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식이요법

[스크랩] 팔체질 연구 - 금음체질 당뇨 식이요법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2. 17.

금음체질의 당뇨병의 체질적 원인

이 체질은 따뜻한 기운을 품고 있는 폐 대장이 최강 장기이며, 더운 기운으로 쌓여 있는 비장과 위장은 중간 세기의 평균 장기입니다. 때문에 체온이 보통 따뜻한 편입니다. 때문에 위장에는 양의 기운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체질에 맞지 않는 폐와 위장에 열을 내는 음식을 주로 섭취하면 췌장에 자연히 열이 성해집니다. 그러면 이미 당뇨병의 원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췌장의 랑겔한스 섬의 베타세포에서는 양질의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이 모자라게 만들어집니다.

게다가 위장의 소화기능이 좋아서 식욕을 절제하지 않고 욕심을 부리거나 간열이 심하면, 조금만 먹어도 무엇이든지 소화가 잘돼 비만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 결과 그렇지 않아도 모자라는 인슐린을 체지방이 흡수해버려 세포의 수용체 안으로 포도당을 넣어 영양공급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하여 혈중에 사용되지 못한 포도당 함량이 과잉되어 당뇨병이 발생합니다. 또한 과잉의 포도당이 혈관 벽에 침착되면 합병증으로 혈관질환을 일으킵니다. 체질에 해로운 음식도 즉 무슨 음식이든지 소화가 잘 되기에 체내에 나쁜 기운이 쌓여 오장육부의 기능이 부실한 경우가 많습니다.

금음 체질은 대체로 비만인 경우는 적고 적당한 체중을 유지합니다. 그래서 당뇨환자는 그리 많지 않지만 폐를 가열시키는 음식을 주로 먹게 되면 간에 습열(濕熱)이 쌓여 항진되어 자꾸 살이 찝니다. 당뇨가 오는 것입니다.

당뇨 식이요법

1) 췌장을 서늘하게 하는 음식을 섭취합니다.

(1) 곡류는 쌀 검정쌀 보리 검정콩 우리밀 메밀 녹두 조 모밀국수 냉면 등으로 성질이 서늘하거나 차가운 것을 섭취합니다.(쌀은 평(平) 식품으로 모든 체질에 적합함)
체질에 어울리는 곡류 중에서 가능하면 도정이 덜 된 것이나 원시 형태의 잡곡밥을 먹도록 합니다. 껍질에 들어 있는 섬유질이 소화를 더디게 하므로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곡류를 포함한 탄수화물을 한 끼 또는 두 끼를 제한하면 회복이 신속합니다. 이 점에 관하여는 다음에 자세히 논할 것입니다.

(2) 채소와 과일도 약한 간을 강하게 하면서 서늘하게 해주는 것을 섭취합니다. 배추 모든 상치 미나리 시금치 케일 돗나물 질경이 파슬리 신선초가 있습니다. 과일은 알다시피 당분을 함유함으로 아예 먹지 않거나 상태에 따라 약간 섭취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포도 키위 참외 딸기 오렌지 귤 레몬 모과 바나나 파인애플 앵두 도마도(평식품)이 있으며, 비교적 당분이 적게 들어 있는 토마도는 무난하며 탄수화물 대신 바나나를 식사대용으로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토마도는 차지도 덥지도 않은 평(平)식품으로 모두에게 좋은 식품입니다. 토마도에는 라이코펜이라는 혈압을 내려주고 지질을 분해하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3) 단백질 식품으로는 육식을 절대 삼가하고, 체질에 맞는 흰 살 바다 생선이 좋으며, 민물고기로는 붕어가 좋습니다. 그중에서도 등 푸르거나 붉은 살 생선은 금합니다. 이런 생선은 너무 차가운 기운을 품고 있어 몸의 열을 지나치게 빼앗기 때문에 해롭습니다. 잉어 가물치 등푸른 생선 붉은 살 생선 등은 신장을 북돋는 식품으로 금음체질은 신장이 센 장기이므로 해롭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식단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초 검정콩 요법.

식초에 쥐눈이 콩이나 검정콩을 4~7일 담궜다가 그대로 또는 콩즙으로 먹습니다. 식초는 피로 회복 효과가 좋으며 크렙스 사이클(영양소가 소화되어 세포 안으로 포도당이 공급되는 일련의 과정)을 원활하게 해주고, 피로 물질인 젖산을 분해시키고, 간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녹차 요법.
녹차는 성질이 차가워 더운 기운을 아래로 식혀 내리는 작용을 합니다. 그래서 열과 양 기운이 센 금 체질이나 토 체질이 마시면 혈당과 혈압을 내려줍니다. 녹차에는 당이 결합된 다당체라는 성분에 혈당강하 작용이 있습니다.

