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식약처, 순대·떡볶이떡 등 HACCP 인증 의무화 추진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5. 11. 4.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순대, 떡볶이떡 등 국민이 자주 찾는 식품에 대해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해썹)을 의무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HACCP이란 소비자가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서 엄격하게 평가한 식품에만 붙인 마크이다. HACCP은 해당 식품의 원재료가 생산되는 단계부터 소비자가 식품을 섭취하는 전 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들어가는 것을 막아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위생 관리 시스템이다.

그릇에 담긴 떡볶이
그릇에 담긴 떡볶이/사진=조선일보 DB

HACCP은 위해 분석(HA: Hazard Analysis)과 중요 관리점(CCP: Critical Control Point)으로 구성되어 있다. HA는 위해 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가공·공정하는 흐름에 따라 분석·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CCP란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점을 말한다. 다시 말해, HACCP은 전 공정에서 CCP를 정한 후, 각 CCP의 지점에서 설정된 위생 기준에 따라 이를 관리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를 미리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HACCP이 의무화 완료된 품목은 ▲어육가공품(어묵류) ▲냉동수산식품(어류, 연체류, 조미 가공품) ▲냉동식품(피자류, 만두류, 면류)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식품) ▲배추김치이다. 또 어육소시지·과자·캔디류·빵·즉석섭취식품 등 8개 품목은 2020년까지 HACCP을 의무화 할 것을 추진하고 있다.

식약처는 순대, 알 가공품, 떡볶이떡에 대하여 2017년까지 HACCP 인증을 의무화하고, 관련 제조업체들이 HACCP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기술을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1/02/2015110202276.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