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유형 별 까칠함 키우는 법
사람 좋아 보이기 위해 늘 쿨한 척했더니, 오히려 결과가 좋지 않다. 더군다나 책임까지 떠맡게 됐다. 살아가는 것이 힘들고 스트레스 받는 건 대부분 사람 때문이다. 또 커뮤니케이션 문제다. 더 이상 스트레스 받지 말고 당당하게 내 의견을 피력하자. 때론 까칠함이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마트하게 까칠해지는 법을 안내한다.
Part 1 나 자신을 표현하는 까칠함을 기르자
점심시간, 친구에게 전화 연락이 왔다. 내용인즉슨 혼자 패스트푸드점에서 햄버거를 먹고 있다는 것. 오늘만큼은 햄버거가 꼭 먹고 싶었는데, 다 함께 먹으러 가자는 얘기를 하기가 힘들어 약속 핑계를 대고 나왔단다. 친구 이야기를 듣고 보니 공감이 갔다. 점심식사뿐 아니라 하루에도 의견조율을 해야 할 일이 수없이 많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주장을 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거부당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뭘 먹고 싶으냐고 물었을 때 '아무거나'라고 대답하는 사람의 심리 속에 진짜 아무거나 먹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인간관계에 대한 욕구는 크게 두 가지다. 내 마음 가는 대로 하고 싶은 욕구와, 조심하고 신중해야 한다며 자신을 억누르는 욕구가 그것이다. 우리는 자기 생각을 분명하게 주장하는 것을 다소 불편하게 여기는 문화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자신을 피력하는 것이 어색하다. 하지만 실상은 스트레스 받으며 고민을 거듭한다.
상대방도 두려운 건 마찬가지다
하지만 알고 보면 상대방도 나와 같은 생각으로 고민하고 있다. 해결책은, 먼저 내 편에서 거부당하고 상처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내려놓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방에게 먼저 다가가는 것이 덜 어렵게 느껴진다. 분명히 내 생각을 표현하고 자기 주장을 하는 것도 더 이상 불편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상대방도 그렇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게 된다. 다소 까칠하게 느껴질 수 있는 자기 주장도 방법만 '건강'하면 더 이상 까칠한 것이 아니다. 그러기 위해선 자신과 화해하고 잘 지내야 한다. 일단 나 자신을 직시하자. 나 스스로에 대해 잘 아는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런 오해에서 벗어나 나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해 나가는 용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나의 진짜 모습을 알아가는 일이 쉽지 않은 것이다. 또 나 자신을 안다고 해도 잘 다스려 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인간은 자신에게 익숙한 것을 추구하게 되는데, 나를 바꾼다는 것은 본성을 거스르는 일이라 쉽지 않다.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틀을 깨자
나 자신을 알기 위해 '나는 이런 사람이다. 그러므로 행동도 이러해야 한다'고 단정짓지 말자. 자신을 틀에 가두고 있는 사람은 고민과 스트레스가 더 많다. 알고 보면 그 틀은 자신이 만든 것일 뿐 남들이 보기엔 그 틀에 반하는 성격을 가진 사람이 많다.
'대인관계 양상' 심리검사를 해보면 통제지배적인 면과 자기중심적인 면에서 최고점을 보이는 동시에, 사회적 억제와 냉담 면에서 똑같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이 있다. 마음속으론 상대방을 지배하고 자기 뜻대로 하고 싶은 반면에 그런 자신의 성향에 불안감과 죄책감을 갖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겉으로 인간관계는 필요 없다는 태도를 보인다. 자기 뜻대로 이뤄지지 않음을 예견하고 상처받기 전에 근원을 차단한다.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면 갈등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히스테리가 사라지고, 더불어 인간관계도 좋아진다.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이 우선
건강한 까칠함에는 전제 조건이 존재한다. 어차피 나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일이면 내 생각을 당당히 주장하자. 그것은 상대방 의사를 무시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죄책감 없이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그 주장은 '명확 하고 간결'해야 한다. 내 의견에 대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알지 못하면서 주장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 필요하다. 그래야 당당하게 자기를 주장하면서 그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을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어떤 경우에도 끝까지 매너를 지켜야 한다. 인간 감정은 서로 부닥치다 보면 불필요한 상처가 생긴다. 매너는 상처를 따뜻하게 감싸는 역할을 한다.
