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오래간만에 시간을 내어 지하철 1호선 성균관대역 2번 출구에서 25번 마을버스를 타고 당수동 시민농장으로 향했습니다.
당수동 시민농장은 수원시 농업기술센터에서 관리하는 곳으로, 수원시가 국유지를 임대해 시민농장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수원시는 당수동 시민농장을 도시농업 중심의 테마파크 공원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봄이면 노란 유채꽃이 만발하고, 여름엔 메밀밭과 청보리밭, 백련단지로, 가을엔 코스모스로 꾸며지는 꽃밭이기도 한데요, 2019년까지 도시농업 중심의 테마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에 있습니다.
수원시 당수동 시민농장에 들어서면 텃밭으로 들어서는 입구에는 포토존으로 이용되는 벽화들이 인상 깊게 그려져 있는데요, 사실감 있게 그려서인지 실물인지 혼동할 정도로 세심하게 그려졌습니다
빈 수레를 끄는 소와 그 옆을 걷고 있는 흰 모자 아저씨도 좁다랗게 이어진 흙길을 걸어가고 있는 모습을 그린 벽화는 색칠된 벽화였지만, 어릴 적 시골에서 보며 자랐던 풍경이라 정감 가는 느낌이었어요.
벽화가 그려진 포토존을 벗어나 뒷길로 걸으면 연꽃단지와 황금 보리밭, 코스모스 단지 등이 드넓게 펼쳐진 시민농장입니다.
그 한편에는 시민들이 심어 놓은 고구마, 콩, 채소들이 자라고 있고, 아이들 생태체험장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연꽃단지는 주로 백련으로 홍련은 10줄 정도 심어졌는데요, 백련이 주가 되다 보니 수수한 풍경을 보여 주었던 연꽃단지로 바로 그 옆에는 가을인 양 활짝 피어있는 코스모스가 단지를 이뤘습니다.
당수동 시민농장은 시민농장이라기보다 식물원처럼 다양한 꽃들로 만발했는데요, 시민들이 농사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테마공원입니다.
이외에도 잎은 수렴제나 지혈제로 사용되고, 민간에서는 오줌싸개 치료로 이용되며, 땅 속 뿌리인 연근은 비타민과 미네랄 함량이 높아 요리에 많이 이용됩니다.
완연한 가을인가? 싶게 착각할 정도로 일찍 피어난 코스모스들은 남들보다 한발 더 빨리 꽃을 피우는 부지런을 피었는데요.
이젠 가을엔 코스모스라는 말도 옛말이 될 듯싶습니다.
그런가 하면 코스모스 군락지 위쪽에는 황금보리밭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누렇게 익은 보리밭은 추수할 날만 기다리는 듯했습니다.
보리는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5곡 중의 하나이기도 한데요, 보리에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이 많고 다른 곡물에 비해 섬유질이 풍부합니다.
보리밭 옆으로는 수원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생태학습원도 볼 수 있답니다.
생태학습원에는 방울토마토,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이 심어져 있고요~ 생태학습원이다보니 어딘지 모르게 엉성한 듯하면서도 잘 가꾸어진 듯 보였습니다.
아이들이 가꾸는 작물들이라 키도 자그마한 것처럼 보였지만요. ㅎ
도시농업은 도시 공동텃밭에서 출발한 농업으로 도시와 농촌 간 교류를 통해 직거래를 하고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으로 발전해 도시농업을 발전시켜 나간다고 하는데요, 현재 수원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도시농부는 약 5,000여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수원 당수동의 시민텃밭은 해당 농장에서 자유롭게 농사를 지을 수 있지만, 수원시에서 바른 먹거리를 알리는 친환경 유기농 재배 원칙으로 운영되는 까닭에 화학비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이유로 비닐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신문지를 깔고 빗물이 잘 스며들게 하고, 화학비료 사용을 하지 않고 텃밭을 키워나간다고 하는데요, 내 손으로 심고 키우는 친환경 먹거리니 그보다 더 안심되는 건 없을 것 같습니다.
당수동 시민농장은 앞으로 시민텃밭과 함께 침엽수원과 약초원, 이끼원, 수목원과 식물원까지 조성할 계획이라고 하니 도시민들의 쉼터이자 복합 테마공원으로 탈바꿈하게 될 수동 시민농장이 기대됩니다. |
|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물놀이 후 걸릴 수 있는 녹농균이란... (0) | 2015.07.23 |
---|---|
[스크랩] 당뇨병·흡연, 귀 혈관 막아 청력에 악영향 (0) | 2015.07.22 |
[스크랩] 무릎 환자는 산 대신 바다로 가세요 (0) | 2015.07.21 |
[스크랩] 휴(休)~, 여름이다! (0) | 2015.07.17 |
[스크랩] 농업은 95% 과학이다..2015창조농생명과학대전 (0) |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