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나물용 `해품` 콩을 아세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5. 26.

 

안녕하세요~ 농촌진흥청 9기 학생기자 정성지입니다!

 

오랜만에 제주의 소식을 들고 왔는데,

오늘은 어떤 소식일지 궁금하시죠~?

 

바로 제주에 시험 보급되어 이제 종자보급을 시작한

나물용 콩 ‘해품’의 이야기입니다.

 

해품이 어떤 콩이냐고요?

 

 

제주도는 나물용 콩의 82%가 재배되는 곳임에도 바람이 많이 불어

콩의 키가 작아 기계를 이용한 수확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규모로 재배하는 제주에서도 기계수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게다가 수량성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 품종이 바로 해품입니다!

 

▲ 해품 (중기 생육)

 

지금까지는 해품 대신에 풍산나물콩이 재배되어 왔는데요,

이 풍산나물콩은 제주에서 평균 최저착협고가 6cm로서

기계를 이용하면 많은 손실이 예상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 해품은 평균 최저착협고가 14cm라고 하니

콤바인을 통해 콩을 수확하기에 적절하다고 하네요~

 

게다가 풍산나물콩에 비해 빨리 성숙하고 바람에 강하며

성숙한 뒤에 콩알도 튀지 않아 재배에도 편하다니!

또, 풍산나물콩보다 생산량이 10%나 많다고 하니!

효자콩이라고 불려야할 듯 싶습니다~ ^^

 

* 최저착협고란?

지면으로부터 콩 줄기의 가장 낮은 위치에 맺힌 꼬투리의 높이를 말합니다. 최저착협고가 낮으면 일부 꼬투리가 기계날 아래에 위치하여 수확되지 않고 유실된다고 해요~ 콤바인의 경우 15cm 정도는 되어야 손실이 없이 수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해품(좌)과 풍산나물콩(우)의 성숙도 비교

 

이러한 해품은 농촌 인력의 고령화, 콩 재배규모의 확대,

영농조합 등을 통한 재배단지화 등으로 기계수확이 가능한

 품종의 요구에 부합하므로 제주에서 2013년부터 2년간 농가 시험재배를 거쳐

2015년부터 본격적인 종자보급이 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올해를 기준으로 정부보급종도

생산이 될 계획도 있다고 하니 더욱 기대가 되는데요,

해품은 빠른 성숙으로 마늘이나 양파 등의 후작으로도

유리하니 농업인들에게 사랑받을 콩이 분명해요!!

 

이렇게 해품은 개발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많은 지역에서의 적응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은 품종을 개발한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의 김현태 연구사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페트리접시에 담긴 해품과 풍산나물콩

 

Q1. 안녕하세요~ 해품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계기로 개발을 하셨나요?

 

A1. 네, 안녕하세요. 2012년 품종이 개발된 후 품종 명칭에 대해 대국민 공모를 하였는데 응모한 500여건 중 20개를 선정하고 최종적으로 '해를 품고 건강하게 자라는 콩'이라는 의미를 붙여준 ‘해품’이 선정되었습니다.

 

Q2. 농업인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A2. 콩은 대체로 남쪽으로 갈수록 키가 작아지고, 특히 제주에서는 극단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육지에서 키가 60-70cm인 품종이 제주에서는 30-40cm밖에 안됨) 기계로 수확할 경우 예취날(콩을 자르는 부위) 보다 아래쪽에 꼬투리가 많아, 손실이 커집니다. 그러나 해품은 잘 쓰러지지 않고 제주에서 재배하여도 꼬투리 맺히는 부위가 높아 기계로 충분히 수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에서 해품은 다른 어느 품종보다 재배하기 편리하여, 농업인들의 반응이 좋아 재배면적을 늘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 해품의 적응지역

 

Q3. 반대로 해품이 보완되어야 할 점은 어떤 게 있나요~?

 

A3. 현재 해품은 기존에 콩나물용으로 가장 많이 심고 있는 풍산나물콩 보다 콩나물 재배 품질이 나쁘다는 이유로 가공업체에서 생산물의 구매를 꺼리고 있습니다. 사실 해품이 풍산나물콩보다 재배하기 편하고 수량성이 높지만 콩나물 특성은 풍산보다 우수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기계로 수확하기 위해서는 줄기가 마를 때까지 수확시기를 다소 늦추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경우 종자의 품질이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콩나물의 생산과 관련된 특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이제 막 자리잡기 시작한 해품!

앞으로는 해품을 여러분의 식탁위에서도

만나 뵐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  |  |  |  |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과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희망의 새시대를 만들어가는 농촌진흥청 -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