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藥문問약藥답答
안 먹으면 안 될까? 처방약을 받아드는 순간 제일 먼저 떠오르는 질문이다. 약 먹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 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만성질환자 가운데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 사람은 선진국에서도 겨우 절반 에 불과하다. 미국에서 처방대로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열 명 중 다섯, 호주에서 천식약을 처방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은 열 명 중 네 명이다. 인체에 더욱 치명 적인 에이즈 같은 병에 걸린 환자라면 그보다는 나을 거 라고? 그렇게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에이즈의 원인 바이 러스인 HIV를 지속적으로 억제하려면 환자의 복약 이 행률이 적어도 80%는 넘어야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준에 맞게 약을 복용하는 환자는 전체의 절반 수준이다.
복약 이행률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약까지 등장
의사가 처방해준 대로 약을 복용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사회적·의료적 비용은 엄청나다. 미국에서만 매년 340 조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12만5000명이 사망한다. 약만 제대로 복용해도 막을 수 있는 연간 사망자 수가 충남 논산시 인구에 맞먹는 셈이다. 문제가 이 정도로 심각하다 보니 환자의 복약 이행률을 어떻게 높일 것인 지에 대한 미국 기업의 연구도 활발하다. 약 먹을 시간 이 되면 알람이 울리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한 제약사도 있고, 약 복용시간에 맞춰 약통 뚜껑에서 빛이 반짝거리면서 소리를 내는 스마트 약병을 개발한 벤처기업도 있다. 요일별·시간별로 칸칸이 나눠진 약상자에 알약을 넣 어두면 아침, 점심, 저녁 정확히 때를 맞춰 알람과 함께 해당 칸 트레이를 열어주는 스마트 약상자도 있다.
똑똑해진 이런 약병과 약상자는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데도 주인이 약을 먹지 않으면 환자 또는 보호자의 휴대전화 로 연락을 보내기까지 한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약 자체에 센서를 붙인 스마트 알약도 있다. 알약을 삼키면 약에 부착된 마이크로칩 센서가 위액과 반응해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낸다. 그러면 환자 배에 붙여둔 패치가 이 신호를 잡아서 스마트폰으로 기록을 보낸다. 스마트 알약은 2012년에 의료기기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2015년 9월에는 일본의 한 제약회사가 양 극성 장애와 조현병을 치료하는 알약에 이 센서를 탑재 하여 FDA에 신약 승인을 신청하기도 했다.
전 미국 공중위생국장 에버렛 쿱 박사는 “약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에게는 약효가 나지 않는다(Drugs don’t work in patients who don’t take them)”라는 명언을 남겼다. 그의 말대로 약이 효과를 보려면 우선 환자가 처방에 따 라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환자의 절반만 약 복용을 준수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환자 상태가 좋아지지 않는 이 유가 약의 효과가 없어서인지,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 하지 않기 때문인지 의사가 판별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 스마트 알약은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마트 약병이나 약상자는 환자가 약을 꺼내서 먹 지 않고 버려도 잡아낼 방법이 없지만, 스마트 알약은 환자가 실제로 약을 삼켜서 센서가 위산과 반응해야만 신호를 보내므로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지 더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알약의 사용이 확산된다면 보험가입자들의 약 복용을 모니터링해서 약 을 제대로 복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여 보험료를 차등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성질환은 증상 약해 약 복용 게을러지기 쉬워
불행히 어떤 첨단기술을 동원한 것이라 해도 약 복용을 돕는 장치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스마트 약병은 약 먹을 시간을 잊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자의 적으로 약 복용을 중단하려는 사람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 스마트 알약 또한 기본적으로 환자 동의 없이는 사용하기 어렵다. 환자도 자유 의지를 가진 사람이기에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약 사용을 강제할 수 없다. 누구든지 먼저 왜 자신이 어떤 약을 복용해야 하는 지를 먼저 이해하고 나서야 그 약을 제대로 복용할 의지 가 생긴다.
