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정월장`이 맛있다는데 정월이 끝나기전에 장 담가보세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3. 7.

 

 

2월 20일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에서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전통 식생활 문화와 더불어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전통장 담그기 체험 행사가 있었습니다.

 

된장은 우리 음식문화의 뿌리이자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전통 발효음식이면서

우리 식탁에 빼놓을 수 없는 천연 조미료입니다.

 

 

전 전통장을 배우기 위해 용곡동에 있는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전통장 담그기 교육은 전통식품 명인 제65호 백정자 강사님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가족단위로 많은 분들이 참석했습니다.

 

 

실내에서 버선본에 새해 소망 적어볼 수 있었는데요,

옛날 선조들의 지혜로움이 항아리에 버선을 거꾸로 매달아 걸어두면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새끼줄을 꼬아보는 체험도 할 수 있었는데요,

왼새끼를 꼬아서 항아리에 두른 다음 버선본을 걸어둔다고 합니다.

 

 

실내에서 새끼줄까지 꼬은 다음, 밖으로 나가서 정갈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금줄도 치는 의식을 통해서 부정타지 말고 맛있는 장이 만들어지기를 빌어보았습니다.

 

 

장독대에 들어가기 전에 금줄도 치고 장고사를 지냈는데요,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가 소금과 정안수를 담은 작은 상을 놓고

 정성스레 엎드려 절을 했습니다.

 

 

이제 전통장 담그기를 해볼 수 있었는데요,

먼저 메주는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말려 준비합니다.

 

 

그런 다음, 천일염을 준비해서 거름망 바구니에 물을 계속 부어가며 녹여줍니다.


소금물이 준비되면 소금물의 염도 측정 방법을 해보는데요,

달걀을 퐁당~ 넣어 500원 동전크기 정도 보일 정도로

달걀이 띄워지면 적당하다고 합니다.

 

 

씻어 말린 메주는 항아리에 차곡차곡 담고~ 소금물을 항아리에 부어줍니다.


맨 마지막에 메주 위에 천일염 소금을 한줌 올리고 말린 고추와 숯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항아리에 금줄도 치고 액막이용 버선본을 걸어둡니다.

 

음식의 맛과 가족들의 건강을 좌우하기에 한해 중요한 장 담그기 행사가 정말 중요한데요.

그 집 음식 맛을 알려면 장맛을 보면 알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장맛이 중요해서 옛 선조들의 지혜로움이 느껴지는 장독대를 깨끗하게 닦고

정성을 다해 관리했던 것 같습니다.

 

 

바른 발효 음식문화 정착으로 건강도 지키고

전통 식생활 문화도 계승해 나갈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건강에 좋은 된장과 간장 많이 드시고 건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통장 담그는 방법>
메주 6개 10kg 천일염 5kg 물 생수병 2리터 *10 마른 고추, 숯(곰팡이 방지와 탈취 역할)
메주 3개 5kg 2.5kg 생수병 2리터 *5 소금물은 하루 전에 미리 풀어둡니다.

* 장 담그기 좋은 날은 음력 정월 중 말날이나 닭날이 좋다고 합니다.
1. 메주는 솔을 이용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립니다.
2. 항아리에 말린 메주를 차곡차곡 넣습니다. (김치류를 담았던 항아리는 사용금지!)
3. 소금물을 항아리에 채웁니다. (소금물은 소금을 체에 걸러 물을 부으며 녹이는데, 싱싱한 계란을 넣었을 때 500원짜리 크기가 보일정도가 적당합니다.
4. 불붙은 숯, 마른 붉은 고추, 대추 5~ 6개를 띄웁니다. 메주가 뜨지 않으면 소금을 더 넣어 메주가 뜨도록 합니다.
5. 항아리에 망사를 씌워 맑은 날에는 뚜껑을 열어 햇볕에 숙성시킵니다.
6. 50일 이후 된장과 간장을 분리한 후 간장은 적당히 달입니다. (3개월 이상 충분히 숙성 후 드세요~)

 

 

  |  |  |  |  |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과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희망의 새시대를 만들어가는 농촌진흥청 -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