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건강차 만들기
1. 명목차(明目茶)만들기
결명자.감국(각10g). 물(1l)
ㄱ. 결명자를 깨끗이 씻어서 말린후 푸라이팬에 살짝 볶는다.
ㄴ. 감국 과 함깨 보자기에싸서 물을 붓고 끓인다.
ㄷ. 마실때 설탕이나 꿀을타서 마신다.
*게속 마시면 눈이 밝아지며,변비증세가 있는 사람과 혈압이 높은사람에게 특히 좋다.
2. 보혈차(補血茶)만들기
당기.청궁(각10g).물(1ㅣ)
ㄱ. 당귀와 천궁을깨끗이 씻어 물을 붓고끓인다.
ㄴ. 끓기시작하면 불을 줄여서 은은하게 달인다.
ㄷ. 마실때 꿀을 조금 타서 마신다.
*피를 맑게 하여피로를 풀어주고 피부를 곱게해주는 약으로서 특히 부인들에게 좋은 약차이다.
3. 보신차(補腎茶)
두충.산약.산수유(각10g).물(1l)
ㄱ. 두충(杜沖)을 우유에 적시어 속의 실이없어질 정도로노랗게볶는다.
ㄴ. 산약고(山藥)과 산수유(山茱溜) 를 깨끗이 씻은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ㄷ. 용기에물을붓고 다리다가 물이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려은은하게달인다.
ㄹ. 미실때 잣을 몇알 띄우고 꿀을조금식 타서 마신다.
*허리가 약하고 아픈데와 귀가 우는데와 양기가 부족한데 좋은차이다.
4. 구기자(枸杞茶)
구기자(20g).대추(2개) 밤(2개) 물(1l)
ㄱ. 용기에 함깨넣고 물을 부어 은은하게 달인다.
ㄴ. 마실때 꿀을타서 마시면 더욱 좋다.
*기력도 좋아지고 精神도 상쾌해지며양기를 도와준다.
5. 생맥차(生脈茶)
황기(12g).맥문동(去心:심을뺀것)(8g)오미자.(4g).물(1l)
ㄱ.위의 재료를.함깨 넣고 물을 부어다리다가 끓기 시작하면불 을 줄여 은은하게 다린다.
ㄴ.먹을때 꿀 을 조금씩 타서 마신 다.
*기운이 없을 때 生氣 를 도다주는 좋은 약차이다.
6. 상엽차(桑葉茶)
뽕잎
ㄱ.뽕잎을 말려 가루를 만든다.
ㄴ.마실때는 끓는 물을에 우려내여 마신다.
ㄷ.꿀을 조금 타서 마시면 더욱 좋다.
*.고혈압.당뇨에 선약(仙藥)이다.
7. 솔감차
솔잎(25g) 감잎(10g). 물(1l)
ㄱ. 솔잎과 감나무잎을 그늘에 말려 분말한다.
ㄴ. 마실때는 끓는 물에 잠시넣어서 우려낸 뒤 꿀을 조금 타서 마신다.
ㄷ. 마실때 잣 을 몇 알 띄워 마시면 더욱 좋다.
* 당뇨와 고혈앞에 좋으며 갈증을 해소하고 몸에 부종이 있을때 부기 를 빼 주는 역활 도 한다.
8. 쌍화차(雙和茶).
백작약(10g). 황기(4g). 당귀(4g).숙지황(4g). 천궁(4g). 계피(3g).감초(3g)생강(3쪽). 대추(2개). 물(1l)
ㄱ. 물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려 은은하게 닳리다.
ㄴ. 마실때 꿀을 타서 닭걀 노란자를 넣어면 더욱 좋다,
ㄷ. 물의 양과 제료의 양을 적당히 조절해서 구미에 맞게 먹는다.
*피로가 겹졌을 때.즉 방사(房事)한 후에 힘든일을 하거나 또 큰병을 앓고난후 원기가 돌아오지않을때 몸살일 때 먹어 도 좋다.
9. 삼자차(三子茶)
오미자(16g).산수유(8g).구기자(8g).생강(3쪽),대추(2개).물 (1l).
ㄱ. 물 이끓기 시작하면 불을주리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인다.
ㄴ. 마실때 꿀 을 타서 마신다.
*심장병 과 기침천식 에 좋으며 신장을 도와 정력에도 좋다.
10. 은행차(銀杏茶).은행(20g).물(1l).
ㄱ. 은행 껍찔을벗겨서 속알을 후라이판 에 살짝 볶은 다음 물을 부어끓인다.
ㄴ. 물이끓기 시작하면 불을줄여 풍근하게 달린다.
ㄷ. 찌꺼기는 채로 바쳐서 걸러낸다. ㄹ 마실때 꿀을 타서마시면 좋다.
*은행차 는 천식이 있는사람 과 기침을 많이하는 사람에게 좋다.
또한 은행은 정력 강화제로 도 쓰여왔스며 페와 위의 탁한기를 맑힌다.
11. 인호차(人胡茶).
인삼(6g) 호도육(10g).생강(8g).물(1L).
ㄱ.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 문근 하게 달인다.
ㄴ. 마실 때 꿀을 타서 마신다.
*기침을 하고숨이 찬 사람에게 좋은 차이다. 만성 기관지염 이나 만성천식 이나 페허증 어로 기침을 하며 숨이 차서 눕지못 하는대 좋다. 단 실열자(實熱者)는 금해야한다.
12. 작설차 (雀舌茶).
작설(15g) 물(1L)
ㄱ. 작설을 깨끗이 싯서 말인다음 용기에넣고 끓은물을 부어 우려낸다.
