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쌀한 바람이 부는 겨울철엔 체온이 떨어지면서 기초대량은 줄어든 데 반해 식욕은 증가해 살이 찌기도 쉽다. 이런 겨울철에 쉽게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은 걷기다. 걷기는 특별한 도구나 장비 없이도 심장이나 근육, 뼈, 관절 등 신체 모든 부위를 건강하게 할 수 있다. 또 겨울에는 눈부신 설경을 감상하려 산행하거나 겨울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스키장으로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 골절이나 동상등 위험이 많은 겨울철엔 어떻게 운동해야 할까?
◇걷기
걷기 운동을 할 때는 편하고 가벼운 옷차림이 좋다. 땀 흡수가 잘되는 소재의 옷이 좋고 두꺼운 옷 한 벌보다는 얇은 옷 여러 벌 입는 것이 체온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찬바람을 막고 눈이 올 경우 방수가 잘되는 옷이 좋으며, 밤에는 눈에 잘 띄는 흰옷을 입는 것도 도움이 된다. 걷기에 적당한 운동화는 발뒤꿈치 쪽의 쿠션이 좋고 신발 앞부분이 부드럽게 구부러지며, 발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공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다. 걷는 동안 열을 받아 뜨거워진 발을 빠르게 식혀줄 수 있도록 통풍이 잘되는 것이 좋다. 운동하기 전, 준비운동으로 겨울철 굳어있는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운동 후, 피로 물질인 젖산이 쌓이지 않도록 마무리 운동을 하는 것도 잊지말아야 한다. 걷기 운동은 흙이나 잔디가 있는 곳이 좋다. 딱딱한 콘크리트 바닥은 장시간 걸을 경우 발목과 무릎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
◇겨울 산행
겨울 산에는 추위, 눈사태, 강한 바람 등의 자연적인 위험요소가 많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산행을 떠나기 전 운행계획을 세우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사전에 안내책자나 지형도 등을 이용해 코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 또 미리 가고자 하는 곳의 날씨와 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상청 홈페이지, 전화(지역 번호+131) 등을 이용해 날씨를 확인한다. 겨울산행 복장은 보온과 방풍이 좋은 제품을 골라야 한다. 양말이나 장갑은 반드시 여분을 준비해 눈에 젖었을 경우 바꿔 신어야 한다. 또 겨울철 산행은 눈을 헤치고 산을 올라야 하는 등 체력소비가 많다. 사탕이나 초콜릿 등 열량이 높은 간식을 준비해 수시로 섭취해야 한다. 가벼운 당일 산행의 경우 보온병이나 도시락을 준비해 따뜻한 물이나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다.
◇스키
겨울이면 많은 사람이 스키장을 찾아 겨울스포츠 스키를 즐긴다. 그러나 스키장에서는 미끄러짐, 넘어짐, 충돌 등으로 인한 근골격계 손상과 함께 자외선으로 인한 눈 손상이 자주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겨울철 스키장에서의 자외선은 도심에서보다 강하다. 눈이 부시고 이물감, 통증, 눈물 흘림 등이 나타나는 설맹증이나 각막화상 등이 생길 수 있다. 스키장에서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고글 착용은 필수이다. 흐린 날이라고 자외선이 없는 것이 아니므로 적절한 농도와 색의 고글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충격에 쉽게 날라가 보호 효과가 떨어지는 선글라스보다는 위, 아래, 옆이 다 막힌 스포츠용 고글이 가장 좋다. 또 스키장에서는 넘어져 근육이나 인대가 다치는 경우가 흔하다. 스포츠를 즐길 때는 평소보다 긴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으로 몸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07/2015120702488.html
'암치유에 도움 > 건강운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겨울철 대표 스포츠 스키·보드, 안전하게 즐기려면? (0) | 2015.12.16 |
---|---|
[스크랩] 골다공증 운동 가이드, 어떤 운동이 좋을까? (0) | 2015.12.14 |
[스크랩] 여러분!!빨리 걸으세요!! (0) | 2015.12.10 |
[스크랩] 근육 리모델링 ➎ 어깨 강화 운동 (0) | 2015.12.06 |
[스크랩] 족저근막염 예방에 도움되는 `발 스트레칭법` (0) | 2015.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