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위암

[스크랩]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술 로봇수술 효과적…출혈량 적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10. 16.

위암 환자 중에서 특정한 그룹의 환자에서는 로봇수술이 복강경수술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중앙대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팀은 최근 `로봇 위절제술은 누구에게 이득인가? 로봇 위절제술과 복강경 위절제술의 다기관 전향적 비교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출처:시사메디in
출처:시사메디in

박중민 교수

박중민 교수팀은 국내 11개 대학병원에서 로봇 위절제술 또는 복강경 위절제술을 받은 434명의 위암수술 환자 중 223명의 로봇수술 환자와 211명의 복강경수술 환자의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비교적 덜 복잡한 위암수술인 축소된 림프절 절제술을 할 때에는 일반 복강경으로 하던지 로봇으로 하던지 출혈량, 합병증, 입원기간 등에 있어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복잡한 광범위 림프절 절제술을 하는 경우에는 로봇수술을 하면 일반 복강경 수술보다 출혈량이 훨씬 적은 것이 확인됐다.

그동안 암 수술에 있어서 로봇수술이 가장 최소 침습적이고 안전한 수술 방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로봇수술이 복강경 수술에 비해 위암 수술에 있어 구체적으로 어떤 이점이 있는지는 논란이 있어왔다.

오히려 위암에 있어서 로봇수술은 복강경 수술에 비해 비용은 비싸지만 단기적인 수술 결과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위암 수술에 있어 1기 또는 2기의 초기 위암일 때 주로 시행되는 단순한 수술보다는 복잡한 고난이도의 수술을 할 때 로봇수술의 장점이 극대화됨으로써 복강경 수술에 비해 로봇수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했다. 중앙대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는 "암 수술에 있어 출혈이 적다는 것은 그만큼 수술의 합병증이 적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혈 받을 가능성이 적어져 종양학적으로도 장점이 있다"며 "위암 환자 중에서도 표준적인 광범위 림프절 절제술이 꼭 필요한 진행성 위암과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거나 점막하층의 침범이 의심되는 조기위암에 대해서는 보다 안전하고 확실한 림프절 절제를 위해 로봇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박중민 교수의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종양외과학회지(EJSO; 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2016년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시사메디in 조재민 기자 jjm5352@sisamediin.com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