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 진단소위원회는 정상 공복혈당 기준을 '110㎎/㎗ 미만'에서 '1 00㎎/㎗ 미만'으로 낮추는 새로운 권고안을 제시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5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 용의 새 권고안을 발표했다.
권고안은 또 공복혈당장애 상태를 단계I(100~109㎎/㎗)과 단계Ⅱ(110~125㎎/㎗ )로 나누고 단계Ⅱ인 경우에는 당뇨병 진단을 위한 엄밀한 검사인 당부하검사 를 반드시 받도록 권고했다. 이에 대해 진단소위원회는 "공복혈당이 110㎎/㎗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판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진단소위는 그러나 '공복혈당 126㎎/㎗ 이상'인 현행 당뇨병 기준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 다.
이와 함께 대한당뇨병학회는 건강심사평가원과 지난 1년간 당뇨병성 합병증의 현황에 대해 공동조사한 결과 "당뇨병 환자는 연간 3~4회의 당화혈색소 검사가 권고되는데도 60%의 환자가 1년에 한번도 검사를 받지 않는다"며 합병증 관리 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학회에 따르면 고지혈증 검사를 1년에 한번도 받지 않는 사람이 전체 당뇨병 환자의 53%에 달하며, 당뇨병과 연관된 눈 합병증을 찾기 위한 안저검사는 6% 만이 1년에 1회 받고 있다.
이 같은 검사 부실에 따라 당뇨병성 신부전증이 전체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53 %에 이르는 등 합병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2.5%가 족부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상인보다 1 1.8배에 이르렀고 특히 족부절단은 19.2배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