솔잎요법.
솔잎은 솟구치는 열기를 꺾어 하강시키는 힘이 강합니다. 엽록소 단백질 조지방 정유 인 철분 비타민C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석회질 용해성분이 들어 있어 동맥경화에 좋고 혈당강하 성분은 당뇨에 좋습니다. 솔씨 솔잎차나 가루 솔잎목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녹즙요법.
신선초 케일 미나리 돗나물 질경이 등 냉성 야채를 이용하여 녹즙을 1일 200cc 분량으로 3-5잔 정도 마시면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비타민 엽록소 등의 영양분울 공급하여 췌장의 열을 내릴 수 있고 간과 신장 그리고 탁한 피를 맑게 하여 당뇨의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식물섬유가 많아 위속에 장시간 머물러 있어 소장에 내려가는 속도가 느려 그만큼 소화흡수가 늦춰지므로 고혈당을 피할 수 있고 높은 인슐린 혈증을 동시에 피할 수 있습니다. 영양분은 거의 소장에서 빨아들인 후에야 간에 저장됩니다.

금체질은 야채를 가능한 한 생으로 먹는 것이 음양조절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신장의 결석 예방에도 필요합니다. 다른 음식보다 생야채를 많이 먹는 것이 길고 열이 많은 대장에 숙변이 정체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이고 쾌변에도 좋습니다.

포도당 미역 톳 조개류 전복 비타민C 냉수 마찰 수영 등산 등은 좋습니다. 식초를 충분히 드시면 간의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맵고 짠 것은 해롭습니다.

2) 가능한 한 가공하지 않은 원식물을 섭취합니다.

당뇨병이란 알다시피 먹은 음식이 소화되어 만들어진 혈중 포도당을 인슐린 부족으로 세포에 포도당을 넣어 주지 못하여 과잉 혈당이 축적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음식물이 천천히 시간을 두고 소화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대로 곡류는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로,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원시 상태 그대로 조리하여 먹는다면, 소화되는 시간이 길어져 그만큼 고혈당을 피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자연 그대로 먹게 되면 유용한 각종 영양분은 거의 대부분 껍질에 있으므로 고스라니 모두 취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장부의 기능은 왕성해져서 한층 더 당뇨극복이 쉬워집니다.

3) 당질(탄수화물)을 제한하는 식사를 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1) 일반 당뇨식은 고혈당을 개선하기 어렵습니다.

기존의 당뇨식은 탄수화물 55-60%, 지질 20-25%, 단백질 15-20%로 구성되고 1600 칼로리를 섭취 권장량으로 합니다.
대부분 이런 표준을 따라도 혈당 강하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혈당수치가 200이상 올라가면 혈관 내피에 손상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상태가 길어지면 혈관성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져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고혈당이 지속되면 그 자체가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증대시키므로 고혈당의 악순환이 더욱더 심해집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충분히 있어도 포도당을 세포로 나르는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3) 탄수화물을 제한하는 식사를 하면 획기적으로 고혈당을 내릴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제한식은 당질 35%, 지질 40%, 단백질 25%로 아침과 저녁식사에서 주식 즉 밥을 뺐을 경우입니다. 밥을 먹지 않는다는 것은 상당히 편중된 식사법으로 수긍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소개하는 당질 제한식은 일본 다케오 병원의 임상에서 검증된 자료입니다.
그러나 당뇨병의 본질을 생각해보고 각 영양소가 혈당으로 바뀌는 비율과 속도를 고려해보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단적으로 말해서, 고혈당을 만드는 것은 탄수화물뿐이라고 말해도 틀림이 없습니다. 즉 탄수화물은 먹은 것 모두 100%가 혈당으로 바뀝니다. 단백질은 섭취량의 50%가 혈당으로, 지방은 섭취량의 10%가 혈당으로 바뀝니다.
그 다음으로 탄수화물은 먹은지 20분에서 혈당으로 바뀌어지기 시작해서 2시간 정도에서 100% 모두 혈중의 포도당으로 바뀝니다. 그러나 단백질은 식후 1시간부터 혈당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식후 3시간 대에 가장 혈당이 많아지고 6시간이 지나면 그칩니다. 그런데 지방은 10% 미만에서 약 12-24 시간 지속됩니다. 지방은 해롭다는 생각에 무서워하지만 체질에 적합한 지방을 포함한 당질 제한식을 섭취하면 위에서 말한 고혈당의 문제를 신속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방과 단백질은 담낭에서 나오는 쓸개즙에 의해 소화가 쉽게 이루어집니다. 한편 탄수화물 전분등의 소화는 쓸개가 아닌 췌장에서 분비하는 아밀라제와 같은 소화효소에 의해 주로 소화가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이러한 탄수화물의 식사량을 줄이면 망가진 췌장은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탄수화물의 소화시켜야할 양이 많으면 그만큼 췌장은 효소를 분비하는 일을 많이 하게 돼 지치게 되고 췌장은 과열되어 양질의 인슐린 생산 분비가 갈수록 힘듭니다. 그러나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면 지친 췌장은 회복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겨 근본적으로 당뇨병을 고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단백질 지방질 섭취가 늘면 케톤체 수치가 높아질 수 있으나, 고혈당이 아닌 상태에서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케톤체는 지방이 혈당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부산물입니다)

