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건강기능식품

'한국인 칼슘 섭취용량 부족하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4. 4. 17.

칼슘함유 음식 섭취·비타만 D 합성…골다공증 예방

우리나라 50세 이상의 남성과 여성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470mg로, 골다공증 관련 유관 학회 및 한국영양학회의 권장 섭취용량(700∼800mg)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칼슘 섭취부족 현상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나이가 늘어남에 따라 더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 신찬수 교수
▲ 김경민 교수
17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최근 노인층의 증가로 골다공증이 급증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골절로 이어질 경우, 노인층에서 생명의 위협을 줄 수 있는 질환이다. 칼슘과 비타민D는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중요한 영양성분으로, 폐경 후 여성과 노령층의 남성에서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최근 칼슘 섭취가 심혈관계질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일부 연구결과들이 보고됨에 따라 최근 칼슘섭취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신찬수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은 2008년∼2010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 조사를 통해 국내의 칼슘섭취 현황과 골다공증의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한 이 같은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50세 이상 남성(3448명), 여성(3812명)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에 따른 골밀도 상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470mg로, 골다공증 관련 유관 학회 및 한국영양학회의 권장 섭취용량 700∼800mg에 훨씬 못 미쳤다. 이러한 칼슘 섭취부족은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이, 그리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 부족은 골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칼슘 섭취가 낮은 그룹에서의 척추골밀도와 고관절 골밀도가 유의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칼슘 섭취가 골밀도에 중요한 영양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타민D가 충분한 경우에는 칼슘 섭취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골밀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돼 비타민D의 충분한 섭취도 골밀도에 중요한 요인임이 파악됐다.

연구팀은 "최근 우려되고 있는 칼슘 섭취로 인한 심혈관계 위험성의 경우에는 낙농제품 섭취가 풍부한 국가에서 매우 높은 양의 칼슘 섭취를 한 경우 나온 연구결과"라며, "우리나라와 같이 칼슘섭취가 권장 섭취량보다 훨씬 못 미치는 경우에는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을 낮춤으로 얻는 이득이 훨씬 높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따라서 "뼈의 건강을 위해선 식사를 통한 칼슘 섭취를 권장하며, 만약 식사를 통한 칼슘 섭취가 부족한 경우에는 칼슘제 복용을 통해 보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 같은 연구결과는 올해 4월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의학신문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