ㄴ. 찌꺼기를 건져 내고찻잔에 따라마신다. *주독을 풀어주며 고혀압.저혈압.당요병.동맥경화.등각종성인병을 치료하고 예방한다. 또피를 맑게하며 또 머리와 눈을밝게 갈증을해소헤주고 모진독을없새준다
*임신중에마시면입덧이 없서지고기형아를 예방할 수 있다.
13. 우목차(牛木茶).
우슬(20g).목과(20g).생강(2쪽).대추(2개).물(1l).
ㄱ. 은은한 불에 끓인다
ㄴ. 마실대 꿀이나 설탕 을타서마신다.
* 손발에 힘이없고 저리고 마비가오고 특히 다리가 아프고 관절에 염증이 있거나 허리.등. 의 통증과 생식기(生殖器) 가.위축되는 병을다스린다.
* 십이경맥(十二經)을돕고 활혈.생혈(生血)하는약제이다.
14. 삼과차(三果茶)
대추(5개).은행(5개).호도(3개).물(1L).
ㄱ. 은은한 불에 달린 다음 찌꺼기를 건져내고마신다 ㄴ.꿀을 타서 마시면 더욱 좋타.
*대추는 오장의 기능을 화해주고 비위를튼튼하게 해 주고 양기를 돕는다.
은행과 호도는 영양분도많은데다 페경을 도와주는 진해거담제(鎭咳祛痰劑)로 좋다.
15. 오과차(五果茶).
밤(3개).대추(2개).곳감(2개).은행(10알).호도(2개).물(1 L).
ㄱ.은은한 불에달린 다음 찌꺼기는 건져내고 마신다.
ㄴ. 꿀을타서 마신다.
*강장(强壯).강정제(强精劑)로 좋은차 이다
16. 율무차.
율무
ㄱ.율무쌀을 볶아서 가루를 낸후에 끓는물에 타서 마신다.
ㄴ.꿀이나 설탕을 타서마신다. *풍과 습으로 인하여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것과
힘줄이 때기고 펴지못하는 것과 기침.페결핵을 다스린다.
*오래먹어면 식욕이증진 되면 몸이가벼워진다. 단 많이 먹어야 효울 본다. *임 신중에는 마시지말것이다
17. 솔잎차 솔잎(松葉)
ㄱ. 생솔잎(우리나라솔잎)한줌을 분쐬기에 갈아서 야구루트 3 개를 타서 공복으 로한컵 씩 마신다
ㄴ.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솔잎 50g에 물 1L 를 넣고 끓인후 찻잔에 따라꿀이나 설탕을 타서마신다.
ㄷ. 솔잎을 분쐬기에 갈아그늘에 말려서 조곰씩 컵에넣고 뜨거운물을 붓기만 하 면 마실수있다.
18. 갈근차(葛根茶)
갈근(20g) 진피(20g) 생강(3쪽) 대추(2개).
ㄱ.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뭉근하게 닳인다. ㄴ마실때는꿀 이나 설탕 을타서 마신다. ㄷ잣이나 호도가루를 조금씩 넣어 마셔도 좋다.
*감기를 예방하고 치료하며 술독(酒毒)을 풀어준다.
19. 표고차
표고버섯(30g)
ㄱ. 말린 표고버섯 (30g)을 용기에 넣고 물을부어 은은하게 다려서 마신다.
ㄴ.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시며 좋다. *고혈압.동맥경화.심근경색 등에 좋다.
20. 영지차
영지벗(10g)
ㄱ. 영지버섯을 용기에 넣고 물을부어 은은하게달인다.
ㄴ. 꿀이나 설탕을타서마시다.
*간염.간경화 등 에 좋고 각종 암에도 도움을 준다. 혈액순화을 도우며 생기가난다
21. 인삼차
인삼(20g). 생강(3쪽). 대추(2개). 물(1L).
ㄱ. 용기에 물을 붓고 은은하게 달인다.
ㄴ. 꿀이나 설탕을타서 마시면 좋다.
*백문동(8G). 오미자(4G).를 가미(加味)하면 생맥인삼차 이다.기운이 떠러질때 좋다
*계피(4G).을 가미 하면 온중인삼차 이다.속이 냉한데 좋다.*이차는 음성체질이나 혈압이 낮은사람 에게는 매우좋다.하지만 양성체질(陽性體質)이나 혈압이 높은사람에게는 도리어 해(害).가된다.
22. 오가피차
오가피(40G). 생강(3쪽). 대추(2개). 물(1l).
ㄱ. 물이끓기 시작 하면 불을줄려 은근 하게 달린다.
ㄴ. 다 닳린후 찌꺼기 를 걸러내고마신다.
ㄷ. 술이나꿀을 조금 타서 마셔도 좋다.*오래 먹어면 정력을 도우면 건골을 굳새게하고 의지가 강해지며 늙지않고 오래 사는 선약이다.
*손발이 저리고 다기고.허리.척추.양다리가 아프고.약하고 한것을 주치하고.만성알래르기성 비염에 특효가 있다. 그리고 소아가 3~5세가 되도록 걷지 못할 때 쓰면더욱 좋다.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름 자글자글 할머니도 이것만 먹으면 탱탱 (0) | 2014.06.30 |
---|---|
[스크랩] 껍질째 먹는 수박이 있다고? (0) | 2014.06.30 |
[스크랩] 코를 찌르는 마늘 냄새, 한방에 잡는 방법은? (0) | 2014.06.27 |
[스크랩] 콩고기 만들기 (0) | 2014.06.27 |
[스크랩] 홍매실의 효능, 청매실과 다를까? (0) | 201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