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농촌`이 `참 좋은` 이유..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3. 10. 28.

 

 

 

농촌이 참 좋은 이유는 눈앞에 펼쳐지는 푸른 들판과 황금들녘,
빨간 사과가 익어가는 풍경이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농산물을 직접 재배하고 수확하는 기쁨을 누릴수가 있어요.
맑고 깨끗한 공기와 자연이 주는 음이온을 느낄수가 있어요.
이 아름다운 현장을 지키고 가꾸어 가고 싶습니다.


농촌이 참 좋은 현장을 소개합니다.

 

가을이 무르익어 가는 계절에 농촌의 가을을 만나러 갔습니다.
겨울 김장을 대비해 저푸른 들에 자라는 배추밭이 끝없이 펼쳐지는데요.
예산은 넓은 평야의 곡창지대로 낮은 구릉과 평야가 있는 곳입니다. 

 

저 하늘의 구름 사이로 내리비치는 햇빛이 넘 아름다워 놓칠수가 없었어요.


농촌에 살다가 보면 햇볕과 적당한 비를 내려주는 자연에 감사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눈부신 가을 오후의 햇살 아래에서 무럭무럭 자라는 배추가 서민들에게는 겨울 김장이 되고
농부에게는 기쁨 가득 환한 얼굴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곳의 채소나 과일이 맛있는 이유는 토질이 황토라 그렇다고 하는데요.
무엇보다 새벽에 동이 터기가 무섭게 부지런히 일하는 이곳 분들의 정성이 깃든 농산물이라 그런 것 같아요.
 

사과 농장에서 사과 수확하던 노인들이 점심 식사하러 재빨리 걸어가는 뒷모습이 보였습니다.
이곳에서는 일을 하는 칠십 팔십 된 분들께 할머니 호칭 대신에 아주머니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노인도 젊은 사람 못지않게 농장에서 일을 하고 일당도 같이 받습니다.
농촌은 나이 들어도 몸과 마음이 건강하면 삶을 의욕적으로 살아갈수 있는 환경이랍니다.

 

 

황금 들판 위로 콤바인 한 대가 지나갑니다. 이곳은 지금 한창 벼 베기가 한창입니다.
콤바인 한 대로 하루에 5천 평 정도의 벼를 혼자서 벨 수가 있다고 하네요.

 

오래전 아산만 방죽이 생기기 전에는 동네 옆으로 바닷물이 들어와 새우잡이 배가 들어 왔다고 합니다.
소금기가 있는 바닷물 때문에 쌀이 맛있다고 소문나서 당시의 서울의 부자동네였던 계(桂)동에서
이곳 쌀을 가져다가 먹었고 그 사람들이 이 마을을 자기 동네 계(桂)자와

동일하게 계촌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네요.

 

 

콤바인이 지나 가면 벼는 자리에 눕고 탈곡이 되어 그 자리에서

큰 포대자루에 알곡을 모는 일을 논에서 기계가 해냅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마당에서 벼를 햇볕에 말리기도 했는데요.

지금은 기계로 벼를 말리는 농가가 대부분입니다.

 

 

논에서 탈곡한 벼를 이곳에 옮겨서 기계로 벼를 말립니다.

 

간혹 마당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벼를 말리는 농가도 있어요.
가끔 저기 나무 밀기로 저어주며 햇볕에 벼를 말리는 모습도 봅니다.

 

지금 충남 예산에서는 추석 때 수확한 홍로에 이어 부사가 익어가고 있어요.
여름내 흘린 농부의 땀방울이 열매로 맺어가고 있네요
부사는 서리가 맞은 다음에 수확해야 당도가 최고라고 합니다.

 

햇살에 붉은 빛을 토해내며 반짝이는 애기사과입니다.
애기사과는 술을 담그거나 효소용으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도 아름다워요.
애기사과는 (항산화제)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혈압과 콜레스테롤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에 귀한 나물 재료로 사용되는 아주까리나무입니다
피마자라고도 부르는데요. 지금 한창 꽃을 피우며 씨앗을 맺어가고 있어요.
아주까리 연한 잎사귀를 따서 줄에 엮어서 그늘에 매달아 두었다가 갖은 양념하여 볶아 먹습니다.
아니면 푹 삶아서 입맛 없을때 쌈밥을 해먹기도 합니다.

 

저기 주홍색 꽃이 피는 옆에 연한 잎사귀를 따서 삶아서 말리세요.
우측에는 피마자 씨앗이 영글어 가는 모습입니다.
씨앗은 잘 보관해 두었다가 내년 봄에

흙에 심거나 변비가 심할 때 조금 사용합니다.

 

 

농촌진흥청은 고급 윤활유를 비롯해 약 54종류의 산업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드록시 지방산이 존재하는 아주까리(피마자)에서 하이드록시 지방산 생산을 늘리는 신규 유전자(PDAT)를 분리해냈다고 합니다. 하이드록시 지방산은 현재 열대작물인 아주까리에서만 생산되고 있으며, 아주까리는 종자 안의 기름에서 80~90%까지 하이드록시 지방산 생산이 가능하지만, 종자 안에 리신이라는 치사 독소가 있고, 종자 수확량이 다른 작물에 비해 매우 적을 뿐 아니라 수확할 때 많은 인력이 필요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하이드록시 지방산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체 작물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벌개미취가 군락을 이루어 피는 곳에 나비가 잠시 쉬어가는 풍경이 있는 곳입니다.
벌개미취 꽃은 향기가 좋은 아침에 채취해서 살짝 삶아 말렸다가 꽃차로 즐기고
뿌리와 줄기는 말려서 달여 마시면 기침, 천식에 좋다고 합니다.

