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갑상선 암과 함께 비교적 ‘순한 암’으로 일반인에게 알려져 있는 전립선암.
하지만 이는 미국 등 서양의 얘기일 뿐 우리나라 남성에게 생기는 전립선암은 악성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의 독성이 강한 것과 약한 것은 암세포의 분화도로 정의하고 있는데 독성이 강한 암은 세포 분화도가 나쁘고 악성도가 높아 암 치료 과정에서 완치와 재발에 큰 영향을 미쳐 치료 경과에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안한종교수팀(김청수·홍준혁)이 1990년부터 18년 동안 총 1156명의 전립선 암 환자를 수술하고 암세포의 분화도를 분석한 결과, 서양인의 암세포 분화도보다 한국 남성의 세포 분화도가 훨씬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안한종 교수팀은 '전립선암 세포의 분화도'를 2-6점은 좋은 분화도, 7점은 보통의 분화도, 8-10점은 나쁜 분화도로 분류했는데 서울아산병원의 전립선암 수술 환자의 75.7%가 중간 이상의 나쁜 분화도 비율이어서 악성도가 높은 암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미국은 각 병원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독성이 강한 중간 분화도 이상이 낮게는 23%부터 가장 높은 병원이라 하더라도 44.1%를 넘지 않았다. <그래프 참조>
일본의 전립선 암 환자 독성(중간 분화도 이상)도 56.1%로 나타나 미국보다는 높지만 우리나라 남성의 전립선 암 환자의 독성보다는 훨씬 낮았다.
안 교수는 "이 같은 분석 결과 서양의 남성에 비해 한국인의 전립선암의 분화도가 나쁘다는 사실을 확연하게 알 수 있다"면서 "실제 치료결과에서 서양의 전립선암보다 한국 남성의 전립선암이 생존율이 낮고 암의 진행 상태가 빠른 이유를 뒷받침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리나라 남성의 나쁜 분화도 암세포 비율이 과거에 비해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1994년 이전에는 중간 분화도 이상의 암세포 비율이 83.3%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2005년~2007년 사이에 수술한 환자의 암세포가 75.7%로 다소 하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안 교수팀의 이번 분석에서 또 다른 결과는, 우리나라 남성들의 전립선 암 조기 발견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립선암 수술을 받을 당시 환자의 전립선특이항원수치(PSA)가 90년대 중반에는 15ng/mL도를 오르내렸으나 수치가 점차 낮아지다가 최근 2~3년에는 6-7ng/mL까지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PSA는 전립선암과 비대증, 염증을 포함해 전립선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 보이는 수치로 0-4ng/mL이 정상 수치이며, 4-10ng/mL이면 암에 걸렸을 가능성이 25%, 10ng/mL 이상이면 50%의 암 발생 가능성을 추정한다. 100ng/mL이상이면 거의 암이 있다고 본다.
안한종 교수팀은 "전립선암은 최근 전립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PSA 검사를 받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조기에 진단되는 환자의 수도 증가추세에 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구의 많은 나라에서 남성암 중 발생빈도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암세포의 분화도는 더 높은 경향을 보이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조기진단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종류별 암 > 남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전립선암' 방사선치료 '대장직장암' 위험 3.4배 (0) | 2009.06.09 |
---|---|
[스크랩]전립선암 '수술' 사망율 크게 낮춘다 (0) | 2009.06.08 |
[스크랩] 남성갱년기와 골다공증 (0) | 2009.06.05 |
[스크랩]전립선비대증 vs 전립선암, ‘한 끝 차이’ (0) | 2009.06.03 |
전립선암의 발생[스크랩] (0) | 2009.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