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은 몸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소변의 색깔·거품유무·냄새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우리 몸에 생기는 각종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상 소변은 물처럼 색이 없거나, 연한 노란색·황갈색(맥주에 물을 타 놓은 색)이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무색에서부터 진한 호박색(황갈색)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차이는 소변의 농도에 따라 ‘유로크롬’ 이라는 노란색 색소의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탈수 증상 등으로 소변의 절대량이 적어지면 유로크롬의 농도가 높아져 소변 색깔이 진해진다. 비타민B 섭취량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비타민B 섭취가 많으면 형광노란색 소변이 나올 수 있다. 소변이 빨갛게 나올 때 가장 주의해야 한다. 소변에 피가 섞여있다는 뜻이다. 소변은 콩팥에서 만들어져 요관·방광·요도를 거쳐 배설되는데, 이 과정 중 어딘가에서 피가 새어 나오고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소변이 선명한 붉은색이면 요도 근처에서 출혈이 있는 것이다. 요로나 요도의 결석·염증·종양을 의심해야 한다. 소변이 검붉은색이면 조금 더 몸속 깊은 곳에서 출혈이 있는 것이다. 이때는 신장 결석·염증·종양을 의심할 수 있다. 한편 섭취한 식품이나 약물에 의해서도 소변색이 달라질 수 있다. 리팜피신 성분의 결핵치료제·페나조피리딘 성분의 요로감염 약을 먹으면 오렌지색 소변이, 아미트리프틸린 성분의 항우울제를 먹으면 파란색 소변이 나올 수 있다.
소변에 거품이 생겼을 때도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약간의 거품은 큰 문제가 없지만 비눗물 같이 거품이 많이 생기면 '단백뇨'를 의심해야 한다. 단백뇨는 몸속 단백질 성분이 소변으로 빠져나온 것을 말하는데, 콩팥에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난다. 방치하면 만성콩팥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변에서 나는 냄새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소변에서 은은한 과일향이 나면 당뇨병을 의심해야 한다. 당뇨병 합병증인 케톤산혈증이 있으면 혈액 속에 케톤산이라는 물질이 다량으로 생기면서 소변으로도 배출된다. 그런데 케톤산에서 과일향이 난다. 톡 쏘는 암모니아 냄새가 날 때는 방광염을 의심한다. 방광염으로 증식한 세균이 소변속 노폐물을 분해해 암모니아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01/2016120102693.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병 예방하려면 겨울에 운동해야 (0) | 2016.12.26 |
---|---|
[스크랩] 당뇨병 환자 흡연하면…조기사망 위험도 2배 증가 (0) | 2016.12.22 |
[스크랩] 오십견 발병 높이는 당뇨, 겨울철 철저한 관리가 중요 (0) | 2016.11.28 |
[스크랩] 한국 당뇨환자 동맥경화 주범은 작고 단단한 콜레스테롤 (0) | 2016.11.28 |
[스크랩] 한국인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 발생원인...작고 단단한 콜레스테롤(sdLDL) (0) | 2016.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