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스크랩]"A형간염 가족 있으면 감염확률 10배↑"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2. 23.

"A형간염 가족 있으면 감염확률 10배↑"

감염자 접촉.날조개 섭취 성인 가능성 높아

 

 

A형간염에 감염된 가족과 살고 있는 사람이 A형간염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0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로 영유아들에게서 전염이 이뤄지는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청장년 직장인을 중심으로 감염자와의 접촉이 많고 조개류를 섭취하는 사람일수록 A형간염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모란 을지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최근 `한국의 A형간염 위험요인과 수학적 모형, 경제성 평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A형간염 발생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15.3명에서 2008년에는 62.4명으로 크게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인구수에 대입하면 우리나라엔 3만명의 A형간염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보다 인구가 5배 많은 미국 내 A형간염 환자 2만5천명보다도 훨씬 많다.
기 교수는 지난해 4∼8월 전국 11개 병원에서 547쌍의 A형간염 환자군과 비환자군을 비교해 A형간염 발생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개를 날로 섭취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형간염에 걸릴 확률이 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A형간염 보균자인 가족을 둔 사람과 주위에서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형간염에 걸릴 확률이 각각 9.8배, 3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동남아 등 A형간염 유행지역에 다녀왔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A형간염 발병 가능성이 2.9배 커졌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크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우리나라에서 A형간염의 위험요인은 직장인이거나 감염자와 접촉 여부, 날 조개류 섭취 여부라는 것이다.

A형간염의 발생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금처럼 1세 영아들을 민간 병의원에서 50% 정도 예방접종하는 관리전략을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2029년이 돼야 인구 10만명당 50명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는 추정치가 나왔다.

기 교수는 이에 따라 A형간염 발생률을 조기에 낮추면서도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매년 1세 영아들을 90% 예방접종하고 2010년에 19∼39세 성인을 대상으로 50% 예방접종을 시행해 일시에 집단면역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기 교수는 "우리나라의 보건위생 상태가 향상되면서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A형간염 항체 양성률이 급감해 A형간염 성인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소아의 A형 간염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인데 반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상을 보일 가능성도 커지고 증세도 심해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