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시대
나이가 든다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썩 유쾌하지만은 않은 일이다. 하루가 다르게 깊어지는 주름에 속상해 할 틈도 없이 중년 여성을 괴롭히는 게 또 있다. '여성의 가을'이라 불리는 갱년기다.
- 여성이 괴로워 하고 있다.
보통 여성의 신체가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바뀌는 시기는 45세에서 55세. 우리나라 여성은 평균 49.3세에 폐경을 맞는다. 신체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월경불순, 무배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결국 폐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폐경은 단순히 월경이 끝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난소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기관인데, 이 기능을 상실하면서 체내의 에스트로겐이 부족해져 여성의 몸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갱년기 장애'라고 한다.
증상은 폐경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폐경 초기에는 시도 때도 없이 얼굴이 붉게 달아오르는 안면 홍조가 가장 흔한 증상. 그 외에도 불면증, 우울증, 식은땀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폐경 중기에는 질 건조증에 의한 성교통이나 빈뇨, 요실금 등의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 갱년기 장애 증상은 단순히 불편을 참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폐경 후기로 가면 골다공증이나 심혈관질환, 치매까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폴리코사놀10
여름철, 갱년기 여성 건강 위협하는 심혈관질환
폐경이 되면 혈관 속에 지질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는 여성호르몬이 줄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심혈관질환 환자가 50대 이하에서는 남성이 더 많지만, 60대 이후부터는 여성 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 70대 이상에서는 오히려 여성 환자가 더 많다. 가슴 통증, 복통, 피로감,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나도 가볍게 여기는 일이 다반사. 더위 탓에 갱년기 초기 증상이 심해진 것으로 여겨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사망에까지 이르는 것이다.
따라서 갱년기 여성은 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파악해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는 고혈압,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 혈당 수치, 흡연, 비만, 스트레스, 가족력 등이 있다. 자신이 심혈관질환 위험군에 속한다면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와 함께 혈관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장수국가로 유명한 쿠바의 사탕수수 껍질에서 추출한 지방족 알코올 혼합물을 90% 함유하고 있는 레인보우앤네이처의 '폴리코사놀'은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도움이 된다. 쿠바 국립과학연구소에 따르면, 폴리코사놀을 하루 5~10㎎씩 3년간 복용한 결과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최대 29%까지 상승했으며,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은 최대 26% 낮아졌다. 원활한 혈액순환을 막는 LDL을 낮추고 혈액 속 나쁜 지방 성분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HDL을 높여 혈관 건강을 지키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증상이 있는 폐경 이후 여성이 폴리코사놀을 3개월 섭취한 결과 HDL이 30% 가까이 증가했으며, LDL은 3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폴리코사놀은 2006년 식품안전의약처로부터 건강기능식품 중 효과가 가장 강한 제품에게 주어지는 '생리활성기능 1등급'을 인정받은 바 있다.
- 아벡솔 지.아이
관절염 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중년 여성
갱년기 여성들은 혈관건강과 더불어 관절건강 역시 신경 써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무릎 관절염 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50세 이상이 전체 환자 약 260만 명 중 89%(약 230만 명)였으며, 그중 여성 환자가 17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절염 환자 10명 중 7.3명 이상이 여성 관절염 환자인 것이다.
폐경과 함께 여성호르몬 분비가 중단되면서 폐경 후 첫 4~6년 사이에 골 손실이 급격하게 이뤄진다. 이 때문에 뼈가 약해져 각종 척추·관절질환 발병 위험이 커진다. 관절질환은 움직임에 영향을 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특히 노년층은 근력이 약하고 고혈압, 당뇨병 등의 합병증 때문에 관절염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도 문제다.
따라서 관절질환이 발생하기 전이나 증상이 더 악화되기 전에 미리 건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절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운동으로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면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근력운동이 부담스러운 사람이라면 관절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을 먹는 것도 좋다. 우리 몸은 음식과 산소 등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인 활성산소를 만드는데, 이 물질이 관절건강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를 통해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것이다.
벌집의 밀랍에서 6가지 고분자지방족 알코올을 추출해 만든 비즈왁스알코올을 주원료로 하는 '아벡솔 지.아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관절건강 도움에 대한 기능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이다. 비즈왁스알코올이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소를 증가시켜 관절 내 연골세포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연골이 손실되거나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대한내과학회지>에 따르면 관절염 증상이 있는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한 결과 비즈왁스알코올을 먹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관절의 불편함이 77.9%, 뻣뻣함이 89.7%, 관절 통증이 69% 낮아졌다고 밝혔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23/2015072302265.html
'암치유에 도움 >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타민 B1 결핍증, 신경에 이상일으켜…술 자주 마시면 조심해야 (0) | 2015.07.29 |
---|---|
[스크랩] 비타민E 결핍증엔 견과류가 답 (0) | 2015.07.27 |
[스크랩] 레인보우앤네이처, 할인 이벤트 외 (0) | 2015.07.22 |
[스크랩] 프로바이오틱을 유제품으로 섭취해야 되는 이유 (0) | 2015.07.21 |
“국내 유통 홍삼 건기식, 기능성 성분 기준치 충족” (0) | 201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