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일일초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1. 22.

성상

 

높이 30~40cm에 이르는 정향과의 상록다년생초본입니다. 잎은 대생하며 잎꼭지가 있으며 도란형이고 가죽질이며 털이 있습니다.
꽃은 5개로 갈라진 판모양의 연분홍색입니다. 한개의 꽃은 3~5일 간 피어있으며 꽃이 피기시작하여 지기전에 새꽃이 피므로 항상 꽃이 있게 됩니다. 그래서 이 식물을 장춘화 또는 일일화라고 합니다.
이식물은 열대아시아 원산이며 한국에서는 겨울을 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온실에서 모를 키워 5월에 밭에 옮겨 심어 가을에 수확합니다.
꽃피는 여름철에 잎을 뜯어 그늘에 말리고 가을에 잎과 뿌리를 캐서 말려 약으로 씁니다.

 

성분


식물전체에 알칼로이드가 있습니다. 잎에 약 0.05%, 뿌리에 약 0.1% 있습니다.
알칼로이드의 성분은 카타란틴, 빈톨린, 로이로신, 아이말리신, 테트라히드로알스토닌, 빈돌리닌, 빈카로이코블라스틴(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비로신, 로호네리신, 페리빈, 이소로이신, 로호내리진, 빈카미신, 카타린, 핀돌리틴, 카테란티놀, 로이로시틴, 로이로크리스틴과 배당체인 게잇소쉬신, 코리난데인, 스템마데닌 ...... 등 70여종의 성분이 밝혀졌습니다.
그 외에 이노시톨, 호박산, 플라본배당체, 세코로가닌산, 세코로가노시드가 있습니다.

 

작용

 

당뇨병을 찾기위한 실험과정에서 백혈구수를 줄이는 독작용에 착안하고 항암활성을 연구하여 66종이 넘는 알칼로이드의 구조를 밝혀 내었으며 그 중 4가지에서 뚜렸한 항암활성을 찾아내었습니다. 그밖에 많은 알칼로이드가 항암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특히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의 항암효과가 강하며, 이 두물질의 화학구조는 비슷하나 항암의 작용 범위가 다르고, 교차내약성이 없습니다. 이 두 알칼로이드는 종양세포의 증식과 백혈구생성을 억제하지만 적혈구의 조혈기능과 혈중헤모글로빈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빈블라스틴은 주로 호드킨병, 융모상피암에 쓰며 이밖에 임파육종, 균실처럼 자라는 육종, 백혈병, 횡문연골병, 흑색종, 포상귀태, 성상세포종, 암(가슴, 폐, 입안, 위, 결장, 직장, 난소, 목, 자궁, 신장, 방광 부위)에 대한 항암활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 약의 효과는 빨리 나타나 투여한지 3일내로 종양이 줄어들거나 없어집니다. 그러나 재발의 위험도 높습니다.
빈크리스틴은 급성임파성백혈병, 악성임파종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작용이 빠르고 골수억제도 약하지만 약을 끊은 후 3주일 안에 병세가 다시 악화되므로 될수록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합성 항암제와 함꼐 써서 좋은 효과를 보았다는 자료도 있습니다.
이 약물의 기전은 세포의 글루타민산 이용을 방해하는 대사길항작용이 있거나, 핵산, 리보핵산, 단백질합성을 약화시키고 세포의 유사분열을 억제하며 분열중기에 멈추게하는 세포독으로 보고 있습니다.
총알칼로이드는 혈압낮춤작용이 있습니다. 알칼로이드 성분은 또한 혈당낮춤 작용이 있습니다. 빈돌린, 로이로신, 로호데린, 카타란틴, 데트라히드로알르스토닌, 빈돌리닌은 혈당을 천천히 그리고 오랜기간 낮춥니다. 잎 우린액도 혈당량을 낮춥니다.
빈블라스틴은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조혈기 계통의 억제로 백혈구가 심히 줄어드는 것입니다. 이 부작용은 약을 끊은지 2~3주 되어야 회복됩니다. 그러므로 백혈구가 4,000아래로 떨어지면 주사하지 말고 회복된 다음 다시 투여해야 합니다.

 

약제

  • 총알칼로이드와 빈블라스틴은 단구성백혈병, 백혈병성임파육아종, 망상육종, 융모상피종, 골수종, 그리고 수술과 방사선 및 화학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는 종양에 씁니다. 폐암, 난소암, 피부암, 고환종양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습니다.
  • 2%의 알칼로이드 주사약 : 총알칼로이드를 주사약으로 만들어 한번에 2~6CC 씩 하루 2~3회 정맥주사합니다.
  • 빈블라스틴주사약 : 5mg을 용액에 풀어서 천천히 정맥주사합니다. 부작용은 식욕부진, 허약, 울증, 구내염, 구역질, 구토, 탈모증, 백혈구감소증, 두드러기, 과립성백혈구결핍증이 나타납니다.
  •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로우 (Yarrow)  (0) 2009.01.27
    [스크랩]지치의 효능  (0) 2009.01.24
    `파래김, 니코틴 중화에 `최고``<전남해양硏>  (0) 2009.01.22
    야로우 (Yarrow)  (0) 2009.01.22
    툴시 (Tulsi,basil)  (0) 200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