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황달이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9. 20.

황달이란?

  혈액 속의 빌리루빈이라는 담즙 색소의 양이 증가하여, 여러 가지 조직에 침착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이 노란 빛을 띠는 상태를 황달이라고 합니다. 황달은 병에 의해 생긴 증상의 하나이지, 그 자체가 질환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황달이 나타났을 때는 어떤 종류의 황달이고, 어떤 병이 원인이 되어 나타났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황달은 왜 생기나요?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긴 노란 색소인 빌리루빈이 일시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빌리루빈은 간장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는데 신생아의 간장 기능이 아직 미숙하므로 생후 용혈로 증가 되는 빌리루빈을 충분히 처리하지 못하여 황달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또 빌리루빈에는 글루크론산과 결합되어 있는 직접형 빌리루빈과, 결합되어 있지 않는 간접형 빌리루빈이 있습니다. 신생아의 황달은 대부분 간접형 빌리루빈의 증가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소변이 빌리루빈을 함유하여 진하게 나오는 경우는 폐쇄성 원인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을 신생아 간염 입니다. 또한 감염이 황달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용혈성 황달은 적혈구가 부서지기 쉽게 되어 지나치게 부서지기 때문에 혈액 속의 간접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하여 일어나는 황달 입니다.

황달의 증상은?

  생리적 황달은 대개 1-2주 정도 지나면 거의 없어집니다. 그러나 모유 영양아중에 드물게 황달 증상이 1개월 이상이나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황달 증상은 정상아에 비해 미숙아인 경우에 더 오래가고 심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모유가 원인이 되어 황달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모유 수유를 잠시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병적 황달을 생리적 황달로 오인하여 방치하였을 경우 심해져서 청력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더욱 심해지면 뇌손상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2주 이상 황달이 계속된다면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은 대개가 용혈성 황달에 의한 것입니다.

신생아에서 용혈성 질환으로 황달이 있는 것을 모르고 지날 때에는 핵황달로 진행하며 사망하거나 뇌성마비나 난청이 될 수 있습니다. 정상인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생리적 황달이라고 부르는데 보통 태어난 지 24시간이 지나서 생기며 3일째에 가장 심하고 7-10일 경에는 사라집니다.

생리적 황달은 생후 24시간 이내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드문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생후 2주 후에 나타나는 황달은 생리적인 것이 아니므로 원인을 규명해 보아야 합니다. 생리적 황달에서는 소변이나 대변의 색깔은 정상이며 소변에 빌리루빈이 나타나지 않으며 대변은 정상적인 담색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황달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황달이 일어났을 경우는 우선 원인을 확인하여 각기 바탕이 되고 있는 병의 치료를 하는 일이 중요합니다.신생아 황달의 대부분은 치료가 필요 없지만 어느 경우에 치료를 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헛걸음을 하더라도 황달이 있는 아기는 소아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병적인 황달의 경우는 그 원인을 밝혀 보아야 하며 핵황달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의 치료법들로는 약물 투여, 광선 요법 및 교환 수혈 등이 있습니다. 광선 요법 및 교환 수혈은 입원하여 시행되어지는 치료법으로, 광선 요법은 아기의 피부에 광선을 쬐어서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을 낮추는 방법인데 간혹 황달이 있는 아기를 원인을 밝히지 않고 집에서 형광등이나 햇볕을 이용해서 치료하려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방법들은 그냥 두어도 좋은 생리적인 황달에는 약간 도움이 되나 병적인 황달의 치료에는 별 소용이 없습니다. 교환 수혈은 황달이 너무 심한 아기의 피를 정상인 피로 바꾸어주어 황달의 수치를 빨리 떨어뜨려주는 치료법입니다.

이것이 궁금해요 (FAQ)

  Q : 태어난 지 한달 보름 정도 된 아기입니다. 신생아 황달이 있었으나 2주 정도 지나 육안으로 보기에는 없어진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약 한달 정도부터 다시 황달기가 나타나서 아직까지 없어지지 않고 있습니다.이렇게 한 달 넘게 계속되어도 괜찮은 것인지요?

A: 한달 반 지나서도 황달이 있는 것은 흔한 경우는 아닙니다 간혹 병적인 경우도 있으니 다시 한번 병원을 방문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생후 2주후에 나타나는 황달은 생리적인 것이 아니므로 원인을 규명해 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