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깨끗하고 좋은공기

[스크랩]산림치유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8. 11.

산림치유란? (Forest Bath, Green Shower)

산림치유 녹음이 짙은 숲에 들어가 그 향기(피톤치드)를 마시거나 피부에 접촉시키고 자연경관과 어우러 져 심신의 단련과 안정을 가지는 자연건강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산림내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산보 또는 벤치에 앉아 조용히 휴식하는 등의 활동의 총칭입니다.
산림은 낮은 온도, 향기로운 내음, 푸른 색깔과 수목의 자태등 사람의 마음을 끄는 매력(산림기후)이 있으며 또한 휘발성의 식물체에 의해 산림의 공기는 청정하게 되며 더욱이 살균작용의 기능(피톤치드)을 갖고 있어 사람의 몸에도 좋습니다. 따라서 심신을 숲속에 맡기고 산림시설을 이용하고(시설 계획), 몸을 움직이기도 하며(산림 내 보행), 숲속에서 즐기면서 어린이들이나 젊은 부부들 또는 노인부부들이 함께 어울려 건강증진 활동을 말합니다.

산림욕 요령

공기유통과 땀흡수가 잘되는 간편한 옷차림이 좋습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휴식을 취하거나, 숲속을 거닐면서 맑은 공기와 함께 피톤치드를 마시고 피부에 접촉시킵니다.

산림욕에 좋은 시기

나무가 왕성하게 자라는 초여를~가을, 맑고 바람이 적은날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가 산림욕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입니다.
* 피톤치드는 활엽수보다 소나무, 잣나무 같은 침엽수가 더 많이 방출합니다.

산림욕의 효능

심신이 맑아져 안정을 가져오며, 건강에도 매우 좋습니다. 인체의 심폐기능 강화로 기관지 천식, 폐결핵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피톤치드란?

‘식물’이라는 뜻의 ‘피톤’(phyton)과 ‘죽이다’라는 뜻의 '사이드'(cide)를 합쳐 만든 말로, 식물 병원균·해충·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입니다. 이 말은 1943년 러시아 태생의 미국세균학자 왁스만(s. a. wakman)이 처음 만들었습니다. 20세기 초까지 사람들은 폐결핵을 치료하려면 숲속에서 좋은 공기를 마시며 요양해야만 한다고 생각하였고 실로 많은 사람들이 효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왁스만은 숲속에서 풍기는 산림향이 피톤치드때문이며 이것은 수목이 주위의 구균, 디프테리아 등의 미생물을 죽이는 방어용 휘발성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또한 삼림욕을 하면 이 피톤치드가 몸속으로 들어가 나쁜 병원균과 해충, 곰팡이 등을 없애는 구실을 하여 사람들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실로 그는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해 결핵을 퇴치한 공로로 1952년 노벨의학상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피톤치드는 어느 한 물질을 가르키는 말은 아니며,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카로이드 성분, 배당체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항균물질의 총칭입니다. 모든 식물은 항균성물질을 가지고 있기에 어떤 형태로든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치유의 숲

숲이 지닌 보건 의학적 치유기능을 통해 국민의 건강 유지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성 된 숲

  • 숲을 통해 건강을 유지·회복하며 특정 질병의 처방에 유효하도록 조성 및 운영.
  • 피톤치드, 음이온 등 숲이 발산하는 건강물질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자연요법을 활용
  • 건강증진 및 치유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을 개발하고 시설을 배치하여 숲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숲.

숲이 갖는 정신적·심리적 및 육체적 건강 유지와 치유 효과 같은 대체의학적 기능을 활용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시설과 치유프로그램을 운영.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아토피스 피부염 및 스트레스로 지친 국민의 정서함양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숲의 소중함을 알리는 계기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