사람 좋아 보이기 위해 늘 쿨한 척했더니, 오히려 결과가 좋지 않다. 더군다나 책임까지 떠맡게 됐다. 살아가는 것이 힘들고 스트레스 받는 건 대부분 사람 때문이다. 또 커뮤니케이션 문제다. 더 이상 스트레스 받지 말고 당당하게 내 의견을 피력하자. 때론 까칠함이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마트하게 까칠해지는 법을 안내한다.
점심시간, 친구에게 전화 연락이 왔다. 내용인즉슨 혼자 패스트푸드점에서 햄버거를 먹고 있다는 것. 오늘만큼은 햄버거가 꼭 먹고 싶었는데, 다 함께 먹으러 가자는 얘기를 하기가 힘들어 약속 핑계를 대고 나왔단다. 친구 이야기를 듣고 보니 공감이 갔다. 점심식사뿐 아니라 하루에도 의견조율을 해야 할 일이 수없이 많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주장을 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거부당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뭘 먹고 싶으냐고 물었을 때 '아무거나'라고 대답하는 사람의 심리 속에 진짜 아무거나 먹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인간관계에 대한 욕구는 크게 두 가지다. 내 마음 가는 대로 하고 싶은 욕구와, 조심하고 신중해야 한다며 자신을 억누르는 욕구가 그것이다. 우리는 자기 생각을 분명하게 주장하는 것을 다소 불편하게 여기는 문화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자신을 피력하는 것이 어색하다. 하지만 실상은 스트레스 받으며 고민을 거듭한다.
상대방도 두려운 건 마찬가지다
하지만 알고 보면 상대방도 나와 같은 생각으로 고민하고 있다. 해결책은, 먼저 내 편에서 거부당하고 상처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내려놓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방에게 먼저 다가가는 것이 덜 어렵게 느껴진다. 분명히 내 생각을 표현하고 자기 주장을 하는 것도 더 이상 불편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상대방도 그렇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게 된다. 다소 까칠하게 느껴질 수 있는 자기 주장도 방법만 '건강'하면 더 이상 까칠한 것이 아니다. 그러기 위해선 자신과 화해하고 잘 지내야 한다. 일단 나 자신을 직시하자. 나 스스로에 대해 잘 아는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런 오해에서 벗어나 나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해 나가는 용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나의 진짜 모습을 알아가는 일이 쉽지 않은 것이다. 또 나 자신을 안다고 해도 잘 다스려 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인간은 자신에게 익숙한 것을 추구하게 되는데, 나를 바꾼다는 것은 본성을 거스르는 일이라 쉽지 않다.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틀을 깨자
나 자신을 알기 위해 '나는 이런 사람이다. 그러므로 행동도 이러해야 한다'고 단정짓지 말자. 자신을 틀에 가두고 있는 사람은 고민과 스트레스가 더 많다. 알고 보면 그 틀은 자신이 만든 것일 뿐 남들이 보기엔 그 틀에 반하는 성격을 가진 사람이 많다.
'대인관계 양상' 심리검사를 해보면 통제지배적인 면과 자기중심적인 면에서 최고점을 보이는 동시에, 사회적 억제와 냉담 면에서 똑같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이 있다. 마음속으론 상대방을 지배하고 자기 뜻대로 하고 싶은 반면에 그런 자신의 성향에 불안감과 죄책감을 갖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겉으로 인간관계는 필요 없다는 태도를 보인다. 자기 뜻대로 이뤄지지 않음을 예견하고 상처받기 전에 근원을 차단한다.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면 갈등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히스테리가 사라지고, 더불어 인간관계도 좋아진다.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이 우선
건강한 까칠함에는 전제 조건이 존재한다. 어차피 나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일이면 내 생각을 당당히 주장하자. 그것은 상대방 의사를 무시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죄책감 없이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그 주장은 '명확 하고 간결'해야 한다. 내 의견에 대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알지 못하면서 주장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 필요하다. 그래야 당당하게 자기를 주장하면서 그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을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어떤 경우에도 끝까지 매너를 지켜야 한다. 인간 감정은 서로 부닥치다 보면 불필요한 상처가 생긴다. 매너는 상처를 따뜻하게 감싸는 역할을 한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름 장마 `불쾌지수` 소금과 숯으로 낮추세요 (0) | 2013.07.08 |
---|---|
[스크랩] 해수욕장서 해파리 쏘였다면 응급처치 이렇게 (0) | 2013.07.07 |
[스크랩] 건강한 아침을 만들어주는 생활습관 5가지.. (0) | 2013.07.07 |
[스크랩] 분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아프지 않게 코에 주사 맞아요~ (0) | 2013.07.07 |
[스크랩] 우리 몸속 이로운 장내세균, 늘리는 방법은? (0) | 201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