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윙윙! 꿀벌의 1년~ 궁금하시죠?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5. 12. 18.

 

 

꿀벌은 곤충인 것 같은데 작아도 축산과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꿀벌들의 월동 포장을 하면서 꿀벌의 1년을 그려보는데요,

지금 이렇게 포장을 하면 내년 입춘을 지나고 깨울 겁니다.

 

겨울 땅바닥이 차갑지 않고 습기 차지 않게 보호해 주어야 하고

사람도 내의를 입듯이 속포장, 겉포장해서 겨울을 지나야

새봄에 과일에 모든 농작물에 수정을 도와 열매를 ?게 해주는

꿀벌로 살아남게 해야 하는 게 양봉농가의 역할입니다. ?

 

양봉은 게으른 사람은 못하는 일인데요, 새벽에 일을 하고 이동은 밤이나 새벽에 합니다.

오전 10시면 다른 사람 하루 일한 거 다 한 거랍니다.

 

 

이 사진은 쾌적한 산속에서 생활하던 꿀벌을

겨울을 나기 위해 집으로 이동 해오는 중입니다.

 

벌의 특성상 건드리면 다 튀어나와서 쏘고 벌떼처럼 덤비고 날기 때문에

활동이 멈춘 밤이나 새벽에 이동을 시킵니다.

 

 

지역에 따라 기온 차이는 있지만 중부내륙은

11월말에서 12월초까지 월동 포장을 합니다.

 

?그냥 두면 얼어 죽고 식량이 없으면 굶어죽는 게 꿀벌이기 때문에 아기 키우듯한답니다.

 

 

벌통 속에도 보온 덮개를 덮어 따뜻하게 해줍니다.

이 속에 있는 벌들은 육아도 안 했고 일도 안 하고 자란 벌인데요,

일을 많이 시키면 일찍 죽는답니다.

 

?무사히 겨울을 나고 봄까지 벌을 한순배 키워주고 종족 번식을 하고 일생을 마칠 벌들입니다.

 

 

월동준비가 끝난 봉장은 영상 8도가 되면 바깥활동을 하고

나머지 시간은 집안에서 생활하는 거지요!

 

?추우면 공처럼 뭉쳐서 안에 있던 놈은 밖으로 나오고 밖에 있던 놈은 안으로 들어가면서

봉구를 지어 서로 순환하며 저장해놓은 양식을 조금씩 먹으면서 겨울을 살아갑니다.
?
2월에서 3월 입춘을 전후하여 벌 깨우기를 합니다.
꿀벌들은 이때부터 자연의 기운을 느끼고 봄 준비를 해요.

 

밖에는 꽃도 없고 꿀벌이 살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양봉가는 미리 알아서 화분과 물을 공급해주고

영양분을 주어 새끼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설 지나고 2월에 눈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히려 날씨가 차고

봄 온다고 나올까 봐 그때는 꼭 벌집 앞을 가려줍니다.

 

 

4월이면 진달래, 벚꽃, 복사꽃 필 때 자연의 꽃꿀을 먹으며

아카시아꿀 채취하기 위한 군세를 늘립니다.

 

 

4월 접어들면 식구가 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여왕벌이 다니며 알을 낳고 구멍이 뚫린 자리는 아직 돌봐주어야 하는 애벌레가 들어있는데요,

꿀벌은 21일, 수벌은 24일 만에 태어납니다.
?
잔잔하게 봉해 놓은 곳은 돌보아주지 않아도 날짜 되면

스로 머리 위부터 더듬이를 돌리며 태어날 충판입니다.

 

아랫부분 벌집이 큰 것은 수벌 집인데, 덩치가 좀 더 커요. ㅎㅎ

필요할 때 생산했다가 월동 들어갈 때면 쫓겨나야 하는 수벌입니다.

 

 

?4월말경이면 도토리 화분을 가져오는데요,

맛있는 자연 화분이 들어오니 좋아서 어쩔 줄을 몰라요~

 

화분을 채우면 꿀색이 짙어지고 공간도 적어지기 때문에

이때 도토리화분을 받습니다.

 

 

이건 꿀벌들이 가져온 도토리 화분인데,

벌이 가져왔다고 하기엔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송화가루 날리는 때여서 송화가루 도토리 꽃가루 섞여서 아주 맛있는 화분이에요.

 

 

5월 아카시아꽃이 필 때면 꿀벌은 꿀을 많이

물어오려고 그러는지 몸이 뚱뚱해져 보입니다.

 

만개한 아카시아 꽃송이마다 드나들며 벌들은 향긋한 꿀을 채취해옵니다.

 

 

이때가 양봉인의 농사 성공의 승패를 가리는 시기입니다.

 

꿀벌도 춤추고 양봉농가도 춤추는 아카시아꽃 피는 5월에서 꽃피는 날짜 따라

지역을 이동하며 6월까지 야생화꿀, 밤꿀 채취를 하게 되는 거랍니다.

 

양봉하는 사람마다 각자 키우는 방법이 다르기는 해도

일 년 내내 공들여 키워서 얻어내는 결실입니다.
(프로폴리스 로열젤리 그 외에도 꿀벌 부산물은 버릴게 없다고 합니다!)