둘째로 고혈당 상태를 빨리 개선하면 혈당이 혈관 내피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심장병이나 뇌졸중 고혈압 등을 피할 수 있습니다. 고혈당이 오래 지속되면 혈액 중의 포도당에 의해 혈관이 손상되어 혈관의 동맥경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체질에 맞게 단백과 지방질을 섭취하면 여러 가지 합병증도 함께 고칠 수 있습니다.

4) 금음체질은 폐의 지나친 열기(熱氣)를 체질 한방으로 다스려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금음체질과 관련된 당뇨 원인을 다시 언급합니다. 췌장은 더운 것 즉 열(熱)을 싫어합니다. 차가워야 정상 기능을 합니다. 즉 위장의 과도한 열은 췌장의 열을 부추겨 인슐린 생산 분비 기능을 떨어뜨립니다. 췌장은 장기 가운데 가장 뜨거운 열을 내는 위장 뒤편에 바로 붙어 있습니다. 그러니 자동적으로 위장의 뜨거운 열에 췌장은 달궈질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췌장은 제 기능을 상실할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금음체질의 경우 이 췌장의 열은 실은 폐열에서 비롯됩니다. 폐를 덥게 하는 음식을 주로 섭취하면 그 열은 위장에 전달될 수밖에 없고 간에 열이 찰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까닭에 위열을 식히기 위해 찬 물을 즐기며 간열 때문에 두통과 눈에 충혈이 잦습니다. 이런 위장과 간의 열 때문에 당연하게도 췌장에 열이 차게 되면 제대로 췌장이 일을 할 수 없습니다. 고장이 납니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췌장은 차가운 기운을 품은 인슐린을 생산 분비하여 음양균형을 맞추려고 합니다. 그러나 위장을 뜨겁게 하는 성질이 있는 음식을 지속적으로 먹게 되면 위장의 열이 올라가고 거기에 비례하여 췌장도 과열되어 인슐린 분비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습니다. 열이 많은 음식을 계속 먹게 되면 위장의 온도가 항상 정상체온인 37 도보다 높은 37.4 도 이상을 유지하게 되며, 위장 바로 뒤편에 붙어 있는 췌장의 온도도 자연히 비정상적으로 올라가 췌장은 더운 열에 시달리게 됩니다.

너무 더운 날씨에는 신체의 컨디션이 떨어지고 몸의 기능이 약해지는 이치와 같습니다. 열이 성하면 췌장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려면, 습기와 열이 가득한 습식 사우나에 오랫동안 있을 때 답답하고 숨쉬기 힘들고 기운이 쭉 빠지는 상황을 상상해보면 됩니다. 우리 몸은 대체로, 춥지도 덥지도 않은 상쾌하고 습도도 너무 건조하지도 너무 습하지도 않은 기후일 때에, 쾌적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치와 같습니다.

우리 몸 안에 있는 장부도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제 기능을 유지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병이 생깁니다. 금음체질은 무엇보다도 과도한 열의 진원지인 폐의 열을 식혀주어야 하고 다음으로 간장의 열을 풀어내야 합니다. 그리함으로 근본적인 치료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런 목적으로 반드시 기본적으로 음식물을 체질에 어울리게 먹어야 합니다. 그러나 음식은 약리작용이 없거나 약합니다. 그런 연유로 빠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너무 오랜 세월 병고로 고생하면 췌장의 회복력은 현저하게 떨어져 아무리 철저하게 식이요법을 해도 췌장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일이 힘에 부칩니다. 따라서 역가(力價)가 뛰어난 기능성 식품이나 약재를 이용하여 치유를 도와야 합니다. 또는 식품 의약품 안정청의 식품공전에 등재된 동식물 가운데서 체질에 맞고 약리작용이 뛰어난 약용식물들을 골라 상태에 맞게 추출물형식으로 섭취하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음식이나 식품과는 달리 약용식물은 글자 그대로 약리 작용이 뛰어나 체질대로 약재를 이용하면 오히려 간을 해독하는 것은 물론 췌장의 기능 회복도 잘 됩니다.

근본적으로 금음체질은 폐와 간 췌장이 과열되어 있으므로 열을 내려 조절해주고, 약한 간을 보강하고 서늘하게 하는 체질 한방제를 쓰면, 고장난 췌장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부실하고 병약해진 몸의 기운을 보충하고 원기를 회복하고 힘을 얻는데 필요합니다. 이렇게 보조적으로 약용식물 추출물을 섭취하면 식이요법의 효과에도 탄력이 붙기 마련입니다.