특히 고혈압이나 골다공증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가 심각하다. 혈압이 높거나 뼈가 약해졌다고 눈에 띄는 어떤 증상이 나타나진 않는다. 애초에 증상이 있었던 게 아니니 약을 복용한다고 뭔가 더 좋아지는 느낌도 없다. 병원에서 혈압을 재거나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약 효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고혈압약이나 골다공증약을 먹는다고 환자가 건강해짐을 느낄 수는 없는 것이다. 환 자 입장에서는 약의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더 신경 쓰이 기 마련이다. 이럴 때는 약을 복용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게 좋다.
골다공증 환자에게 약은 안전벨트와 같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안전벨트가 사고를 막아주진 못한다. 하지만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할 확률이 줄어들도록 보호 해 줄 수는 있다. 골밀도가 낮은 사람은 가벼운 낙상에 도 뼈가 부러질 수 있다. 특히 엉덩이뼈가 부러지면 심각 한 문제가 된다. 엉덩이뼈 골절이 심하면 걸어다닐 수 없어서 병원에 오랫동안 입원해야 하고, 누워 지내는 기간 중에 빠른 속도로 근육이 소실되어 건강이 급속도로 나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벨트를 맸다고 운전을 함부로 하면 안 되는 것처럼, 골다공증 치료제를 먹는다고 겨울철 미끄러운 길에서 뛰어서는 안 된다. 낙상을 피하 는 게 우선이다. 하지만 골다공증 치료제를 복용하면 일상에서 약간의 물리적 충격에 쉽게 골절상을 입는 걸 막 는 데 도움이 된다.
항고혈압약을 먹는 이유도 비슷하다. 흥분하거나 머리가 아플 때 혈압이 오른다는 말을 종종 쓰지만 급성고혈압 으로 인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 자체는 증상이 없다. 가스관이 노후해도 가스가 새기 전까지는 아무 냄 새가 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낡은 가스관을 그대로 방치하면 언젠가는 가스 폭발 사고를 일으킬 확률이 높은 것처럼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결 국 혈관과 인체 장기에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가스관이 낡으면 관을 교체하면 되지만, 우 리 몸의 혈관이 오래되었다고 전체 관을 교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혈압을 적절한 수준으로 낮춰주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약의 효과 제대로 알면 복용률도 높아져
약이 어떻게 우리 몸에 작용하고 처방대로 약을 복용 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이해하는 것은 HIV 치료약을 처방받은 환자들에게도 중요하다. 미국 매사 추세츠공과대학(MIT)의 존 무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 은 에이즈 환자들에게 약 복용에 맞춰 알람을 울려주 고 동시에 약이 몸에서 어떻게 HIV 바이러스와 전투를 벌이는지 보여주는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첨 비(Chumby)’라는 작은 전자장치를 줬다. 보스턴 메디컬 센터와 협력으로 진행된 이 실험 결과, 실험 대상자 4명 중 3명의 복약 이행률이 이상적인 수치인 95%에 도달했다.
무어 박사의 실험 결과는 환자 스스로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약 복용의 효과에 대해 더 잘 이해하도록 도우면 약을 제때 복용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세계보건기구가 내세우는 21세기 의료계의 최대 화두 도 의약품의 안전 사용을 위한 ‘환자의 참여’다. 수동적으로 주어진 약을 복용하는 게 아니라 약의 효과와 부 작용, 복용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묻고 모르는 점이 있으면 확인해서 자신의 건강관리를 주도적으로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의 사용이 가능 하다는 것이다. 약 복용을 제대로 하려면 질문부터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약 안 먹으면 안 될까? 궁금하면 참지 말고 먼저 물어보자.
