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종은 위 점막에 이형성, 즉 이상 변성(종양화 변화)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 단계로 취급되기도 하는데, 적게는 8%에서 많게는 59%까지 위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모든 위선종이 위암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므로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치료를 결정하게 된다.
위선종, 건강검진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많아
위선종의 특이한 증상은 없으며 시경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로 건강검진을 통한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또는 위 조영 촬영 시 용종이 의심되어 내시경을 시행 후 발견되기도 한다. 위 내시경은 선종을 보면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고 또한 제거도 가능하므로 추천되는 검사이다.
많은 경우에서 내시경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병변의 크기와 위치, 동반된 암의 침범 정도에 따라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법 등으로 치료한다. 이러한 방법 모두 치료 후 출혈, 천공 등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대개 입원 치료가 필요하나 작은 경우에는 외래에서 시행할 수 도 있다.
입원기간은 대개 3~5일 정도로 절제 후 조직 검사에서 ▷이미 미분화암으로 진행했거나 ▷암의침윤 깊이가 깊거나 ▷혈관 또는 림프관을 침범했거나 ▷잔존 암이 있을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위선종과 위용종의 차이는 무엇일까?
위용종은 위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내강으로 돌출되는 모든 융기성 병변을 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상피 세포에서 기원하여 샘종을 거쳐서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신생물성 용종을 선종이라고 한다. 위용종 중 증식성 용종은 샘종에 비하여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확률이 낮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구병변으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위암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제거를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위선종의 이형성 정도와 위선종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어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위선종이 생기는 많은 원인 중에 위염의 역할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선종을 제거하더라도 위의 다른 부위에서 또 다른 선종이나 암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 주기는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서 조금씩 달리 해야 하지만, 1~2년 간격으로 위 내시경 검사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잘 참고하시고 많이들 스크랩해 가세요!!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위암 수술 후 및 항암치료 관리 (0) | 2016.05.26 |
---|---|
[스크랩] 위암의 개요와 종합 정리 (0) | 2016.05.25 |
위암이란 (0) | 2016.05.09 |
[스크랩] "胃癌 수술 합병증, 복강경이 개복보다 35% 낮아" (0) | 2016.05.08 |
[스크랩] 위암 치료..개복,복강경,로봇 수술 어느 쪽이 좋은가? (0) | 201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