5) 췌장에 열을 가하는 것들을 피해야 합니다.

(1) 폐를 강하게 하고 열을 내는 육류와 유제품을 피해야 합니다.

육식은 최강 장기인 폐를 과도하게 강하게 하면서 열을 가중시킵니다. 또한 대장의 기능의 이상항진을 일으킵니다. 그러면 온몸이 더워지고 특히 폐열이 아래로 내리면서 위장과 췌장이 더워집니다. 자연히 췌장의 인슐린 생산 분비 기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모든 육류를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체력에 따라서 전격적으로 끊든지 점차적으로 끊든지 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가금류 즉 닭고기 오리고기 새고기 등 모두가 포함됩니다. 사실 가금류는 열이 많은 식품입니다.

게다가 육류를 섭취하면 금음 체질의 간과 쓸개는 육류의 단백과 지방을 효과적으로 대사하기에 기능적 장애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약한 간과 담낭은 갈수록 더 약해집니다. 그러면 해독기능과 면역기능은 더 떨어져서, 인슐린 의존형 당뇨에 경우에는 자가 면역 증상이 심해져 악화됩니다. 노폐물 배설이 더 어려워져 혈액이 탁해지고 말초혈관의 순환장애가 나타납니다. 이런 경우 육고기를 먹으면 일시적으로 힘이야 나겠지만, 끝내는 악화됩니다. 또한 육식을 하면 금체질의 경우에는 십중팔구 심장의 관상동맥 질환이 생깁니다.
보통 우유나 치즈 버터 등의 유제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영양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완전식품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칼슘 단백질 등을 포함하여 성장에 필요한 모든 것을 거의 갖추고 있는 셈입니다.
그러나 유제품은 금체질에게는 폐 기능을 과도하게 항진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때문에 유제품이 맞지 않는 금체질의 유아가 수유기에 우유를 먹고 자라게 되면 폐의 기능 항진으로 알레르기 아토피 기관지 천식 등으로 고생하는 사례가 많은 것입니다. 체질 감별을 해보면 십중팔구는 이 체질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당뇨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남들 모두가 좋다고 해서 덩달아 먹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보다는 차가운 기운을 머금고 있는 검정콩 두유가 좋고 검은 깨가 첨가되어 있다면 금상첨화입니다. 하지만 흰콩으로 만든 두유는 성질이 따뜻하므로 먹게 되면 역효과가 납니다.

(2) 장어 미꾸라지 메기 잉어 가물치 바다장어 아나고 논 지렁이 등의 생선은 폐를 이상 항진시키므로 금합니다. 바람직한 단백질원이 아닙니다.

(3)폐와 대장을 과강하게 하는 과일과 식품을 삼가야 합니다. 배 수박 복숭아 밤 은행 호도 아몬드 호박 박 녹용 모든 버섯 생강 고추 커피 마 도라지 콩나물 겨자채 열무 등은 폐를 이롭게 하는 식품으로 폐에 열을 과도하게 발생시킵니다. 유제품(우유 요쿠르트 치즈 버터)은 폐를 보강하고 요쿠르트와 청국장 역시 대장을 강하게 하므로 대장이 센 금양체질은 먹게 되면 결국 동반해서 췌장도 열을 받게 됩니다. 요쿠르트나 청국장은 누구에게나 좋은 참살이 식품으로 모두 잘못 인식하고 있으므로 흔들려서 경솔하게 먹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4) 위장을 덥게 하는 곡류를 금해야 합니다.

현미 흰콩 찹쌀 옥수수 감자 율무 수수 등은 주로 위장을 따뜻하게 하는 식품으로 멀리해야 합니다. 특히 현미에는 휘친산이라는 해독성분과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어 인기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발아현미까지 나와 있어 현미 천국입니다. 그러나 현미 껍질은 극히 열이 많아 장기간 섭취하면 당연히 폐열로 고혈압이 오거나 췌장열로 당뇨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사실이 이러하므로 먹으면 안 되겠지요.

기타

홍삼 인삼 청국장 보신탕 녹용 당분 설탕 꿀 매운 것 지나치게 짠 것. 행여 좋다고 비타민A B D 등을 먹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요즘 비타민제는 종합비타민 형식으로 나오므로 해로운 비타민이 섞이지 않은 것을 잘 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이나 목욕은 오래하면, 몸 안의 진액이 소모되어 기운이 달립니다. 매운 음식과 매운 고추를 조심하여야 합니다. 이 체질은 매운 것을 과도하게 먹으면 횡격막이 열로 인해 경련이 일어나고 폐열이 상승하여 천식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http://www.songsan.org/page/page.php?pid=14944

 

출처 :수호천사 요양보호사 원문보기 글쓴이 : 익명회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