복약 이행률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약까지 등장
의사가 처방해준 대로 약을 복용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사회적·의료적 비용은 엄청나다. 미국에서만 매년 340 조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12만5000명이 사망한다. 약만 제대로 복용해도 막을 수 있는 연간 사망자 수가 충남 논산시 인구에 맞먹는 셈이다. 문제가 이 정도로 심각하다 보니 환자의 복약 이행률을 어떻게 높일 것인 지에 대한 미국 기업의 연구도 활발하다. 약 먹을 시간 이 되면 알람이 울리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한 제약사도 있고, 약 복용시간에 맞춰 약통 뚜껑에서 빛이 반짝거리면서 소리를 내는 스마트 약병을 개발한 벤처기업도 있다. 요일별·시간별로 칸칸이 나눠진 약상자에 알약을 넣 어두면 아침, 점심, 저녁 정확히 때를 맞춰 알람과 함께 해당 칸 트레이를 열어주는 스마트 약상자도 있다.
똑똑해진 이런 약병과 약상자는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데도 주인이 약을 먹지 않으면 환자 또는 보호자의 휴대전화 로 연락을 보내기까지 한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약 자체에 센서를 붙인 스마트 알약도 있다. 알약을 삼키면 약에 부착된 마이크로칩 센서가 위액과 반응해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낸다. 그러면 환자 배에 붙여둔 패치가 이 신호를 잡아서 스마트폰으로 기록을 보낸다. 스마트 알약은 2012년에 의료기기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2015년 9월에는 일본의 한 제약회사가 양 극성 장애와 조현병을 치료하는 알약에 이 센서를 탑재 하여 FDA에 신약 승인을 신청하기도 했다.
전 미국 공중위생국장 에버렛 쿱 박사는 “약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에게는 약효가 나지 않는다(Drugs don’t work in patients who don’t take them)”라는 명언을 남겼다. 그의 말대로 약이 효과를 보려면 우선 환자가 처방에 따 라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환자의 절반만 약 복용을 준수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환자 상태가 좋아지지 않는 이 유가 약의 효과가 없어서인지,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 하지 않기 때문인지 의사가 판별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 스마트 알약은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마트 약병이나 약상자는 환자가 약을 꺼내서 먹 지 않고 버려도 잡아낼 방법이 없지만, 스마트 알약은 환자가 실제로 약을 삼켜서 센서가 위산과 반응해야만 신호를 보내므로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지 더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알약의 사용이 확산된다면 보험가입자들의 약 복용을 모니터링해서 약 을 제대로 복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여 보험료를 차등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성질환은 증상 약해 약 복용 게을러지기 쉬워
불행히 어떤 첨단기술을 동원한 것이라 해도 약 복용을 돕는 장치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스마트 약병은 약 먹을 시간을 잊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자의 적으로 약 복용을 중단하려는 사람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 스마트 알약 또한 기본적으로 환자 동의 없이는 사용하기 어렵다. 환자도 자유 의지를 가진 사람이기에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약 사용을 강제할 수 없다. 누구든지 먼저 왜 자신이 어떤 약을 복용해야 하는 지를 먼저 이해하고 나서야 그 약을 제대로 복용할 의지 가 생긴다.
특히 고혈압이나 골다공증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가 심각하다. 혈압이 높거나 뼈가 약해졌다고 눈에 띄는 어떤 증상이 나타나진 않는다. 애초에 증상이 있었던 게 아니니 약을 복용한다고 뭔가 더 좋아지는 느낌도 없다. 병원에서 혈압을 재거나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약 효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고혈압약이나 골다공증약을 먹는다고 환자가 건강해짐을 느낄 수는 없는 것이다. 환 자 입장에서는 약의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더 신경 쓰이 기 마련이다. 이럴 때는 약을 복용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게 좋다.
