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그밖의 중요 질병

[스크랩] ‘장 천공’ 위험 크론병…조기진단으로 극복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8. 22.

원인 모를 설사, 복통 증상과 함께 항문 주위에 농양과 항문선의 염증으로 고름이 나오는 치루 증상을 겪은 20대 여성 A씨. 그는 여러 병원을 다녔지만 결핵성 장염이 의심될 뿐 명확한 병명을 진단받지 못했다. 게다가 생리까지 중단돼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었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들은 병명은 ‘크론병’이었다.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크론병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항문 등 어느 부위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데, 주로 대장과 소장 부위에서 발생한다. 증상의 종류와 정도는 환자마다 다양한데 초기에는 복통, 설사,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보이고, 빈혈, 구토, 발열을 비롯해 치루, 치핵 등 항문 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진단은 내시경, CT 검사 등 여러 검사를 병행해야 가능하다.

크론병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몸의 면역계통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보고 있다.

▲치료 전후 내시경(사진=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치료 전후 내시경(사진=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크론병 환자가 2011년 1만3900여 명에서 2015년 1만8300여 명으로 4년 새 32% 불어났다. 특히 식습관이 서구화된 10~30대에서 증가폭이 컸다.

크론병은 아직까지는 완치가 어렵지만 약물치료, 금연, 신선한 채소 위주의 식습관 관리 등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유창범 교수는 “크론병은 장기간 방치하면 장과 장 사이에 작은 구멍이 나는 누공이 생기고 배 안에 농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벽의 지속적인 염증과 궤양으로 장 내강(장 내부의 빈 공간)에 협착이 발생하면서 장 천공에 이를 수 있다. 그만큼 크론병은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다. 크론병은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하면 극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dusdnr1663@mdtoday.co.kr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