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와 서구형 생활양식의 확대로 인해 암을 진단 받는 경우가 크게 늘어 매년 20만 명의 암환암 치료 후 건강관리 클리닉 최재경, 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암의 조기발견과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체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이 64%에 이른다.
국내에서 현재 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환자는 100만 명이 넘는다. 이로 인해 암을 진단 받고 치료 후에도 생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를 암경험자로 정의하며 이는 암환자들의 가족과 친구, 돌봄 제공자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암 치료를 종료한 암 경험자들은 암 치료로 인한 후기 부작용, 다양한 만성질환, 높은 이차 암의 위험, 불안과 우울과 같은 정신문제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최재경(사진) 건국대병원 암 치료 후 건강관리 클리닉 교수를 통해 '암경험자와 가족 건강관리 수칙'에 대해 알아보자.
1. 암 치료와 추적 관찰 잘 받기, 후기 합병증에 대해 정기적으로 점검하기= 암 경험자의 치료경력과 동반 질환의 유무 등 개인적인 조건에 따라 후기합병증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피로, 통증, 불면 같은 문제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2. 다른 암에 대한 검진 챙겨 받기= 이차 암은 암 치료를 받은 사람에게서 암 치료 이후에 원래 있었던 암과 무관하게 새로 발생하는 암을 말한다. 암 경험자는 이차 암의 발생률이 높아 이에 대한 검진이 필요하다.
3. 심장뇌혈관질환 예방 및 만성질환 관리도 철저히 하기= 암 경험자는 암 치료로 인한 후기 영향과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등의 동반질환 유병률이 높다. 심장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환자 개개인에 따른 맞춤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하다.
4.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도 가급적 마시지 않기= 흡연과 음주는 암 경험자의 사망과 암 재발 및 이차 암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어 금연, 금주해야 한다.
5. 건강 체중 유지하기= 비만은 암 재발의 원인이 되고 이차 암 및 만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6. 운동은 꾸준히 매주 150분 유지하기= 운동은 암 경험자의 심장뇌혈관 질환 및 대사성질환의 예방효과가 있고 신체 증상(피로, 통증 등) 및 정신적 증상(우울, 불안 등)을 호전시킬 수 있다.
7. 마음 건강 챙기고 힘들 때 도움 청하기= 암 치료 후에 불안 및 우울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약물치료 및 지지적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으로 극복할 수 있다.
8. 가족도 함께 검진 받고 건강 챙기기= 암 경험자의 가족은 암 발생 위험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선별검사를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9. 예방 접종하기= 면역 이상이 없는 암 경험자에게 인플루엔자, 폐렴사슬알균, 디프테리아-파상풍, B형 간염 등은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암 경험자 가족 및 간병인에게도 적절한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한편, 건국대병원 암 치료 후 건강관리 클리닉은 오는 27일 오후 2시 건국대학교병원 대강당에서 '암 치료 후 건강관리'라는 주제로 최재경 교수와 안아름 교수가 건강강좌를 진행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병원 치료 > 암치료 후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 치료 후 운동 (0) | 2014.04.17 |
---|---|
[스크랩] 가슴 사라지자 우울증, 남편·자식에겐 죄책감 … 85%가 화병 안고 산다 (0) | 2014.04.15 |
[스크랩] 암환자 수술뒤 통합 건강 관리법 (0) | 2014.01.06 |
[스크랩] 서울대암병원, 18일 ‘암 치료후 건강관리’ 건강강좌 (0) | 2013.07.08 |
[2013암엑스포]"암환자 치료 후 관리도 중요" (0) | 201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