골다공증 환자에게 약은 안전벨트와 같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안전벨트가 사고를 막아주진 못한다. 하지만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할 확률이 줄어들도록 보호 해 줄 수는 있다. 골밀도가 낮은 사람은 가벼운 낙상에 도 뼈가 부러질 수 있다. 특히 엉덩이뼈가 부러지면 심각 한 문제가 된다. 엉덩이뼈 골절이 심하면 걸어다닐 수 없어서 병원에 오랫동안 입원해야 하고, 누워 지내는 기간 중에 빠른 속도로 근육이 소실되어 건강이 급속도로 나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벨트를 맸다고 운전을 함부로 하면 안 되는 것처럼, 골다공증 치료제를 먹는다고 겨울철 미끄러운 길에서 뛰어서는 안 된다. 낙상을 피하 는 게 우선이다. 하지만 골다공증 치료제를 복용하면 일상에서 약간의 물리적 충격에 쉽게 골절상을 입는 걸 막 는 데 도움이 된다.
항고혈압약을 먹는 이유도 비슷하다. 흥분하거나 머리가 아플 때 혈압이 오른다는 말을 종종 쓰지만 급성고혈압 으로 인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 자체는 증상이 없다. 가스관이 노후해도 가스가 새기 전까지는 아무 냄 새가 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낡은 가스관을 그대로 방치하면 언젠가는 가스 폭발 사고를 일으킬 확률이 높은 것처럼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결 국 혈관과 인체 장기에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가스관이 낡으면 관을 교체하면 되지만, 우 리 몸의 혈관이 오래되었다고 전체 관을 교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혈압을 적절한 수준으로 낮춰주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약의 효과 제대로 알면 복용률도 높아져
약이 어떻게 우리 몸에 작용하고 처방대로 약을 복용 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이해하는 것은 HIV 치료약을 처방받은 환자들에게도 중요하다. 미국 매사 추세츠공과대학(MIT)의 존 무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 은 에이즈 환자들에게 약 복용에 맞춰 알람을 울려주 고 동시에 약이 몸에서 어떻게 HIV 바이러스와 전투를 벌이는지 보여주는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첨 비(Chumby)’라는 작은 전자장치를 줬다. 보스턴 메디컬 센터와 협력으로 진행된 이 실험 결과, 실험 대상자 4명 중 3명의 복약 이행률이 이상적인 수치인 95%에 도달했다.
무어 박사의 실험 결과는 환자 스스로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약 복용의 효과에 대해 더 잘 이해하도록 도우면 약을 제때 복용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세계보건기구가 내세우는 21세기 의료계의 최대 화두 도 의약품의 안전 사용을 위한 ‘환자의 참여’다. 수동적으로 주어진 약을 복용하는 게 아니라 약의 효과와 부 작용, 복용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묻고 모르는 점이 있으면 확인해서 자신의 건강관리를 주도적으로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의 사용이 가능 하다는 것이다. 약 복용을 제대로 하려면 질문부터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약 안 먹으면 안 될까? 궁금하면 참지 말고 먼저 물어보자.
![정재훈](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6/01/05/2016010502733_0.jpg)
정재훈
과학, 역사, 문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관점에서 약과 음식 의 이면에 숨겨진 사실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많은 약사다. 현재 대한약사회 약바로쓰기운동본부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방송과 글을 통해 약과 음식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재훈의 생각 하는 식탁>이 있다.
과학, 역사, 문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관점에서 약과 음식 의 이면에 숨겨진 사실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많은 약사다. 현재 대한약사회 약바로쓰기운동본부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방송과 글을 통해 약과 음식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재훈의 생각 하는 식탁>이 있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잠자고 일어났을 때 개운한 수면자세는? (0) | 2016.01.12 |
---|---|
[스크랩] 누워서 멍 때리는 시간은 창의적 사고의 ‘결정적 순간’ (0) | 2016.01.12 |
[스크랩] 때 밀었더니 피부 수분 줄고, 얇아져… (0) | 2016.01.12 |
[스크랩] 미세먼지 가득할 때 지켜야 할 생활수칙 6가지 (0) | 2016.01.11 |
[스크랩] 목디스크 걱정이라면, 스마트폰 내려놓고 `이 자세` 취해야 (0)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