 

6월에서 7월은 그냥 두면 집이 복잡하여 분봉날 우려가 있어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눈에 안 띄는 곳으로 작게 또는 크게 분봉이 나면 받을 수도 없이 잃어버리는 거랍니다.

 

 

항상 쾌적한 온도에서 생활하는 것이 꿀벌들의 목표인 거 같습니다.

식구가 늘어나서 복잡해지면 가차 없이 새로운 여왕 만들어놓고

구왕이 왕성한 일벌들 데리고 무리 지어 나가버립니다.

 

양봉농가는 이를 놓치면 손해이고 해서 때를 맞추어 여왕 이충을 하여

늘였다 줄였다 해주는 전문 기술이 필요하답니다.

 

분봉 날 때는 다음날 태어날 여왕을 만들어 놓은 상태인데요, ?

현재 일할 수 있는 젊은 일벌들을 다~ 데리고 나와 근처 나무에 앉아 있고

 정찰병이 나가서 갈 곳을 보고 올 때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주인이 못 보고 붙잡아 들이지 못하면 날아가 버리면 양봉농가는 손해를 보는 것이지요.

이러지 않도록 환경 조성을 해주어야 해요~!!

 

 

이때부터 산속 농약 피해 없는 곳에서 다래 화분도 받고

여름나고 식구도 늘리고 낙엽이 지고 월동 들어갈 때까지 이곳에서 보냅니다.

 

▲ 다래 화분 받는 동영상

 

 

 

꿀벌이 육아를 하기 위해 가져오는 화분(꽃가루)인데, 화분마다 색깔이 다르지요?

이건 아카시아꿀을 뜨고 들어오면 가져오는 다래 화분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여러꽃에서 가져와 색깔이 바뀌었어요.

 

 

꽃가루는 생산품이 아니라 꿀벌이 가져오는 자연의 것이라는 걸 많이들 알고 계셔서

판매가 곧잘 되어서 양봉농가에 보탬이 되는 품목입니다.

 

 

꽃에 따라 다른 화분이 들어오는데요, 이건 완전 야생화 화분이에요.

 

많은 양이 들어올 때는 산란에 압박을 받기 때문에

시간대를 맞춰서 화분을 받습니다.

 

 

8월이 되면 평화로움을 깨는 말벌들의 무서운 괴롭힘이 있습니다.

 

말벌이 기승을 부리고 진득이(응애)가 붙고 양봉농가는

꿀벌을 잡아먹고 사는 말벌 퇴치를 해서 꿀벌을 보호해야 하는데요,

벌 트랩을 놓고 수시로 순찰하며 말벌을 잡습니다.

 

진득이(응애) 처리도 해주어야 하고요~ 기회를 놓치면 장애를 가진 꿀벌이 태어납니다.

날개가 없어 날지 못하고 기는 벌들은 꿀벌에게 무서운 질병이랍니다.

 

꿀벌은 꽃에서 식량을 구해서 살아가는데 양식이 떨어지면 굶어죽는데요,

장마에 꽃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양식을 주어서 생명유지를 시켜줘야 합니다.

 

양봉농가는 아카시아꽃 한창 필 때 진짜배기 꿀을 얻는 대신

1년 내내 돌봐주고 그야말로 키워야 하는 양봉(養蜂)을 하고 있습니다.

 

 

주인이 못 본 사이 말벌이 물어 죽은 꿀벌들인데요, 정말 기막힌 광경이지요.

 


매미채로 말벌을 잡아서 끈끈이에 붙여 놓았는데,

말벌은 동료를 구출하려고 와서 같이 죽습니다.

 

 

9월은 한더위가 가고 나면 식구를 늘리기 위해 많은 육아를 시작하지요.

서늘한 가을이 오고 겨울을 무사히 나려면 군사가 적으면 못 살아남아요.

 

군사가 있어야 월동을 한다는 사실을 꿀벌들은 아는데요,

충분히 먹어야 식구도 늘리고 활동을 하는데 밖에는 충분한 먹이를 채취해올 꽃이 없답니다.

양봉농가는 계속하여 벌들을 돌봐주고 식량을 주어 키워야 하는 거지요.

 

 

10월은 어느 정도 군사가 채워지면 겨울 동안 먹을 식량을 저장해주어야 하기에

육아를 하던 곳에 먹이를 저축하기 시작합니다.

 

이 또한 양봉농가의 몫인데요, 식량을 채울 땐 새끼를 못 키우기 때문에 산란을 멈춥니다.

 

 

찬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먹고 놀기만 하던 숫벌은 내쫓습니다.

덩치가 큰 수벌이 문지기가 못 들어오게 하여 소문 앞에서 벌벌 떨고 맴돌다 죽어요.

 

11월은 평온한 가운데 식량 가득 채워두고

활동을 많이 안 해서 몸도 줄이고 다이어트 한다고 할까요?

낮에 따뜻할 때 잠시 나와서 낮놀이 잠깐 하는 정도로 활동합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날은 햇살이 눈부시고 오히려 따뜻해서

꿀벌이 밖으로 나와서 눈에 앉으면 못 일어나고 바로 동사하기 때문에 못나오게

벌집 앞을 완전히 막아놓기도 하고 빨리 벌집 앞에 눈을 1m 이상 치워줍니다.
?

정말 모든 농사가 공력을 들여야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  |  |  |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과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희망의 새시대를 만들어가는 농촌진흥청 -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