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높이는 것이 핵심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하고 한 낮엔 덥기까지한 환절기 들쑥날쑥한 기온으로 인해 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일교차가 커지면 심장과 혈관을 조절하는 자율 신경이 큰 혼란에 빠지기 때문이다. 낮의 더위에 혈관을 확장시키려고 하면 추운 밤이 되어 체온을 떨어뜨려 버리고 추운 밤에 혈관을 수축시켜 버리면 낮의 더위가 체온을 올려버린다. 자율신경이 혈관을 확장시키고 수축시킬 때, 혈관뿐만 아니라 동시에 혈압과 맥박수가 크게 변하고 기관지도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어 심혈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급격히 증가된다.
![괴로워하는 노인모습](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6/03/25/2016032501969_0.jpg)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일교차가 1℃ 증가하면 사망률이 0.5%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협심증과 같은 관상동맥성 심장질환(CHD)의 노인 사망률은 일교차가 1℃ 변함에 따라 2.46% 증가한다. 따라서 기존 심혈관 질환자는 물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천식 등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 담배를 많이 피운 사람이 만성적으로 기침이 나고 호흡곤란이 있다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의심해야 하는데, 이러한 환자는 일교차가 1℃ 증가할 때 입원율이 약 3% 증가한다. 천식도 일교차가 1℃ 증가하면 입원율이 1.1% 증가한다.
환절기 건강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변화 특히 큰 일교차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부신이 코티졸을 잘 분비하도록 휴식을 많이 취하고 좋은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다. 일교차가 커지면 얇은 옷 위에 자켓을 걸치는 식으로 더위와 추위에 다 적응할 수 있는 옷차림을 하는 것이 좋다. 낮에는 얇은 티셔츠 등으로 대응하고 저녁에는 자켓으로 추위에 대비해야 한다. 새벽에는 포근한 이불과 추위를 방지하는 가벼운 난방으로 체온을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또 비타민 C와 항산화 피토케미칼이 풍부한 과일, 채소, 차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감초, 생강, 마늘, 양파, 부추 등은 염증을 가라앉히는 성분이 들어있어 환절기에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반면 양념 치킨, 갈비, 삼겹살, 케이크, 새우 튀김 같은 기름진 음식이나 설탕이 많이 들어간 탄산음료, 국수나 만두 같은 밀가루 음식은 몸의 염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삼간다. 단백질은 피로 회복과 해독에 도움이 되므로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데 주로 기름지지 않은 살코기, 생선, 두부, 계란 흰자와 같은 느끼하지 않은 음식으로 섭취한다.
면역을 위해 운동은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운동은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환절기에는 가급적 기온이 낮은 새벽에는 운동은 삼가고 낮에 온도가 올라간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아령 운동이나 기구 운동 같은 순간적으로 힘을 많이 소모시키고 몸에 부담을 주는 운동보다는 자전거, 속보, 수영, 조깅 등을 유산소 운동을 자신의 운동 능력보다 조금 낮은 강도에서 시행한다. 준비 운동을 평소보다 길게 하고 2일 1회 정도로 규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특히 몸이 피곤하거나 컨디션이 안 좋은 날은 운동이 과하면 심장이나 몸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운동을 쉬는 것이 좋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5/2016032502047.html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을 극복하려면 (0) | 2016.04.03 |
---|---|
[스크랩] ‘품위 있는 죽음’은 삶만큼 중요하다 (0) | 2016.03.31 |
[스크랩] 병문안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0) | 2016.03.27 |
[스크랩] 소변검사에 대한 정보... (0) | 2016.03.23 |
[스크랩] 항산화(황노화) 높이는 4가지 방법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