腸바이러스 감염이 당뇨병 유발한다
베타세포 감염된 환자 비율 상당히 높아
장바이러스(enterovirus) 감염이 당뇨병을 유발한다는 유력한 증거가 제시돼 백신으로 당뇨병을 예방하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영국 페닌슐러의대의 노엘 모건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유럽 당뇨병 저널 'Diabetologia' 6일자에 기고한 보고서에 따르면, 제1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지 12개월 이내에 사망한 소아 72명에서 기증받은 췌장들의 조직을 분석하였더니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세포가 장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아가 무려 60%에 달했다. 반면 당뇨병이 없는 소아 50명에서 채취한 조직샘플에서는 감염된 베타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아울러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40%에서도 베타세포가 장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었는데 비해 동일한 연령대의 비당뇨환자들에서는 이 비율이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장바이러스 감염이 당뇨병의 원인이란 이론을 뒷받침했다.
당뇨병의 발병에는 유전적 요인이 상당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환경적 요인들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일란성 쌍둥이 연구들에서 증명되는데, 한쪽이 제1형 당뇨병을 일으킬 경우에 다른 쪽이 발병할 확률은 약 40%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 오래 전부터 바이러스가 췌장 베타세포를 감염시켜 제1형 당뇨병의 발병에 관여할 수 있다고 의심되어 왔으며, 진단 1년 이내의 소아들에서 기증받은 대량의 췌장들을 통해 이러한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이렇게 기증된 샘플들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할 정도로 민감한 기술이 최근에야 개발되어 가능했다.
제1형 당뇨병은 인체 면역계가 자신의 췌장 베타세포를 파괴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연구팀은 제1형 당뇨병의 유전적 소인을 지닌 소아들에서 베타세포가 장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면역계가 베타세포를 외부물질로 오인 공격해 제1형 당뇨병이 일어난다고 추정했다.
이에 비해 제2형 당뇨병은 베타세포가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이 세포의 인슐린 생성능력이 저하되는 질환인데, 실험실 연구들에서 베타세포가 장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와 같은 저하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구팀은 인슐린 분비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높은 비만인들에서 장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베타세포 기능의 저하가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사이언스' 온라인 속보판 5일자에 게재된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의 논문이 이러한 베타세포 장바이러스 감염과 제1형 당뇨병의 연관성을 뒷받침해 준다.
이 연구는 모든 사람들에서 발견되는 IFIH1 유전자가 제1형 당뇨병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 유전자는 인체의 항바이러스 반응에 관여하고 아울러 인간 게놈에서 제1형 당뇨병과 관련된 부위에 위치한다. IFIH1 유전자는 세포에서 바이러스의 존재를 인식하고 면역 활성화를 조절하는 단백질을 발현한다.
연구팀은 IFIH1 유전자에서 희귀한 4종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였으며, 이 돌연변이는 IFIH1 단백질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일관되게 제1형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켰다. 이는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면서 IFIH1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는 정상적 면역 활성화가 자가면역을 자극해 궁극적으로 제1형 당뇨병을 일으키는 모델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현재 장바이러스는 1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 당뇨병의 발병과 연관된 장바이러스가 확인된다면 당뇨병을 예방하는 백신의 개발도 기대된다.
메디타임즈 이근산 기자/기사 입력: 2009년 3월 6일
[출처] 장바이러스 감염이 당뇨병 유발한다|작성자 메디타임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혈당 과 고혈당이 일어나는 증상 (0) | 2009.03.13 |
---|---|
산양乳 요구르트 당뇨에 효과"<농진청> (0) | 2009.03.11 |
[스크랩] 당뇨병 민간요법 (0) | 2009.03.11 |
[스크랩]환절기 당뇨 다스리기 (0) | 2009.03.03 |
[스크랩] 인슐린 치료의 합병증 (0) | 2009.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