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선진국에 비해 진단받는 속도가 3~5배 정도 늦고, 발병 나이가 어릴수록 더 늦게 진단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대한류마티스학회 2014).
대한류마티스학회가 우리나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5376명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첫 증상 발현 후 진단까지 평균 20.4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6.4개월), 벨기에(5.75개월), 덴마크(3~4개월) 등에 비해 3~5배 정도 늦다.
특히 발병 나이에 따른 진단 지연을 살펴본 결과, 발병 나이가 어릴수록 진단 지연이 심각했다. 20세 미만에서 발병한 경우는 40.7개월, 20대 31.6개월, 30대 24.6개월, 40대 18.9개월, 50대 14.1개월, 60대 11.8개월, 70대 이상은 8.8개월로 발병 나이가 어릴수록 증상 발현 후 진단까지의 기간이 더 길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초기부터 관절 손상이 시작돼 치료가 불충분할 경우 증상 발현 2년 이내에 환자의 70%에서 관절 손상이 발생하며, 진단이 지연될수록 장애를 겪는 비율도 높아진다. 이번 조사에서 증상 발현에서 진단까지 12개월 미만인 환자보다 12개월 이상 지연된 환자가 일상생활 기능장애 정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 기능장애가 없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비율은 진단까지 12개월 미만이 걸린 환자(22.9%)가 12개월 이상이 걸린 환자(20%)보다 더 높았다.
대한류마티스학회 심승철 홍보이사는 "젊은 연령층의 환자는 나이 많은 연령층에 비해 관절염에 대한 지식이나 경각심이 부족해 관절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게 문제"라며 "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방문해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염증성 관절염이 아닌지 정확한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 ▲ 사진=조선일보 DB
<류마티스관절염의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위한 TIP>
1.류마티스관절염은 특정 연령에서 생기는 질환이 아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근본 원인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과 유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으며 면역시스템 조절 항상성이 작동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성별, 나이와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아침에 관절이 뻣뻣한 증상이 6주 이상 지속되면 류마티스관절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보통 소관절(손가락·발가락)에서 대관절(어깨·무릎·팔꿈치)로 증상이 진행하지만, 노인에서는 대관절 침범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퇴행성 관절염으로 오해하지 않고, 어린이에게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성장통으로 오인하지 않아야 한다.
2. 류마티스인자 검사에서 음성이어도 마음 놓으면 안된다.
류마티스관절염 증상이 의심되어 류마티스인자 검사를 받은 결과가 음성이라 해도 류마티스관절염일 수 있다. 류마티스인자 검사는 민감도가 높은 검사는 아니어서, 전체 류마티스환자의 20%는 류마티스인자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다. 특히, 만성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류마티스관절염이 아니어도 류마티스인자가 양성으로 나올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류마티스인자 검사, 초음파 검사, MRI 검사 등을 종합하여 전문의의 판단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3. 류마티스관절염은 면역기능 높인다고 치료되는 질병 아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이라는 이유로 면역력을 증진하는 식품, 민간요법 등 대체요법으로 완치 가능하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류마티스관절염은 신체 면역기능 이상으로 관절을 둘러싼 활막에 염증이 생기고 점차 염증 수치가 높아지면서 뼈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과는 무관하다.
4. 류마티스관절염은 평생 지속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류마티스관절염의 궁극적인 치료 목적은 증상을 완전히 없애고 염증 등의 검사 수치를 정상화 시키는 것이다. 한 번 변형된 관절은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부터 꾸준히 치료해야 하며, 약물과 운동 치료를 병행해야 나중에 올 수 있는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줄일 수 있다.
5. 류마티스관절염은 환자 상태에 맞는 운동을 해야 한다.
관절염이 있다고 움직이지 않으면 관절이 약해지고 관절 주위 근육도 굳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의 조언에 따라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절운동으로 시작해 근육운동, 유산소운동 순으로 강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스트레칭으로 굳은 관절을 풀어주고, 관절이 움직이는 범위가 커지면 근육 운동을 시작한다. 이후 관절염 증세가 크게 호전되면 유산소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lhn@chosun.com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뜨거운 찜질 멀리해야 하는 `관절염` 있다 (0) | 2014.10.30 |
---|---|
[스크랩] 퇴행성관절염 예방법, 체중 관리하고 자세는 `이렇게` (0) | 2014.10.27 |
[스크랩] 4050 등산족, 무릎 부상 가을에 많이 겪어 (0) | 2014.10.17 |
[스크랩] 바른세상병원 척추·관절 건강강좌 (0) | 2014.10.15 |
[스크랩] 20분도 못 걸었는데… 풍선 부풀려 넓히면 1시간 `거뜬` (0) | 201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