 

환하게 웃던 해바라기가 드디어 씨앗을 맺으며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고개를 숙이네요.
속이 찰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진리를 자연 속의 한낱 식물에서 배웁니다.

 

해바기씨앗의 셀레늄 성분이 암세포 확산을 막아주고 마그네슘이 고혈압을 예방한다고 합니다.
특히 혈액순환 질병에 좋고 무기질과 비타민 B 복합체가 풍부해 고혈압이나 신경과민에 좋다고 하네요.
올해는 해바라기 씨앗으로 기름을 짜볼까 합니다.

 

 

농부가 낫으로 베어 뒤여놓은 들깨가 가을바람에 말라가고 있어요.
더러는 들깨 타작하러 친정에 온 딸도 있고,

오손도손 가족이 함께 모여 농산물을 거두는 농촌의 풍경은 정답기만 하네요.

 

들깨는 줄기째 낫으로 베어 햇볕에 며칠 말렸다가 막대기로 털어서 키질을 한 다음에

물에 씻어 말린 다음 방앗간에 가서 들기름을 짭니다.

더러는 들깨가루를 내어 음식에 넣어 먹기도 하는데요.
머잖아 동네 방앗간에서는 들기름 짜는 냄새가 진동하게 됩니다.

 

들깨는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여 성인병 예방과 피부와 뇌에 좋다고 하네요.
들기름 속에는 리놀렌산이 있어 기미와 주근깨,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동맥경화, 고혈압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조혈작용으로 진혈 예방과 신장의 기운을 북돋아 검은 머리 유지에 좋습니다.

 

 올해 제가 수확한 콩들을 소개 합니다.
콩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작물로 농촌의 고부가가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귀촌후에 일년내 여러 종류의 콩을 밥에 섞어 먹은결과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어요.
콩은 종류별로 심는 시기와 거두는 시기가 조금씩 다른데요.

 

콩에는 식물성 여성 홀몬 이소플라빈이 함유되어 여성건강에 좋습니다.

 

이른 봄에 제일 먼저 심어서 초가을에 수확하는 녹두 콩입니다.
명절에 이 녹두를 불려 믹스기로 갈아서 빈대떡을 구워 먹지요.
녹두콩은 몸속의 중금속을 해독하고 심신의 안정과 차가운 성질로

열을 내리고 염증성 질환에 좋다고 합니다.


녹두는 껍질이 다른 콩에 비해 두껍고 알갱이가 작아서 수확하기가 조금 어려워요.
그래서 우리 동네 사람들은 집집마다 집에서 먹을 적당한 양만 심어서 수확합니다.


 

팥이 가을 햇살과 바람에 하얀 머리를 벗으면 붉은 알을 토해 냅니다.

 

 

팥은 추운 겨울에 늙은 호박과 불린 찹쌀, 서리태콩을 넣고 호박죽과 호박범벅을 만들어 먹지요.


농촌진흥청 송석보 박사는

"팥은 피부의 주근깨, 기미 등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키는 미백 효과도 있다"라며

끓인 물 혹은 볶은 팥으로 팥 차(茶)를 만들어 자주 마시면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팥은 항당뇨와 항산화 활성이 뛰어나 성인병 예방 등에 효능이 있고

특히 비타민 B1, 단백질, 철분이 많으며
심장, 간, 혈관 등에 지방 축적을 막아주는 기능도 있다고 합니다.

 

작년에 이웃집에 마실갔다가 스무 알의 씨앗을 얻어다가 심어서 올해 수확한 검은 팥이라고 합니다.
스무알의 씨앗이 수백 배로 갚았네요. 내년에는 더 많은 흑팥을 수확할 수가 있겠네요.
이렇게 미물의 쥐똥만 한 팥이 뿌린 데로 정직하게 거두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합니다.

 

요즘 가느라단 가지 끝에 매달린 마른 동부콩을 수확하느라 시골집 여기저기를 돌아다닙니다.
봄에 이곳저곳에 심어 놓은 콩들이 가을에 이렇게 풍성한 보답을 해주는 자연에 경이로움과 감사를 드립니다.


동부콩은 청포묵의 재료가 되고 비타민 B의 복합체인 니코틴산이 다량 함유하여
신장과 위에 좋고 염증성 질염, 방광염, 요실금에 좋다고 합니다.


 

결명자는 어디서 씨앗이 날아왔는지 매년 씨앗이 떨어져

여기저기에 자라서 노란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어요.


이 씨앗을 거두어서 일년내 끓는 물에 보리차 대신 넣어서 마시면 시력에 좋다고 하네요.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이 보약이고 내가 직접 재배하여 먹을 수 있는 농촌생활이 참 좋습니다.

 

 

동네 어르신 집 앞에 키 큰 벽오동 나무에도 가을이 찾아왔네요.

갈색 마른 꽃잎 사이로 작은 열매가 있어요.

어린시절에는 바람에 날려 흩어지는 벽오동 꽃잎사귀 속에 붙어 있는

씨앗 속에 고소한 열매를 먹곤 했지요. 집안에 딸이 태어나면 이 벽오동 나무를 심어서

 여식이 자라서 시집갈 때 옷장을 만들어 주었다는 옛이야기가 있어요.
줄기나 잎사귀를 약재로도 사용합니다.

 

가을걷이가 끝난 황량한 들에는 짚들만 남았는데요.

마른 짚은 거두어서 소먹이로 사용하거나 가을에 마늘 심은 후에 겨울에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어 주기도 합니다.

더러는 벼수확 시에 잘게 썰어서 논에 퇴비로 사용합니다.


농촌이 좋은 또 한가지 이유는

생명을 위한 건강한 먹거리 생산에 직접 참여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작지만 강한농업!' 농촌진흥청이 앞장섭니다!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