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암환자 90% '연명치료' 거부"
사전의료의향서 대다수는 환자보다 가족이 작성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말기 암환자가 병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허대석 교수팀(이준구·김범석·임석아)은 올해 2~7월 내과에 입원해 암으로 사망한 172명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인 89.5%(154명)가 연명치료 중 하나인 심폐소생술을 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18명(10.5%)에 불과했다.
특히 말기 암환자를 전문으로 간병하는 완화의료전문병동에서 사망한 암환자의 경우 44명 전원이 심폐소생술을 거부했다.
4년 전인 2007년만 해도 이 병원 내과에서는 사망한 암환자 572명 중 14.2%(81명)가 심폐소생술 처치를 받았다. 4년새 4% 포인트가량 연명치료가 줄어든 셈이다.
진료공간별로 보면 2007년에는 중환자실 30.4%, 일반병동 10.2%, 완화의료전문병동 2.4%의 빈도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됐지만, 2011년에는 각각 23.3%, 9.4%, 0%의 빈도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돼 모든 진료공간에서 감소 추세가 확인됐다.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에서 생명을 구하는 응급처치술이지만, 말기 암환자의 임종과정에서는 불필요한 고통을 가중시키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하지만, 죽음에 임박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표현이 불가능할 때를 대비해 미리 의사표시를 해놓는 '사전의료의향서'는 환자보다 가족이 작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7월 완화의료전문병동에서 사망한 말기암환자 317명 중 97.8%인 310명이 사전의료의향서를 제출했는데 가족이 작성한 경우가 94.5%에 달했다. 환자가 직접 쓴 경우는 1.3%에 그쳤다.
사전의료의향서에서는 99%가 심폐소생술을 거부했고, 인공호흡기나 혈액 투석을 거부한 비율도 각각 99.5%, 93.7%였다.
환자가 사전의료의향서를 직접 작성하지 못한 이유로는 '환자의 의식 저하' 62.6%, '전신상태 악화' 19.7%, '임종 임박 사실을 환자한테 알리지 않기 위해' 10.6% 등의 순이었다.
허대석 교수는 "무의미한 연명시술로 불필요한 고통을 추가로 겪게 되는 사례가 감소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암이 진행되기 이전에 병의 상태를 환자에게 알리고, 환자가 직접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 교수는 "서울대병원의 경우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여부가 쉽게 확인되지 않아 응급실 등에서 불필요한 연명시술이 시행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 전산망에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회할 때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여부가 바로 표시되도록 의무기록 시스템을 보완했다"고 소개했다.
bio@yna.co.kr
2011-09-22 09:15
출처 : 연합뉴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 전이의 중요 통로 경락, 실체 드러났다 (중앙일보) (0) | 2011.10.11 |
---|---|
암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 (0) | 2011.10.11 |
[스크랩] MRI와 CT에 대한 자세한 정보.. (0) | 2011.10.03 |
[스크랩] 조기 위암 내시경 적응증,식도와 대장암으로 확대.. (0) | 2011.09.30 |
말기 암환자에게 통합의학이 희망으로 (0) | 201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