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줄기세포, 암세포 타깃 미사일로 전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5. 22.

줄기세포, 암세포 타깃 미사일로 전환

선택적 암세포死 유도 단백질 발현 줄기세포 제작

 

골수에서 채취한 성체 줄기세포에 대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하였더니, 암세포만을 타깃으로 하는 유도 미사일과 같은 무기가 만들어졌다.

 

영국 런던대학 연구팀은 이러한 유전자 조작 줄기세포가 시험관 및 마우스 실험에서 모두 암세포를 색출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단백질을 전달함으로써 정상 세포는 보존하면서 암세포를 사멸시켰다고 19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흉부학회(ATS) 국제학술대회에 보고했다.

 

이전 연구들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전신에서 암세포를 색출하는 선천적 능력을 보유해 항암제를 전달하는 벡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또 다른 연구들은 TNF 관련 세포자멸사 유도 리간드(TRAIL)란 단백질이 암세포를 사멸시키지만 정상 세포는 보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러한 2가지 연구 분야를 접목시켜 암세포만을 골라 파괴하는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했다. 즉 골수에서 채취한 성체 줄기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가해 암세포의 선택적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TRAIL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했다.

 

이렇게 제작한 줄기세포 치료제는 항암제에 내성 가능성이 높은 암세포 줄기세포에 대해서도 암세포만큼 사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관 실험에서는 줄기세포/암세포 비율이 1 대 16인데도 폐암, 편평세포암,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암세포를 모두 사멸시켰다.

 

마우스 실험에서 줄기세포 치료제는 피하 유방 종양의 성장을 약 80% 감소시켰다. 아울러 유방암 폐전이 마우스들에게 줄기세포 치료제를 정맥주사한 실험에서는 마우스들의 38%에서 폐전이가 제거됐다. 연구팀이 두 마우스 모델에 유방암을 선택한 것은 시험관 실험에서 중간엽줄기세포가 특히 유방암 세포를 색출하는 능력이 우수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유방암은 전이의 좋은 모델"이라며 "그러나 "폐암 등 기타 모델에 대해서도 줄기세포 치료제를 실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디타임즈 허성렬 기자/기사 입력: 2009년 5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