의 경우 완치율이 높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임상결과를 발표한 김송철 교수는 “외과적 수술법의 향상 및 소화기 내과적 처치, 다학제적 통합치료 그리고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의 지속적 발전 등이 췌장암 수술의 치료 성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고 말하고, “췌장암 완치는 유일하게 수술로 가능하기 때문에, 고위험군은 정기 검진 등을 통해 췌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한다.”고 강조했다.
의학신문 안병정 의학신문 기자 bjahn@bosa.co.kr
'종류별 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스피린 먹으면 췌장암 위험 46% ↓ (0) | 2016.12.22 |
---|---|
[스크랩] 입안 박테리아로 췌장암 발견, 자주 넘어지면 치매 의심… (0) | 2016.12.09 |
[스크랩] 강남세브란스병원 `췌장암` 강좌 (0) | 2016.11.23 |
[스크랩] 췌장암에 대한 정보를 올립니다. (0) | 2016.11.21 |
[스크랩] 췌장암 예방하는 양치질 ‘바스법’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