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가버섯 관련 글/차가버섯 실패사례

차가버섯으로 치료를 받은 만성 위염 및 위 폴립 환자들에 대한 임상 관찰6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10. 15.

장기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수가 많았다. 차가 약이 치료 효과를 보인 시기는 서로 달랐지만 모든 환자들의 상태가 뚜렷이 호전되기 시작했다.

 

2% 차가 용액을 복용한 11명의 환자들 가운데서 4명은 2-3주가 경과한 후, 그리고 7명은 한 달 경과 후 상복부의 통증과 중압감이 사라졌다. 복용 후 1-2주가 경과하지 소화불량 증상(트림과 구역질)이 중단되었으며 식욕이 좋아졌고 모든 환자들에게서 변비가 해소되었다. 치료를 시작한 지 한 달째가 되자 환자들은 더 이상 기력이 떨어져 힘들지 않게 되었으며 기분이 좋아지고 원기를 되찾았다.

 

치료 후 한 달 이내에 환자들의 상태와 자각증세가 호전되었고 이 호전된 상태가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되었으며 1명의 환자만이 치료 5년째에 다시 설사 성향이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환자에게 2% 차가 용액과 차가 침전물을 각각 하루 2회씩 복합적으로 복용하도록 처방을 바꾸었더니 효과가 좋았다.

 

설사 성향이 있는 3명의 환자들의 경우 차가 침전 약의 효과가 좀더 조기에 나타나서 1명은 1주 경과 후, 2명은 2주 경과 후 복부 팽만감과 중압감이 사라졌다. 식욕이 좋아지고 트림과 구역질이 없어진 것은 치료 후 1-2주가 경과하면서부터였다.

 

모든 환자들이 약을 복용한 첫째 주에 설사를 멈추었다.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상태가 호전되자 원기가 솟고 기력 쇠진 증상이 사라졌다. 이러한 직접적인 좋은 결과는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다만 1명의 환자에게서 1년 뒤 변비 증상이 다시 생겨나서 2% 차가 용액을 처방하자 증상이 해소되었다.

 

관찰 기간 동안 장기간 차가로 치료를 받은 7명의 환자들에게선 현저한 물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3명의 환자들의 경우 가시적으로 확인되는 점막과 피막의 핏기 없는 상태가 훨씬 덜해졌다. 환자들 대부분의 혀가 깨끗해지기 시작했으며 돌기는 새로운 변화가 없는 상태로 남아 있었다. 복부 팽만감은 사라졌다. 복부 촉진에서 통증이 없어지기 시작했다. 3명의 환자들에게서 간의 크기가 정상치까지 줄어들었다.

 

관찰 과정에서 위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검사한 결과 13명의 환자들에게서 무산증이 여전한 것으로 밝혀졌고 변화가 일어난 환자는 1명에 불과했는데 이 환자의 경우 저산증 범위 내에서 자유 염산이 생겨났다.

 

장기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엑스레이 검사 결과 요철 부위가 개선되고 위 점막이 부어오른 현상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개의 경우 단일 폴립 상태는 오래 가지 않으며 2-3년이 지나면 그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리의 환자들 중에는 장기간 관찰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이행이 일어난 경우가 없었다.

 

환자들의 폴립 수가 많아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면적이 커지지도 않았다. 반대로, 차가 약으로 장기간 치료를 받은 3명의 환자들은 폴립의 크기가 2.5-1.5cm 에서 0.7-0.3cm까지 줄어들었고 1명은 폴립이 더 평평해졌다. 이것이 실제로 크기가 줄어든 것인지 아니면 위 점막이 부어올랐던 것이 가라앉아서 그렇게 된 것인지는 관찰 환자의 수가 너무 적어서 판단을 내릴 수 없다.

 

위 폴립 환자들에 대한 관찰의 수가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적할 수 있는 점은 차가 약의 복용이 질병의 임상적 진행에 변화를 주었을 뿐만 아니라 병리형태학적(pathomorphology)인 변화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2% 차가 용액과 차가 침전 약을 다양한 임상적 진행을 보인 만성 위염 환자들과 위 폴립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관찰한 결과 그 효과에 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2% 차가 용액은 변비 성향이 있는 만성 위염의 훌륭한 치료제였다. 이 약은 병이 악화된 시기에 소화불량 증세와 통증을 없애주며 장의 활동을 정상화하고 식욕을 좋게 해주며 환자의 상태와 자각증세를 호전시켜 준다. 장기간 복용할 때는 질병의 임상적 진행에 변화가 생겨 치료 후기에 약 복용을 중단하는 휴지기를 가져도 병세가 악화되지 않는다.

 

침전시킨 차가로 치료를 했을 때 설사 성향이 있는 만성 위염 환자들은 직, 간접적으로 훌륭한 치료 효과를 보았다. 장기간 복용할 때는 휴지기를 가져도 환자의 상태와 자각증세가 악화되지 않았다.

 

차가 약을 2배 처방하거나 혼합 복용토록 한 경우 여러 환자들에게서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졌다.

 

위 폴립 환자들을 차가 약으로 장기 치료하면 질병의 임상적 진행이 변형될 뿐만 아니라 병리형태학적 파괴에도 변화가 생겨서 더 이상 폴립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다.

 

차가 약은 치료제로 복용하는 분량으로는 독성이 없다. 이 약은 다양한 경향을 가진 만성 위염은 물론 수술이 안되는 위 폴립과 수술 후 재발한 위 폴립의 치료제로 권장될 수 있다. 

 

[참고문헌]

 

M. P. 베레지나, P. K. 불라토프, F. Ya. 반디셰바(1959), 흰쥐에게 주입된 육종 성장에 차가가 미치는 영향.  논문집『차가와 그 치료적 사용』 pp.119-126

 

M. P. 베레지나(1959a), 차가로 치료하는 동안의 4기 암 환자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위의 책, pp.143-159

 

M. P. 베레지나(1959b), 4기 암 환자의 운동반응 잠복기에 차가가 미치는 영향. 위의 책, pp.188-194

 

M. P. 베레지나와 P. K. 불라토프(1959), 차가로 치료시 4기 암 환자에 대한 전기 뇌 엑스레이 촬영법 연구. 위의 책, pp.160-187

 

P. K. 불라토프(1959), 차가로 치료시 4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 관찰. 위의 책, pp.261-270

 

M. V. 예레멘코(1959), 차가로 치료시 4기 암 환자들의 피부분극전위 연구. 위의 책, pp.195-206

 

N. A. 크로트키나(1959), 흰쥐에게 주입시킨 종양에 차가가 미치는 영향. 위의 책, pp.114-118

 

E. Ya. 마르티노바(1959), 차가로 치료시 4기 위암 환자에 대한 임상 관찰. 위의 책, pp.271-278

 

A. V. 멜리니코프(1954), 위의 전암 질환 임상. 레닌그라드, 3-4. pp.198, 220-222

 

I. I. 오브치닌니코바(1959), 차가 치료시 4기 유선암 환자에 대한 임상 관찰. 논문집『차가와 그 치료적 사용』, 레닌그라드, pp.306-309

 

N. N. 페트로프(1952), 소련 의학아카데미 종양학연구소와 국립전문의양성대학 제1 외과병원이 임상 관찰한 위 전암 질환들. 『위암 및 위 전암 상태에 관한 회의 보고 논문』, 레닌그라드,   pp.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