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건강운동법

[스크랩] 운동중독 VS 정상 운동, 차이가 뭐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8. 29.

건강 톡톡

숨이 턱까지 차오를 때까지 달리기를 하고 나면 오히려 기분이 상쾌해질 때가 있다.  이렇게 격렬한 운동을 하며 경험하는 쾌감인 ‘러너스하이(Runner' High)’가 좋아 운동을 지속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자칫 이러한 쾌감에 빠져 운동에 중독되지 않을까 걱정된다면, 지금 여기를 주목하시길.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러너스하이로 인해 운동중독까지 이어지진 않는다.


런닝머신 위 걷고있는 발 모습

운동 통해 쾌감 느끼는 러너스하이,
운동중독으로 이어지진 않아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란 격렬한 운동을 하면서 느껴지는 쾌감과 행복감을 말한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A. J. 맨델이 1979년 처음 사용한 용어다. 운동했을 때 나타나 는 신체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행복감으로도 불 린다. 보통 1분에 120회 이상의 심장박동수로 30분 정도 달리다 보면 러너스하이를 느낄 수 있다. 달리기는 물론 사이클, 야구, 축구, 스키 등 장시간 지속되는 운동이라면 어떤 운동이든 러너스하이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으로 얻는 쾌감인 러너스하이를 자주 느끼고 싶어서 운동을 지속하다 보면 운동중독이 우려될 수 있다. 하지만 운동중독과 러너스하이는 엄연히 다르다. 운동중독은 일상적인 행동이 심각한 습관으로 이어져 중 독으로 발전하는 행동중독의 한 종류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민경 교수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운동을 통해 러너스하이를 느낀다고 해서 운동중 독에 빠지지 않는다”며 “운동을 하면 뇌 속에서 도파민이 분비되며 쾌락,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이라고 말했다.

운동중독은 몇 가지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운동을 하지 않을 때 불안한 마음이 든다든지 짜증이 나는 등 금 단 증상이 있거나, 늘 하던 운동보다 더 많이 해야 만족감 이 들면 운동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운동으로 인해 일 상적인 생활 및 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운동에 중독된 상태일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스스로 운동을 중단하거나 운동량을 줄이는 것을 조절하기 힘든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운동 시간을 정하는 등 행동치료가 우선

운동중독은 심리적인 문제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친다. 운동을 안 하면 불안·초조 등 금단현상이 나타나고, 운동에 집착함으로써 사회활동에 지장을 주고 자기 조절 능력에도 문제가 생긴다. 운동중독은 신체적으로 위협이 될 수 있다. 운동을 과도하게 하므로 인대가 손상 되거나 근육이 파열되는 등 근골격계의 부상 위험이 커진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통해 운동중독으로 진단 받으면 바로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다.

운동중독 치료는 다른 행동중독 치료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면담치료(정신분석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우선된다. 김민경 교수는 “운동중독인 경우, 운동이 해당 환자에게 어떤 개인적인 의미가 부여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정신분석치료인 면담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면담을 통해 환자 스스로도 운동이 자신의 삶에 지나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나면, 이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 방법을 치료자인 의사와 정한다. 운동을 완전히 끊기보다는 하루 1시간으로 운동 시간을 제한하는 등 행동 범위를 정해놓는 치료법이다.


자가진단 기준

운동중독은 아직 진단 기준이 따로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하지만 김민경 교수는 “게임중독과 같은 행동적 측면에서 중독으로 보고 중독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DSM-5(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에 제시된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에 해당하는 방법을 운동중독에 적용한 ‘운동중독 자가진단 표’이다. 아래의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지난 12개월 동안 나타난 경우, 운동중독을 의심해볼 수 있다.

1 운동이 하루 일과의 가장 지배적인 활동이 된다.
2 운동을 하지 않을 때 불안함, 예민해짐 등의 금단 증상이 나타난다.
3 더 오랜 시간 운동을 하고 싶다.
4 운동 시간, 운동량, 운동 강도 등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해봤으나 실패했다.
5 운동을 제외하고 다른 취미, 오락 활동에 대한 흥미가 감소했다.
6 운동중독으로 인한 정신·사회적 문제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7 가족, 치료자 또는 타인에게 자신이 운동을 얼마나 하는지에 대해서 속인다.
8 무력감, 죄책감, 불안 등 부정적인 기분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운동한다.
9 운동 때문에 대인관계, 직업, 학업 등을 소홀히 하거나 위태롭게 한 적 있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