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이 되어가는 ‘흡연 20년 뒤 폐암’
80~90년대 높은 흡연율 영향
최근 5년간 환자 꾸준히 늘어나
최근 5년간 폐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폐암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6년 4만2970명에서 2010년 5만4974명(연평균 증가율 6.4%)으로 늘었다. 해마다 평균 4만8000명이 폐암 진료를 받고 있는데 여기에 5년간 1조5000억원이 들어갔다.
폐암 환자(2010년 기준) 중 남성이 69.4%로 여성(30.6%)보다 많고 60세 이상이 74.1%(4만 명)를 차지한다. 고령의 남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이유는 1980~90년대 70%를 넘었던 성인 남성 흡연율 때문이다. 담배를 피운 뒤 20~30년 후 폐암에 걸리는데 과거의 높은 흡연율이 지금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복지부는 이런 경향이 202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추정한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90년대 중반부터 꺾이기 시작해 2010년에는 48.1%(성인 남성 기준)까지 떨어졌다.
만성폐색성폐질환(COPD)과 폐쇄성 혈전 혈관염(버거병)도 흡연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COPD 환자는 연평균 63만 명이 진료받고 있다. 여기에 4900억원의 진료비가 들어갔다. COPD는 폐 기능을 떨어뜨리고 만성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2010년 기준으로 남성이 52.4%며 50세 이상이 67.7%를 차지한다. 버거병은 2006년 3400명에서 2010년 4245명으로 늘었다.
신성식 기자 ssshin@joongang.co.kr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암과더불어 원글보기
메모 :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암엑스포2012]"담배 당장 끊어야 하는 이유" (0) | 2012.05.10 |
---|---|
폐암 싱글포트 흉강경 수술 국내 첫 성공 (0) | 2012.05.10 |
폐암 맞춤형 치료제 이레사 생존기간 연장시켜 (0) | 2012.04.06 |
“비소세포폐암, 개인맞춤형 치료 패러다임으로” (0) | 2012.03.26 |
[스크랩]폐암을 유발하는 라돈이란?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