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폐경기 이후 여성 51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4회에 걸쳐 안면홍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혈자리인 `중완', `관원', `족삼리', `삼음교' 등에 뜸 치료를 한 결과, 안면홍조의 발생 정도와 횟수가 50%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안면홍조는 폐경 후 갱년기 여성의 75%가 경험하고 있는 증상으로 대부분 발열, 발한, 전신무력감, 불면 등을 동반한다. 전 세계적으로 안면홍조에 대한 한약이나 침 치료 연구는 보고됐으나 뜸 치료에 대한 효과 연구는 알려지지 않았다. 서양의학에서는 안면홍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보통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이 시행되는 데, 이번 연구결과로 호르몬 요법에 불안해하는 환자들에게 뜸 치료가 새롭게 각광받을 것으로 한의학연은 기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1월 캐나다에서 열린 `보완대체의학 다학제 네트워크' 워크숍에서 발표됐으며 의학전문저널인 `Menopause(폐경)' 최신호에도 실릴 예정이다. 한의학연 최선미 박사는 "갱년기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안면 홍조에 사용되는 뜸 처방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임상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한방 병의원에서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
'일반 건강상식 > 한방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머’ 웃으면 혈관이 넓어진다[스크랩] (0) | 2009.01.13 |
---|---|
[스크랩]약을 법제하는 방법 (修製法) (0) | 2009.01.08 |
[자료] 한의학의 간 질환 (0) | 2009.01.01 |
[스크랩]체질을 알자 (0) | 2009.01.01 |
겨자찜질요법 (0) | 200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