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약 넣은 후 눈 깜박이면 안 돼… 눈 감고 '눈물점' 눌러 흡수시켜야
입에서 쓴맛 나면 잘못 넣은 것… 안약 통,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
안약을 넣고 난 후 입에서 쓴맛이 나는 경험을 한 사람이 적지 않다. 안약이 목 뒤로 넘어간 것인데, 이런 현상은 약을 잘못된 방법으로 넣어서 생긴다고 한다.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권영아 교수는 "안약을 제대로 넣으면 약이 목 뒤로 흘러가지도 않고, 쓴맛도 안 난다"며 "약 성분이 눈에 잘 흡수되도록 하는 안약 넣는 방법을 알아둬야 한다"고 말했다.
눈, 코, 입은 비루관이라는 긴 관으로 이어져 있다. 눈물이 나면 눈물점(비루관의 입구·빨간 원)을 통해 비루관을 타고 코와 목으로 흘러내려 간다. 안약도 마찬가지다. 안약을 눈에 넣으면 눈물점으로 빠져나가는데, 손으로 눈물점을 지그시 눌러 안약이 흘러내려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권영아 교수는 "눈곱이 끼는 곳 바로 아랫부분에 눈물점이 있다"며 "안약을 넣은 후 그 부위를 살짝 누르면 안약이 목 뒤로 넘어가지 않고 각막이나 결막 등에 충분히 흡수된다"고 말했다. 눈을 깜빡거리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대부분 사람이 안약을 넣고 눈을 깜빡거리는데, 그러면 눈물이 분비되면서 안약이 눈물과 함께 눈 바깥으로 흘러나오거나 쉽게 증발해 버린다. 따라서 안약을 넣었다면 눈물점을 누른 상태로 10~30초간 눈을 감고 있는 게 좋다.
안약 통의 입구 부분을 눈에 닿도록 해서 약을 넣는다면, 이 역시 고쳐야 한다. 안약 통 입구가 눈에 닿으면 눈에 있던 세균 등이 안약으로 옮겨가 증식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고개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을 벌려 1㎝ 정도 떨어진 곳에서 약을 떨어뜨려야 한다.
눈, 코, 입은 비루관이라는 긴 관으로 이어져 있다. 눈물이 나면 눈물점(비루관의 입구·빨간 원)을 통해 비루관을 타고 코와 목으로 흘러내려 간다. 안약도 마찬가지다. 안약을 눈에 넣으면 눈물점으로 빠져나가는데, 손으로 눈물점을 지그시 눌러 안약이 흘러내려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권영아 교수는 "눈곱이 끼는 곳 바로 아랫부분에 눈물점이 있다"며 "안약을 넣은 후 그 부위를 살짝 누르면 안약이 목 뒤로 넘어가지 않고 각막이나 결막 등에 충분히 흡수된다"고 말했다. 눈을 깜빡거리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대부분 사람이 안약을 넣고 눈을 깜빡거리는데, 그러면 눈물이 분비되면서 안약이 눈물과 함께 눈 바깥으로 흘러나오거나 쉽게 증발해 버린다. 따라서 안약을 넣었다면 눈물점을 누른 상태로 10~30초간 눈을 감고 있는 게 좋다.
안약 통의 입구 부분을 눈에 닿도록 해서 약을 넣는다면, 이 역시 고쳐야 한다. 안약 통 입구가 눈에 닿으면 눈에 있던 세균 등이 안약으로 옮겨가 증식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고개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을 벌려 1㎝ 정도 떨어진 곳에서 약을 떨어뜨려야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05/2016070501959.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변, 흘려보내기 전 색깔로 `질병` 유무 확인 (0) | 2016.07.06 |
---|---|
[스크랩] 수건만 같이 써도 전염되는 눈병, 장마철에 특히 주의! (0) | 2016.07.06 |
[스크랩] 술 먹은 다음날 억지 구토?...`식도`에 치명적 (0) | 2016.07.04 |
[스크랩] TV조선 `내 몸 사용 설명서` 중년 건강 지키는 3대 호르몬 공개 (0) | 2016.07.04 |
[스크랩] 열대야 기준 넘어서면 밤잠 설치기 쉬워...극복법은? (0)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