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초고령 사회'가 되면
우리나라 인구가 점차 줄어들 거라는 정부 예측과 달리, 의학 발달로 노인이 급속히 불어나 오히려 인구가 늘어날 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부는 인구가 한 세대에 걸쳐 20만명쯤 줄어든다고 예측했지만(2010년 4887만명→2030년 4863만명), 실제로는 2030년까지 지금보다 200만명 이상 늘어나 5071만명이 된다는 예측이다. 늘어난 인구 대부분(173만명)은 65세 이상 노인일 것으로 추정된다.또 의학 발달과 고령화는 한국인의 사망 패턴에도 영향을 미쳐 암·심장병·노환(폐렴)·자살로 숨지는 사람은 크게 늘고 뇌혈관질환·간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은 줄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교수는 '성별·사망원인별·연령별로 조정한 인구예측'이라는 연구보고서에서 1997~2005년 암·뇌혈관질환·심장병 등 12대 질병 사망률 추이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사망자 절반이 암·심장병 때문
2030년에는 연간 사망자 10명 중 3명이 암(32.18%)으로, 2명이 심장병(17.3%)으로 숨질 것으로 박 교수는 내다봤다. 폐렴(5.7%)과 자살(5.5%)로 인생을 마치는 사람도 각각 스무 명에 한 명꼴일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앞으로 이 네 가지 사망원인은 늘고, 다른 병은 점차 사망자가 줄어든다는 것이 박 교수 주장의 핵심이다.
2010년 현재, 단일 질병 중에서 한국인의 최대 사망원인은 암(7만107명)→심장병(2만5001명)→뇌혈관질환(2만3143명)→자살(1만2215명)→당뇨병(1만801명) 순이었다.
2030년에는 이 순서가 암(8만9739명)→심장병(4만8175명)→폐렴(1만5916명)→자살(1만5221명)→당뇨병(7448명) 순으로 바뀔 것으로 박 교수는 내다봤다.
◆암·심장병 발병 연령 높아진다
고령화가 암·심장병 환자를 증가시킨다면, 의학 발달은 암·심장병 발병 연령대를 뒤로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년이 되면 전체 암 사망자가 지금보다 2만명 가까이 늘어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같은 보폭으로 늘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박 교수는 6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는 암 사망자가 지금보다 오히려 줄어들고, 70대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는 암 사망자가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암 발병·사망의 중심 연령대가 40~60대에서 70대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20대·70대 여성 자살 급증할 듯
문제는 자살이다. 박 교수는 자살 사망자가 2010년 1만2215명에서 2030년 1만5221명으로 3000명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남성 자살 사망자가 지금과 비슷한 수준(2010년 7563명→2030년 7082명)인 반면, 여성은 두 배 가까이 늘어날(4652명→8139명)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여성 자살은 유독 20대와 70대에 집중된 현상이기도 하다. 다른 연령대는 지금보다 자살이 줄어드는 반면 20대 여성 자살 사망자는 지금보다 세 배, 70대 이상 연령대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박 교수는 내다봤다.
민성호 연세대 원주의대 교수(정신과)는 "20대 여성은 남성과 똑같이 경쟁사회에 내몰린다는 점에서, 70대 이상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살기 때문에 노인이 됐을 때 홀로 고립되기 쉬워 자살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1갑 이상 흡연자 10명 중 6명 COPD 증상 경험 (0) | 2010.02.01 |
---|---|
집안 여기저기 파릇파릇… 식물이 있는 집=건강한 집 (0) | 2010.01.29 |
[스크랩]‘질환 예방’ 목표 먼저 세워라 (0) | 2010.01.14 |
임신부 건강 습관, 이것만은 지키자 (0) | 2010.01.13 |
[스크랩]찬바람이 불면 시작되는 계절성 우울증 극복하기 (0) | 201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