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카로텐이 많은 과채류 카로텐(carotene)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물질을 카로테노이드라고 한 다. 카로텐(carotene, 당근의 황색 색소), 리코펜(lycopene, 토마토의 적색 색 소), 푸코크산틴(fucoxanthin 해조류의 색소) 등이다. 카로텐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과채류에는 베타-카로텐이 많다. 100g당 300mg 이상 함유하는 것은 당근(7,500mg/100g), 차(2,100), 쑥갓(3,400), 시금치(3,100), 미역(1,400), 파 슬리(7,500)이다. 베타-카로텐은 소화되는 동안 2분자의 비타민A로 변하는 물질이며 당근의 색깔이 베타-카로텐 색소이다. 케타-카로텐은 산화방지효과와 활성산소 소거 작용, 암세포증식 억제작용, 발암억제작용이 강하다. 비타민 C는 식물성 식품에만 있고 동물성 식품에는 거의 없다. 비타민 C 는 열에 아주 약하고 산소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고 산성에서 안정하다. 과채류 중에서 비타민 C를 100g당 200mg이상 함유하는 것은 고추 (220mg), 파슬리(200), 케일(150), 다래(180), 구아바(270) 등이다. 그러나 대 부분의 녹채류 중에는 100mg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C는 발암물질이 정상세포에 작용하지 못하게 즉 발암과정의 초기 단계를 저지하여 정상 세포가 돌연변이 세포로 되지 못하게 하여 암예방효 과에 큰 구실을 하고 베타-카로텐과 함께 활성산소의 무독화작용도 한다. 비타민 E는 기름에 녹으며 특히 식물성 기름에 많이 녹아 있다. 열에는 아 주 안정하다. 100g당 2mg이상 함유하는 것은 대두(21.3), 부추(2.7), 호박 (5.7), 파슬리(3.6), 참깨(22.8)이다. 비타민 E는 항상화 작용이 강하여 카로텐과 함께 암발생의 큰 원인이 되 는 활성산소를 무독화시켜 세포의 손상을 최대로 보호하며 특히 유방암 예 방효과가 크다고 한다. 특히 참깨기름 중에 있는 세사미놀(sesaminol)은 항산화작용이 아주 우수 한 성분이다. 콩, 팥, 녹두, 강남콩, 완두, 검정콩, 땅콩 등은 단백질과 지방이 많은 우수 한 식품이다. 콩은 옛날부터 밭의 쇠고기라 할만큼 우리의 단백질 자원이기 도 하다.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isoflavone),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 (daidze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그리고 사포닌(saponin) 성분은 항암효과와 암예방효과가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은 암예방효과, 제니스테인 은 대장암과 전립선암의 항암효과가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은 암예방효과, 제니스테인은 대장암과 전립선암의 항암효과가 특별하다고 한다. 콩에는 이 들 외에 금속 결합물질, 용혈물질, 올리고당에 의한 비피더스균의 증식작용, 대두 단백질에 의한 혈압저하작용 그리고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작용, 렉틴 (lectin)에 의한 종양효과, 배당체에 의한 항바이러스. 항지혈작용 등이 있다. 외국에서는 향신료의 종류가 다양하나 우리 나라에는 후추, 겨자, 산초, 생 강, 고추 등이 사용되고 있고 마늘과 고추가 가장 많다. 이중 마늘은 1990년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암예방 기능이 가장 우수한 식품으로 평가받은 바 있다. 최근 미국에서도 식당에서 녹차 음료, 마늘 이 용 요리가 인기가 있다고 한다. 마늘에는 황을 함유한 물질로 알리인(alliin), 알리신(alicine), 스코르디닌 (scordinin), 디티오에티오닌(dithoethionine)이 있다. 이들 황함유 물질은 돌 연변이 세포가 암세포로 촉진되는 것을 억제하여 암세포가 발전단계에 이르 지 못하게 한다. 또 발암 물질을 해독시키는 효소의 작용을 촉진시켜 발암 물질이 정상 세포에 손상을 주지 못하게 한다. 이들 황함유 물질은 대장암, 폐암, 피부암에 유효하다고 한다. 이들 외에도 마늘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정장효과, 항균. 살충작용, 항혈전작용, 감기예방과 치료효과, 혈압조절 작용 그리고 면역부활 작용 등이 있다. 다류는 그 종류가 수 없이 많으나 여기에선 우리들이 제일 많이 마시고 있는 녹차에 한하여 설명한다. 녹차에는 폴리페놀(polyphenol)류로서 카테킨 (catechin)류, 플라보놀(flavonol), 색소, 카페인, 비타민 C, E, 헤테로다당 등 의 여러 성분이 있다. 특히 카테킨류에는 여러 종류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데 카테킨은 돌연변이 세포가 암세포가 될 때 이를 가속화시키는 활성산소 의 산화작용을 강하게 억제하여 암세포의 생성을 저해한다. 이처럼 카테킨은 항산화작용외에 항암효과, 노화방지효과, 고혈압조절효과도 있다. 실례로 일 본의 녹차 생산지인 시즈오카현의 한 마을에는 암환자가 거의 없는데 이는 녹차를 많이 마셨기 때문이라는 것이 역학 조사결과에서 밝혀졌다. 식용 버섯은 옛날부터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버섯은 그 종류가 많은데 글루칸(glucan)이라는 성분이 항암효과를 가진다. 특히 영지, 복령, 상황버섯, 동충하초 등은 항암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면역세포의 활성화, 항종양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혈전방지작용, 강심작용, 혈당저하작용을 한다.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이므로 해조류를 많이 먹는다. 특히 최근에 곤포 에서 분리한 푸코이단(fucoidan)이라는 성분은 암세포를 파손시키는 작용이 강하여 항암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조류에는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혈압저하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황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채소류는 양배추, 겨자, 무, 브로콜리, 순무 등 이다. 마늘 중의 황화합물과 다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oiocyanate)가 있 다. 이 물질은 발암물질 무독화와 식도암, 대장암, 간장암에 유효하다고 한 다. 엽록채소가 녹색으로 보이는 것은 엽록소라는 색소 때문이다. 이 엽록소 (chlorophyll)는 항산화작용이 강하여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작용이 강함으로 돌연변이 세포를 암세포로 촉진하는 것을 억제하여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과채류 중에는 이상 성분 이외에 다음 성분도 항암효과가 있다. 식이섬유 : 식이섬유는 대두류에는 g/100g, 버섯류에는 20, 해조류에는 28함 유되어 있다. 식이섬유가 많으면 장의 활동이 활발해져서 변이 장내를 통과 하는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장과 발암 물질과의 접촉 시간이 단축된다. 셀렌 : 셀렌은 토양의 무기성분으로 물속에 셀렌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미국 사우스 타코타주에는 암 환자가 10만명당 94명인데 비해 셀렌 함량이 낮은 오하이오주는 2배인 188명이나 되었다. 셀렌이 많은 채소류는 파, 마늘, 감, 해조류 등이다.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암 식도절제 후 식사 (0) | 2008.08.16 |
---|---|
식도암 수술 3개월 후 (0) | 2008.08.16 |
항암작용이 있는 식품성분 (0) | 2008.08.16 |
자궁절제수술후 일상생활 (0) | 2008.08.16 |
자궁경부암수술후 성생활 (0) | 2008.08.16 |