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진단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드라마, 소설의 소재로 자주 쓰이는 강박장애는 사실 인구 중 2~3%가 겪고 있을 정도로 흔한 병이다. 강박장애란 무엇이며, 어떻게 의심할 수 있을지 알아본다.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하나로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인 사고와 강박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강박장애 진단법은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을 관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강박적인 사고는 현저한 불안과 고통을 동반하는 부적절한 내용의 사고, 충동, 영상을 지속적으로 반복한다. 강박장애 환자는 강박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강박적인 행동을 통해 고통을 줄이거나 두려운 사건, 상황을 방지하려고 한다. 강박적인 사고를 막거나 머리에서 지우기 위해 하는 강박적인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은 제공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불안을 증가시킨다. 강박행동은 반복행동이나 정신적인 활동으로 나타나며, 환자에게 현저한 고통을 주고 시간을 소모시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줘야 한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순서나 규칙성에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많고,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두기도 한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강박장애 환자는 침입자에 대해 지나치게 경계하는 모습을 보인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침실에 들어가기 전 문이 제대로 잠겼는지를 과도한 수준으로 여러 번 확인한다. 또 강박장애 환자들은 강박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상황, 사람, 장소, 물건 등을 피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강박장애가 심한 경우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거나 직장, 학교를 그만두기도 한다.
반복적인 손 씻기, 숫자 세기 등의 강박행동이나 더럽다는 생각으로 공공화장실을 가지 못하고 성적인 강박사고로 인해 이성과의 만남을 회피하는 등의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강박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강박장애 진단법에 해당하지 않는 자신만의 강박적인 사고, 행동이 존재하거나 스스로 비합리적인 행동을 보인다고 의심해도 강박장애로 진단한다. 하루에 1시간 이상 강박적인 생각을 하거나 행동을 해 정상적인 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렵다면 강박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
강박장애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치료한다. 인지행동치료는 환자가 강박을 느끼는 환경에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강박 행동을 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인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완벽하게 고치기는 어려운 불치병으로 인식되지만 적극적으로 치료한다면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다.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면 치료효과가 높다. 조기 치료 환자 10명 중 3~4명은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03/2016020301391.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절 후 팔꿈치 통증, 약 대신 휴식 취해야 (0) | 2016.02.11 |
---|---|
[스크랩] 세탁기 청소법 (0) | 2016.02.11 |
[스크랩] "배변 시 허리 숙이면 대변 잘 나와" (0) | 2016.02.05 |
[스크랩] 눈·귀·발바닥의 균형 감각, 일치하지 않아 생겨 (0) | 2016.02.05 |
[스크랩] 남성 갱년기 자가진단…우울하고 성욕 떨어지면 필요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