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름스종양이란 소아의 신장에 생기는 종양으로 신세포암과는 조직학적(현미경하에서 관찰한 결과)으로 구별됩니다.
윌름스종양의 원인
소아암은 성인암과 달리 인종과 국가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 10만명 당 10~15명 정도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담배, 식습관이나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 성인암과는 달리 유전자에 일정비율로 이상이 생겨서 암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른 소아암과 마찬가지로 윌름스종양의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선천성 기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발생률이 일반 소아에 비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윌름스종양의 일반적인 증상
윌름스종양이 있을 경우 복부의 종괴, 고혈압, 혈뇨, 배뇨 장애 등의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윌름스종양의 진단방법
우선 복부 초음파 검사 및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병변이 없는 반대측 신장의 유무 및 기능 여부를 확인하고, 혈관이나 림프절 침범 유무를 확인합니다. 또한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검사)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외에 골스캔, 두부 전산화단층촬영, 심장 초음파 검사 등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윌름스종양의 치료방법
윌름스종양은 항암화학요법에 잘 반응하는 대표적인 종양으로, 일차적으로 수술로 종양을 제거한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항암화학요법의 종류 및 방사선 치료의 가감 여부는 각 병기 및 현미경적 소견에 따라 달라집니다. 1기나 2기인 경우 수술 후 빈크리스틴(vincristine)과 엑티노마이신-디(actinomycin-D)를 투여하고 방사선 치료는 하지 않습니다. 3기나 4기인 경우에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이 항암화학요법에 추가되며 방사선 치료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조직 소견이 예후 불량군인 경우에는 2기부터 위의 세가지 약제를 사용하고 방사선 치료도 필요합니다.
윌름스종양의 예방법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며 윌름스종양의 발생률이 높은 고위험군에서는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출처 : 한중 제생병원
'종류별 암 > 기타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미용실 선탠, 피부암 위험 증대 (0) | 2009.08.31 |
---|---|
T세포 림프종 치료제 FDA 신청 임박 (0) | 2009.08.28 |
[스크랩]구강암 (0) | 2009.08.25 |
[자료] 임파선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0) | 2009.08.24 |
[스크랩]피부암(기저세포암) 이란? (0) | 200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