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미만 당뇨병 환자 9년 새 31% 급증…
소아(청소년 포함) 당뇨병 환자가 급증했다는 정부 보도 자료가 최근 발표됐다. 주요 원인은 과도한 당 섭취다. 탄산음료를 자주 마시고, 패스트푸드를 즐기는 등의 식습관이 가장 큰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당뇨병을 조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합병증 위험이 더 높다.

소아당뇨병 늘어나는 이유, 비만 늘어나는 원인과 같아
당뇨병을 앓는 소아 환자가 2006년 4076명에서 2015년 5338명으로 9년 새 31% 급증했다(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여기서 소아당뇨병이란 18세 미만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당뇨병을 말한다. 당뇨병은 혈액 속 당 성분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질환이다. 성인의 당뇨병 진단 기준과 똑같이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고, 식사여부와 관계없이 혈당이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조사 결과, 여자 환자가 남자 환자보다 1.17배 많았고, 9년간 증가율도 여자 환자가 36.6%로 남자 환자(24.9%)보다 높았다. 여자와 남자 모두 16~18세 환자가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고, 10세 미만도 전체의 10%를 차지했다. 한편 3세 이하의 당뇨병 환자도 10만명당 3~4명이었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김대중 교수는 “소아당뇨병 환자가 늘어나는 것은 소아비만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이유”라며 “탄산음료 같은 당이 많이 든 음식이나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는 것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성인돼 실명되거나 콩팥 나빠질 가능성 커
당뇨병이 위험한 이유는 혈중에 떠도는 과도한 당 성분이 혈관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당뇨병이 있으면 동맥경화나 뇌경색 같은 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어렸을 때 당뇨병이 생기면 어떨까? 김대중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당뇨병이 지속되면 혈관이 그만큼 오랜 기간 손상을 입으므로 동맥경화 등의 위험이 더 커진다”며 “특히 나이가 들어 합병증으로 시신경이 손상돼 실명되거나 콩팥이 나빠져 투석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성장에 문제가 생겨 키가 크지 않는 등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이거나, 체중 급격히 빠지고 밤중 소변 많이 보면 의심
소아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비만이다. 김 교수는 “자녀가 비만에 해당하면 한번쯤 소아과에 가서 혈액 검사를 해 당뇨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체중이 급격히 빠지거나 자다가 일어나 소변을 보는 증상이 잦은 것도 소아당뇨병의 증상 중 하나다. 혈당은 보통 100mg/dL 정도가 정상인데, 갑자기 200~300mg/dL 정도로 높아지면 이를 소변으로 배출하기 위해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된다. 이 때문에 체중 감소도 동반된다.
소아당뇨병의 치료는 성인과 동일하다. 비만하지 않도록 살을 빼고 식습관을 개선하는 게 우선이다. 혈당 낮추는 약을 쓰고, 약으로 수치가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기도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31/2016053101023.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혈기 잘못 사용하면 혈당 체크 하나마나 (0) | 2016.06.15 |
---|---|
[스크랩] TV조선 <내 몸 사용 설명서>, 한국형 마른 당뇨를 잡아라! (0) | 2016.06.12 |
[스크랩] 명지병원, 당뇨내분비센터 개소기념 건강강좌 개최 (0) | 2016.05.30 |
[스크랩] 혈당 높을수록 잇몸병 잘 생긴다 (0) | 2016.05.25 |
[스크랩] 당뇨병 초기부터 심혈관 합병증 예방·치료에 신경 써야 (0) | 201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